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자상한 헤르만 헤세

IF : 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2.08

19

62940

교수님이나 선배가 보수적(a.k.a 꼰대)이라 생각하고 적어봄

1. 질문하기 전에는 최소 10분 정도는 검색해보고 생각해본 뒤에 물어본다. 그렇다고 30분 이상 생각을 하면 효율이 떨어짐
- 과탑 학부생이 인턴으로 들어왔는데 대학원생들을 무슨 과외선생님으로 생각하고 질문들을 쏟아냄. 자신의 입장에서는 책보고 찾는것 보다는 물어보고 답을 얻는게 빠르겠지만 대학원은 적당히 A+맞는 곳이 아니라 천천히 깊게 파고드는 곳이므로 자신이 어느정도는 찾아보는게 좋음

2. 교수님 or 선배의 결정이 필요한 사항은 최적 선택 안을 정해서 말하기.
- 1, 2, 3방법이 있는데, 1번으로 하는게 ~한 이유에서 좋습니다.
- 그렇다고 구구절절X 궁금하면 상세 질문이 올 것임

3. 일을 맡았다면 사소하더라도 간략히 보고드리기.
- 교수님이나 선배는 신입생들이 뭘하고 있는지 알고있기를 원함. 그러니 눈에 안보이는 경우 짧게 자신의 상황을 업뎃시켜주면 좋음.
- 보고하면서 어떻게 할까요? 같이 물어보는게 아니라면 크게 귀찮아하지 않으니 상대방의 스타일을 아직 모른다면 보고짧게 드리기.
- 출장갔다면 00에 도착했다, 중요한 실험을 했다면 결과가 어떻고 이후 방안은 이렇다.
-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일이 있다면. 뭘했다 중간 보고를 드리는게 좋음.
- 해당 업무가 어떤 단계이고, 진행이 더디다면 그 원인이 뭔지 정도는 각인 시키는게 좋음

5. 자세히와 구구절절은 다름.
- 자신이 뭘 했는지 시간순서대로 쭉 듣기를 원하는 사람은 없음.
- 시행착오는 간략히 말하고 중요한 부분에 집중하는게 좋음

6. 교수님이나 선배도 사람임
- 오늘은 A라고 했다가 내일은 B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 교수님들은 CPU와 RAM은 좋으나 모든걸 기억하고 계시지는 않을 수 있음. 그러니 오늘 내일 말이 달라질 수 있음.
- 그러니 교수님이 A라고 했다면 왜 A라고 판단했는지 근거를 생각하거나 여쭙고 이해하는게 좋음. 그러면 다음날 왜 B라고 했는지도 이해갈 것임


사실 기본적인 부분이지만 습관을 들여놓으면 나쁠것 없음.
윗 사람 스타일을 모를 때에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행동하는게 점수 깎일일 없다고 생각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3.02.08

정말 좋은글이네요
회사가도 비슷한 룰이 적용되는데 2번 3번 5번이 정말 중요합니다
보수적인 사람 대상이라기보다는 사회생활기초 룰 입문편이라고 해도 좋을정도네요
조급한 막스 플랑크*

2023.02.08

본인이 잘 모른다면 최소한 찾아보고, 선배한테 얘기할때도 찾아보려고 했으나 정말 모르겠어서 질문드린다고 할것.

검색하면 금방 나오는 기초적인걸 물어보는경우가 많은데, 선배입장에서 똑같은 질문 여러명이 하니 들을수록 열받음(노력좀 하길)

아니면 차라리 내가 요령이 없어서 못찾겠다, 혹시 잘 찾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냐고 물어보셈
이건 애가 노력하려고 하는구나라는 느낌도 들고, 한번 알려주면 왠만하면 귀찮게 안하겠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음
도도한 아이작 뉴턴*

2023.02.08

6번은 정말 공감이 가는게,
특히 논문을 쓸 때 컨셉과 방향을 반복적으로 바꾸느라 얼마나 시간 낭비를 했는지 모릅니다.
교수님도 여러 학생들을 지도하기 때문에 학생 수에 비례하는 연구 주제가 있을 것이고, 세세하게 기억하기에는 어렵죠
그러다보니 저도 '아니 어제 A로 정하셨는데 왜 B로 바꿨다가 다시 또 A로 바꾸지..?' 싶다는 생각이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알게 모르게 교수님에게 서운한 감정도 들기도 했구요. 제 논문에 대해 큰 관심이 없어서 그런가 오해를 많이 했었습니다.
착한 알베르 카뮈*

