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 MDPI저널 3편냈습니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1.11

41

13997

누가 mdpi 저널을 까는 게시물을 봤는데, 괜히 기분이 상하네요.

서울대 대학원생인데, 논문 한편 내는데 1년이 다 지나갑니다. 잘 알지도 못하는 리뷰어 만나면 괜한 헛짓거리 하고요.

Scientific Reports는 괜찮아요? 프론티어는 괜찮아요? 거기서 거깁니다.

Brain에 논문 냈다가 2,3년 걸렸습니다. 다행이 걸렸지만, 정말 인생 피말려요.
그 후로 mdpi에 줄곧 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1개

2025.01.11

저도 예전에 mdpi에 1저자 2편 냈었는데
mdpi는 리뷰어를 자기네에 논문 낸 사람 아무나로 선정합니다. 그래서 까이는겁니다.
양질의 리뷰가 이뤄지지 않아요.
Sci Rep보다는 한참 아래죠 수준이.
Frontiers보다는 조금 아래구요.

대댓글 2개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CI REP 리뷰어 한명 붙여서 그냥 억셉시켜버립니다. 프론티어랑 오십보백보에요.

2025.01.11

아래 아래 하는데 다 거기서 거깁니다. sci rep도 옛날의 sci rep이 아닙니다.

2025.01.11

비교대상 자체가 오십보백보인 저널들이잖아요.. 본인이 어디내시든지간에 본인과 PI의 결정입니다. 다만 말씀하시는 논점은 조금 엉성해보입니다.
저는 카이스트에서 학위를받았는데 옆에 사기업출신 교수님이 5-6년간 mdpi/프런티어즈만 냇다가 학과장한테 지양해달라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즈음에 학과전체에 mdpi관련된 메일도 날라왔었고요.
애초에 mdpi나 프런티어즈나 sci report만 메인으로 내는 랩 자체가 많지않다고 생각하는데, 그런랩들과 비교하면서 나도 잘하는편이야! 라고 생각하시는건지 궁금하긴합니다. 저도 이번에 알았던내용인데 글로 mdpi가 왜 욕먹는지에 대해서 논문을 올렸는데, 그것 참고하시면 mdpi가 유독 학계에서 욕먹는지 이해가 좀 될듯합니다.

2025.01.11

모두가 정상적인 연구와 정상적인 대학원 생활을 했다면 그런 쓰레기 출판사들이 그렇게 많은 돈을 벌지 못했겠죠

대댓글 3개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을듯.... 연구분야와 소재에 따라 낼 수 있는 저널들이 한계가 있어요. if 8이하인 저널들은 리뷰수준이 거기서 거기임.

2025.01.11

그니까요. 자기가 뭔 소리 하는지도 모르는 수준의 대학원생들도 많죠

2025.01.11

if 8이하의 저널들의 리뷰수준이 거기서거기임은 본인 생각이겠죠. 본인이 어떤분야인지부터 밝히시는게 맞지않나 싶네요.
소자쪽 연구할때 비교적 낮은저널로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if 3~4) 와 mdpi polymers를 비교할때 리뷰수준이 똑같다고 말하면 욕먹습니다. 거기에다가 '참고로 전 mdpi만내봤지만 ㅎㅎ' 이러면 더더욱 그러겠고요. 그외에 sensors에 게재하는 분들은 분야상 쓸곳들이 더 많고요.
본인이 mdpi를 욕먹게 하기 싫으면, mdpi의 수준이 왜 낮지 않은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셔야죠. 지금 말하는건 그건 모르겠고 다른 저널들도 다 끌어내려서 우린똑같아~ 이러는건데 논리적이라고 생각이 되시는지요. 본인분야에서 그래도 욕안먹는 IF8이하의 저널들 리스트와 거기 리비전 프로세스에 대해서 말을하시든지요. mdpi만 쓰신분이 다른저널들 리뷰프로세스를 얼마나 아신다고 싸잡아서 내리려는건지 의문이네요.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짱깨교수 밑에서 일 사람이랑 이야기 한적이 있는데, 장비가 좋고, 남아이디어 조금만 바꿔서 내도 IEEE에 그냥 낸답니다.

