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타대출신이라 그런지 교수님이 제가 그동안 그 선배한테 도움 받으면서 쓴줄로 오해하는가 싶기도 하고요,,, 그게 아니면 뭐 첫제자라고 더 챙겨주는가 싶기도 하고,,,
원래는 그냥 대놓고 말할까 하다가 교수든 선배든 괜히 불편해지면 대학원 생활 꼬일까 싶어서 고민중입니다.
보니까 공1저자여도 맨앞이면 괜찮고 연구실 내에서 나눠먹기면 걍 넘어가는게 좋을 수도 있다 이런 글을 봐서 걍 넘어가는게 맞나 싶기도 해서 고민되네요,,,
야밤에 author contribution 써보니까 제 이름밖에 없는데 공1저자되는게 빡쳐서 글남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11.19
공저자하시는게.. 사람일이란게 그런겁니다...
대댓글 1개
2025.11.19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11.19
뭐 억울할 수도 있고 조심스레 말은 꺼내볼수 있지만... 결국 논문의 주인은 교수님입니다. 애초에 프로젝트 기반으로 시작한 논문이고, 선배 -> 님 순으로 담당학생이 바뀌면서 논문이 적힌거잖아요? 결국 그 프로젝트 책임자인 교수 판단입니다. 교수가 개인적으로 선배를 편애할 수도 있지만, 교수가 볼 때 선배가 프로젝트 초반에 기여한, 길을 튼게 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교수도 바보가 아니라서 앵간하면 그럴만하니까 공1 제안을 하는겁니다. 대놓고 저렇게 밀어주면 불만이 생긴다는걸 모르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첫번째 이름이면 단독저자랑 큰 차이 없습니다. 나중에 교수 임용 지원하실때 한 10편정도 1저자 실적이 있다고 가정하면 거기에 공동1저자 첫번째 이름이면, 그게 공동1이든 단독1이든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거에요. 선배랑 사이도 고려해서(다음에 선배 논문에 님 이름이 또 잘 들어갈 수도 있잖아요?) 그냥 따르는걸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1.19
답변 감사드립니다! 교수님이 감안하고서도 그럴만하니까 했다고 하면 오히려 이해가 되네요,,,
2025.11.19
맨앞이면 그냥 넘어갈 만 하기도... 교수님 성격 봐서 물어볼 만 하기도...
대댓글 1개
2025.11.19
답변 감사합니다!
2025.1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일 앞 순서면 그냥 교수님 따르면서 감사합니다. 라고 하시는게 좋을 듯 해요. 그리고 그 선배와도 잘 지내시구요. 나중에 어떻게 도움을 줄지 모릅니다.
대댓글 1개
2025.11.19
답변 감사합니다!
2025.11.19
댓글 보니까 확실히 가만히 있는게 현명할 것 같아서 그렇게 하려고 합니다. 제가 노력을 많이 해서 그런지 좀 더 민감하게 느꼈던 듯합니다,,, 미리 물어보길 다행이네요
2025.11.19
오히려 물어 보고 싶은게 정말 author contribution을 적을 때 본인이 한 일만 생각이 났는지 궁금합니다.
실험 주제 선정, 실험 설계, 실험 수행, 자료 정리, 자료 기초 분석, 그림 생성, 논문 작성 등, 모든 과정에서 정말 (연구비를 제외한) 다른 이의 기여가 전혀 없었나요?
하다 못해 연구팀에서 내려오는 레거시툴이나 코드라도?
보통 연구란 걸 처음 하는 학생들이 실험 수행, 자료 정리, 그림 생성의 중요도를 많이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어서 물어보게 되네요.
대댓글 1개
2025.11.19
특정될 것 같아서 자세하게 말하기는 힘들지만,,, 가슴에 손을 얹고서 말씀드리면,,, 그 프로젝트 주제를 (선배가 아닌) 교수님이 시작하신 점, 일부 실험 데이터(논문에 있긴 하지만 없어도 메인 흐름은 바뀌지 않는 수준) 측정을 그 선배가 했다는 점 제외하고는 말씀하진 모든 점(연구실 레거시 툴과 코드까지도)을 제가 다 수행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오히려 나눠먹는게 억울해서 차라리 그 선배가 시작을 여는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믿고 싶어요,,,
2025.11.19
대댓글 1개
2025.11.19
2025.11.19
대댓글 1개
2025.11.19
2025.11.19
대댓글 1개
2025.11.19
2025.11.19
대댓글 1개
2025.11.19
2025.11.19
2025.11.19
대댓글 1개
2025.11.19
2025.11.19
2025.11.19
2025.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