오픈랩 정보는 PI가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최근 업데이트 날짜: 2025년 8월 19일

오픈랩 정보 오류 신고하기

지금 연구실 모집중이에요!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학부생인턴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 학부생인턴 모집여부를 등록하려면?

  • 연구실 소개

    Porous Energy Materials Lab은 다공성 소재(Porous Materials)의 정밀 합성과 구조 제어를 중심으로, 차세대 에너지·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능성 재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1. 다공성 소재 합성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 및 금속-유기 다면체(Metal–Organic Polyhedra, MOPs)를 합성하고, 결함 공학(Defect Engineering)·후처리(Post-synthetic Modification) 기법을 통해 원자 수준에서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조절합니다.

    2. 구조–물성 연계
    전자 전도성·이온 전도성 제어, 기공 구조 설계, 활성점 도입을 통해 기존 소재와 차별화된 성능을 발현합니다.

    3. 에너지 소자 응용
    - 금속-공기 전지(Metal-Air Battery)
    - 리튬 금속 전지(Li-metal Battery)
    -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Hybrid Supercapacitor)
    - 전기촉매(Electrocatalysis)

    4. 환경·기후 응용
    - Direct Air Capture (DAC)
    - CO₂ 선택적 흡착 및 분리
    - 전기화학적 CO₂ 전환(CO₂RR)

    우리 연구실은 “미세한 기공 속에서 거대한 가능성이 열린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에너지와 환경을 잇는 다공성 소재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정밀한 합성 기술과 창의적인 구조 설계를 결합하여,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다공성 소재를 개발하는 것이 우리의 비전입니다.
  • 연구분야 키워드

    • #direct air capture
    • #energy conversion
    • #energy material
    • #energy storage
    • #Metal-organic framework
    • #porous material
  • 졸업생 정보

    TBA
  • 연구실 지원 방법

    TBA
  • 자격 조건

    TBA
  • 대우 조건

    TBA

연구실(PI) 홍보 게시판 최신 글

SCIE 논문 정보
김박사넷에 로그인하고 더 많은 기능을 이용해 보세요!
  • 1. 동일계열 연구실과 SCIE논문 정보를 비교할 수 있어요.
  • 2. 연구실에서 나온 논문목록을 찾아볼 수 있어요.
  • 3. 논문 기반으로 찾은 연구실 키워드를 열람할 수 있어요.
  • 4. 교수/연구원 즐겨찾기 기능으로 알람을 받을 수 있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김박사넷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최원호 조교수

전남대학교(여수) 석유화학소재공학과

https://www.wonho-cho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