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과정 중 임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1.07.08

18

6694

박사 3년차인데 지금 임신을 할지
아니면 포닥 과정 이후에 안정된 직장을 가지고 임신을 할지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가보지 않은 길이라 경험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뻔뻔한 레오나르도 다빈치*

2021.07.08

여기는 학부생이 대부분이고 이런 중요한 인생의 결정을 조언해줄 분이 별로 안 계십니다..

2021.07.08

님 인생입니다. 출산과 같은 중요한 결정은 남편과 하세요
깜찍한 그레이스 호퍼*

2021.07.08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제가 경험하지 못한 거라 해줄 말은 없고 응원합니다..
혹시 몰라 첨언하자면 저라면 졸업 후에 할 것 같습니다.
산만한 공자*

2021.07.08

이런건 여성분들이 많은 커뮤니티에 질문하세요. 제가 주변에서 뵌 분들 기준으로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먄 박사 졸업 후 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박사 4년차에 임신하신분 뵜는데 학위 졸업이 계속 미뤄져서 결국 8년차에 졸업하시더라고요. 물론 나이가 들수록 임신하기 힘든건 사실이고 그 부분에 대해 제가 전문가는 아니라 말씀은 못 드리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IF : 2

2021.07.08

박사논문을 아이 업고 쓰는 분도 봤기 때문에.. 남편분과의 합의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현실적으로 남편분이 가정에 관한 일을 본인의 몫이 있다고 생각하고 분업을 한다는 생각 안 하고 도와준다고 생각하는 분이면 사실 안정된 직장을 얻고 나신 뒤에도 경력 단절돼요. 박사받고 집에서 놀거나 시간강사나 하게 되신다는 겁니다. 도와주는 일이니까 남편분의 본업을 해야하는 상황이면 가정에 관련된 일은 안하거든요. 아이 업고 논문썼던 그 선배님은 같은 학과 타전공 선배님이랑 결혼한거라 서로 잘 이해하고 딱히 니일 내일 안 가리는 성격들이고 해서 졸업 잘 했고 현재 일도 잘 하고 계세요. 글쓰신분 남편분이 어떤 분인지에 따라서 결정하실 문제인 것 같습니다.

IF : 5

2021.07.08

저는 졸업과 취직의 길은 가봤지만 임신출산은 겪어보지 못했던 터라.... 주변 선배님들 케이스 종합해드려요.
박사과정 중 임신출산
장점: 상대적으로 더 젊어서 출산이 가능, 랩바랩이겠지만 유연한 근무하기 일반적으로 더 편함(회사에도 임신부 사원에 대해서는 더 유연하고 더 적은 필수근무시간을 적용하는 제도가 있지만 아무래도 학교보다야...)
그리고 이런말 하기 참 그렇지만 회사에서 이미 아이가 있어서 출산휴가/육아휴직을 미리 다 거친 신입 여직원들을 좋아한다는 얘기도 어렴풋이 들립니다.
단점: 졸업이 늦어질 수 있고 돌아와서 적응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 화공약품을 혹시나 다루신다면 실험이나 연구활동에 제약이 걸릴 수도 있고요. 그리고 원생이면서 아이가 있는 비슷한 케이스가 주변에 거의 없어서 누군가를 참고하거나 뭔가를 공유하기 힘드실 수도 있겠고요.

대댓글 1개

IF : 5

2021.07.08

장점 관련 추가) 직장과 직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같은 나이에서 봤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요. 졸업이 많이 늦어지면 직장 잡기 자체가 좀 어려워질수도 있긴 합니다...