대댓글 5개

2025.01.11

그리고 웃긴게 대가랩도 대박친 아이디어 있고, 장비빨이 심하면 아이디어 조금씩 바꿔서 탑자매지나 AM/AFM이런곳들에 쉽게 게재합니다. 본인논리대로 그렇다고 "아 저기도 아이디어 조금만 바꿔서내는거보니 mdpi랑 똑같네" 이런 말이 성립이 될까요? 본인 논리부터가 엉성한데 공감을 바라시는건지요. 그리고 솔직히 본인이 논문을 많이 못써보셔서 그런것같다는 생각이듭니다. 결국 본인은 mdpi밖에 못써봤고 나머지는 상대방 이야기만 듣고 평가하는거잖아요.
IEEE말씀하셨는데 그 짱깨 교수님처럼 Transaction에 한편이라도 써보시고 그런말씀을 해보심이 어떨까요.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사실 MDPI에 논문을 내본 적이 없습니다. 한번 반응을 사필려고 이 글을 써습니다.
믿거나 말거나 IEEE에 세편을 게제해봤는데, IF 7, 5, 3대, 7대 저널은 실험을 다시 시켜 시간이 많이 걸렸지만, 리뷰어 코멘트가 그리 까다롭진 않았고요, 5대나, 3대 저널들은 그냥 문안했습니다. 오히려 낮은 공학저널 (if 1.6)에 논문을 냈는데 리뷰어 3명에다가, 3차리뷰까지 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최근에 if 5대 OA저널에 도전했는데 리뷰어 4명에다가, 3차리뷰까지 갔습니다. 딱한번 경험해본지라 잘 모르지만 SCI REP보단 수준이 있다고 느꼈네요.
지금 프론티어즈에 논문하나를 투척했는데 리뷰어 3명이 달라붙어, 코멘트를 무진장 달아났습니다. 프론티어즈가 평판이 안좋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최근에 또 느끼니, 리비젼을 할까말까 고민중이네요.

2025.01.11

짱깨라는 단어에서 수준 인증 제곱이네 ㅋㅋ

2025.01.1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뒷통수 잘 치는 짱깨를 경험해보거라. 짱깨는 짱개란다.

2025.01.12

ㅋㅋㅋㅋ mdpi 국적만 스위스지 사실상 중국거인건 알고? ㅋㅋㅋ

2025.01.11

정상프로세스 저널중에도 잡초가 많다=o
mdpi는 상당수 잡초로 인식된다=o
그러니까 mdpi만 내도 된다=x

논리무엇?

대댓글 2개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부분 잡초니, 신경 덜 쓰는 잡초에 내는게 이득....

2025.01.11

잡초 아닌걸 찾아서 열심히 성과내고 인류에 기여할 생각을 하는게 정상..

2025.01.11

원래 그렇게 피말리면서 쓰는겁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론 논리가 많이 이상한거 같은데;;; mdpi 인식이 나쁜거 같아 기분이 나쁘면 메리트도 있고 나름 괜찮은 연구도 많으니 너무 안좋게 봤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해야 하는게 아닌지... 그냥 단순히 다른 괜찮 저널들은 투고과정이 피말리니까 mdpi 쓴다는 그냥 짬통에 던진다는 소리로 밖에 안들리네요.

대댓글 1개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냥 단순히 다른 괜찮 저널들은 투고과정이 피말리니까 mdpi 쓴다는 그냥 짬통에 던진다는 소리로 밖에 안들리네요." 정답!!!!
무심한 카를 가우스*

2025.01.11

서울대 대학원생인데 = 타대생임 ㅋㅋ

자대생인데 이래서 국내대학안가고 난 다박감... 자대대학원 수준이 통탄스럽네

2025.01.11

어떤사람은 ncs본지 3편 내는데 mdpi 3편 냈다고 자위하네;

2025.01.11

박사 장려금, 세종 펠로쉽, 기타 여러 과제 심사하는데 mdpi 있으면 최저점 줍니다. 싸리나 프론티어도 그렇게 합니다.

2025.01.11

한줄요약: 난 허접스레기 논문 많이 써서 정량 점수라도 빨리 올리려고 mdpi 썼는데 왜 까냐 기분나쁘다 이말이야

2025.01.11

연구원 적성이 안맞는거같네요

2025.01.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삭제할 것 같아 박제..

누가 mdpi 저널을 까는 게시물을 봤는데, 괜히 기분이 상하네요.

서울대 대학원생인데, 논문 한편 내는데 1년이 다 지나갑니다. 잘 알지도 못하는 리뷰어 만나면 괜한 헛짓거리 하고요.

Scientific Reports는 괜찮아요? 프론티어는 괜찮아요? 거기서 거깁니다.

Brain에 논문 냈다가 2,3년 걸렸습니다. 다행이 걸렸지만, 정말 인생 피말려요.
그 후로 mdpi에 줄곧 냅니다.

2025.01.12

한숨만 나온다 ㅋㅋ...

2025.01.12

서울대 교수 정도 되는 사람이 제자들이 MDPI를 쓰게 둔다는게 의아하네. 자기 이력에도 암청 안 좋을텐데. 사견으로는 서포카는 MDPI쓰면 안됨. 국격 낮아짐.