2021.07.09

학계로 진로를 생각하시면 박사과정 중을 더 추천드립니다. 학계에서 안정된 자리를 잡을 때는 최근n년간 성과가 중요한데요, 세컨포닥, 교수임용, 펠로우십, 정부과제 등 별의 별 곳에서 다 졸업후 n년 이내 또는 최근 n년 성과를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특정 기준 아래는 아예 정성평가 기회도 안 줍니다. 정성평가도 n년 이내 위주로 자를 때가 많고 트렌드 바뀌는 것 때문에 막판에 경력에 공백이 있으면 아무래도 불리합니다. 최근엔 그래도 일부 임신이나 육아휴직은 n년에서 빼주기도 하는데요 그래도 안 그런 곳이 더 많아서 아직 졸업 후 타이머가 돌기 전인 재학 중 출산이 낫지 않나 싶습니다. 학위 중에 출산은 돌아올 때 적응이나 연구 연속성 등에서 지도교수 도움이 정말 절대적인데 평소에 좀 깨 있으신 분이라면 잘 도와주실거고 아니면 좀 고민해 보긴 해야합니다.. 저는 남자라 임신한 본인 입장에서 병행하는 경우의 여러 가지는 고려하지 못했으니 부족한 부분 있어도 양해 바랍니다. 힘내세요!

대댓글 1개

2021.07.09

참, 위 댓글 상황은 가족 중에 육아를 적극적으로 도와줄 분이 있을 경우에만이예요. 아니면 아무리 육아도우미 쓰고 어린이집 보내고 해도 자잘하게 신경쓰고 시간 써야할 때가 많아서 연구 계속하려면 힘이 많이 들거예요. 부모님이나 시부모님 중에 거의 같이 살다시피 하면서 도와줄 분이 있으면 할만한데, 아니면 일단 연구에 쓸 수 있는 시간이 지금의 1/3로 줄어든다고 보셔야 안전합니다..
상처받은 알베르 카뮈*

2021.07.09

ㄷㄷ 남자로써 감히 고민할 수조차 없는 ㅜㅜ어떤 선택도 좋은 결과, 후회없는 선택이 되길 바랍니다.
세심한 니콜라 테슬라*

2021.07.09

글쓴이 졸업 후 진로에 따라 다를 듯

2021.07.09

첫 댓글 보고 좋아요 눌렀는데 꽤나 좋은 조언들이 올라오는 걸 보면 여기 커뮤니티도 겉으로 들어나는 것 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꽤나 다양한 유저들을 보유하고 있는 듯...

2021.07.09

모두들 감사해요.. 큰 도움되었습니다!

2021.07.09

해외포닥을 가실거라면, 포닥때 낳으시는것도 아이를 위해서 좋은 선택이 될수도 있습니다. 물론 육아 문제가 있긴 하지만..

2021.07.09

여기는 대학원진학 염두하는 학부생들이 더 많아서 이런 고민은 하이브레인넷으로 ㄱㄱ
당당한 스티븐 호킹*

2021.07.09

전 남자 학부생일 뿐이지만 뭐가되든 후회없는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2021.11.25

주변 선배들 피셜 연구에 뜻이 있다면 (교수, 정출연) 가장 좋은 선택은 아이를 낳지 않는 것이고, 그나마 차선책은 박사과정 때 아이를 낳는 것입니다. 졸업하고 나서 아이를 낳고 취직하는 경우 아이낳고 바로 취직해야지 / 육아하면서 취직알아봐야지 이런 계획은 보통 백지로 돌아간다고 합니다.... 어지간한 강심장이 아닌 경우 우는 아이를 나이드신 부모님께 맡겨두거나 도우미를 쓰면서 집중하기 쉽지 않고, 저 기간에 연구에 손대지 못하고 1~2년 (최소) 가 날아가버리기 때문에 취직하려고 할 때에 5년 이내 실적이 날아갑니다... 원하는 타이밍에 임신을 한다고 해도요. 그 사이에 경력단절기간이 생기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차라리 박사과정때 교수님께 양해를 구하고 여유롭게 실험하고 논문읽으면서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을 없애고, 복귀 후에 몰아서 실적내고 졸업하는 것이 제일 낫다고 하시더라구요. 취직하고 나서 아이를 낳는 경우는 주변에 없었어서 잘 모르겠네요...

2024.05.24

졸업후 포닥취업한뒤 임신출산 했습니다. 부모님한분이 주5일 상주하며 도움주셨고, 겨우 살아갔습니다(?). 부모님 도움+부부모두협동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