대댓글 1개

2025.01.12

과제 정량 실적 때문에 쓰는 랩들이 있었습니다 ㅎㅎ 그런 기준들 좀 없애고 퀄러티 위주로 가야 하는데 우리 나라 특유의 sci가 어쩌고 편수가 어쩌고 사사는 또 어떻게 해야 하고 이러니 저희 분야 잘나가는 교수님들 서포카 전부 mdpi 논문 여러편 있는 분들 봤습니다 저희가 논문이 잘 안 나오는 분야라서 울며 겨자먹기였을 수 있겠네요 애들 인건비는 주고 먹여 살려야 하니 과제가 여럿이라.. 요즘엔 워낙 분위기가 이러니 mdpi 쓰는 좋은 랩은 거의 없기는 하지만요 다른 비슷한 또는 더 구린 수준의 몇 개월 정도는 걸리고 게재료는 조금 더 싼 곳으로 돌리죠 그럴 바엔 mdpi가 낫다도 이해가 갑니다 저도 리뷰어 한명 붙는 타 Q1 저널을 경험해봐서요 ㅋㅋ 뭐 그런데 국격보다는 연구 질적 향상을 위해 양적 평가를 지표에서 줄이는 문화가 있으면 좋겠죠

2025.01.12

최소한 MDPI, Scientific Reports 한편이라도 게재해본 사람들이 조언하길...

2025.01.12

SCIE 저널이면 다 검증된 좋은 저널입니다.

유럽 북미 저널 출판사들이 더 양아치들 입니다. 자기들 대륙 데이터나 출신들 논문은 아시아권보다 쉽게 받아주죠. 게재료도 정말 미친 가격인것도 많고요.

사실 영국 저널들은 인도에다 저널업무 많이 아웃소싱하죠.

리뷰어들은 늘 부족합니다. 자발적이라는 미명아래, 공짜로 출판사들이 부려먹는거죠. 공짜로 일하는 거 여기 대학원생들은 부들부들하면서, 양질 리뷰를 기대하는거 자체가...

저작권도 다 가져가죠.

Open access 개념은 미국 Plos one에서 시작된 혁명적 개념이었죠. 비지니스 모델이 달라서 엄청 욕먹었지만, 요즘은 유명저널들도 sister 저널은 OA 형식으로 하죠.

다 질투 시기일뿐입니다. 객관적인 INDEX 만 보세요.

2025.01.12

여기 대학원생들이 속한 분야 학회의 학회지들 중 SCIE 인 분들은 한번 편집위원회에 문의하보세요. SCIE에 들어가기 위해서 무슨 노력들을 하셨는지..

그냥 다 시기 질투죠.

2025.01.12

ㅎㅎ

2025.01.12

이런 편협한 사고속에 갖혀사는 사람도 대학원생이라는게 참 아쉬울 노릇이네요.

대댓글 1개

2025.01.12

MDPI가 약탈적 저널이다 아니다를 떠나서 다른사람의 의견은 어떻고, 그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던지 해야지, 나는 누구고 내말이 옳아 라며 자기 주장만을 피력하는게 올바른 방식인지....

2025.01.12

내용만 좋으면 되고
다른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는 결과물이면
되지 뭘 따질게 있나요.
응원합니다.

2025.01.12

아이고 MDPI 세편 쓰느니 정상적인 괜찮은 저널 하나 쓰는게 훨씬 나은데
물론 ㅋㅋ 거기 쓸 정도 토픽과 논문 퀄리티 그리고 역량이면 못쓰시겠지만서도

2025.01.12

반박 못할 정도로 구성하면 원큐에 됩니다. 머가 부족하고 빠지고 논리 안 맞으니까 반려되는 겁니다.

2025.01.14

출판이 목적이면 MDPI가 답이죠

2025.05.20

배우신 분들이라고 다 고상하신 것은 아니라고, 댓글을 통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5.21

Kci 저널 내는건
용인하면서
Mdpi 욕하는건 무엇?

2025.05.22

박사신지 박사과정인지는 모르겠지만 논문 내본 사람이라면 무슨말인지 아는 얘기입니다.
SCIE저널에 나오는 논문들은 대부분 그 리뷰어들이 이미 그이상의 저널들에 출판을 했거나 리뷰를 해본 사람들입니다.
사람들이 IF나 순위에 크게 연연하지만 사실은 정말 운이라고 할 수 있고요 만약 IF 3점짜리내도 코멘트가 날카롭게 올수도있고요 반대로 20점짜리 내도 정말 쉽게 올 수 있습니다. 또한, 좋은 논문인데 낮은 저널에 갈 수도 있고요 안좋은 논문인데 높은 저널에 갈 수도 있고요.
무슨 심정인지는 이해가갑니다. 하지만, 나중에 평가로써는 다른 얘기일 수 있습니다. MDPI 3편쓴사람이 한편도없는 사람보다 낫다라고는 평가받을 수는 있겠지만 MDPI 100편보다 SCIE 1편 쓴사람이 더 높게 평가될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일부러 사람들이 MDPI에 안내고 죽어도 SCIE에 내려는 거죠. 이러한 사람들이 많아진다는거는 그만큼 SCIE에 좋은 논문이 나올 확률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다들 편하게 가장 최고의 길을 찾으려고만 하고있지만 그건 오히려 어려운 길입니다. 인생을 길게 보고 판단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