2023.02.08

1번 관련해서.. 장비의 사용이나 행정 절차와 같은 테크니컬한 부분은 질문을 통해 해결하고, 연구나 과학적인 지식들은 되도록 혼자 검색해서 찾아보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시간을 훨씬 효율적으로 쓸 수 있고 혼자 찾아보고 생각하는 힘도 길러집니다.
사려깊은 존 필즈*

2023.02.09

정답 보따리 내놓으라는것 마냥 질문해대는 무지성 질문봇들이 생각보다 많은가 보내요 다들 공감하시는거 보니ㅋㅋㅋ

진짜 인터넷 검색 좀만하면 나오는데 그 검색키워드 좁혀가는 기본적인 센스도 없어서 도저히 못 찾겠다고 질문하러 오는 후배들보면 진짜 속터지죠.

IF : 2

2023.02.09

아우 너무 글이 좋으니깐 4번이 뭐였는지 너무 궁금해지네요....

2023.02.11

현 학부연구생입니다… 궁금한게 있어서 댓글 남겨요
현재 학부연구생으로 들어가서 포닥선생님께 실험 배우면서 그쪽 분야로 나아가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과 포닥 선생님은 연구분야가 조금 다르고요…
질문 1. 제가 지금 랩에 들어간지 5개월째인데 교수님과 미팅은 한번밖에 안 했습니다(귀찮으실까봐서요 ㅠㅠ 무섭기도 하고 데이터도 없고…) 한달에 한번정도는 찾아뵈어도 괜찮을까요?
질문 2. 제가 포닥선생님 연구 중 받아서 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한 데이터(제가 분석했습니다)를 제가 랩세미나에서 발표해도 괜찮을까요?

학부연구생 잘 안 받는 랩에 자대 대학원 갈 것도 아니면서 있는거라 매우 조심스럽습니다 ㅠㅠ

대댓글 1개

자상한 헤르만 헤세작성자

IF : 1

2023.02.13

질문1.
선배나 포닥을 통해 연구지도를 잘받고 있다면 교수님과는 1달에 1번씩 이야기를 나눠도 됩니다.
교수님께 직접 지도를 받는 경우라면 최소 주1회는 연구내용 발표하면서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하는게 맞긴한데, 누군가의 지도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교수님과는 다이렉트로 말 하지 않아도 됩니다. 교수님이 바쁘기도 하니까요.

질문2.
연구 행위를 자신이 했더라도 연구내용 오픈(발표, 자료공유)에 대한 부분들은 과제책임자(주로 지도교수님)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바로 윗사람 실무자(주로 선배)에게 간략히 이유와, 자료내용을 말씀드리고 교수님께 허락받으시면 될듯합니다.

이렇게 조심스럽게 고민하는 것들로 봐서 잘해낼 수 있겠네요 ㅎㅎ

2023.02.12

전 학부연구생하다 때려치고 학부졸업후 지금 입사대기중인데 5번때문에 교수님한테 정말 많이 혼났었던 기억이 나네요
이때를 반면교사 삼아서 직장생활은 현명하게 잘해봐야겠네요

2023.02.13

다 맞는 말이지만 정말 급한 일은 단계를 거치지 않을 필요도 있습니다.

2023.02.13

저희 졸업한 선배님 중에 교수님 사랑 독차지한 선배 있는데.. 진심 말씀하신 모든 게 탑재되어있었어요
언젠가부터 그 오빠가 말씀드린 모든 것을 교수님이 맹신하기 시작한.. 그리고 맹신의 결과는 성공..

2023.04.01

좋은 글이네요. 안그래도 제가 5번을 잘 못해서 항상 깨지는 중이라..ㅋㅋㅋ

2023.04.04

극공감합니다!

2023.05.08

6번 정말 마음에 새겨야겠습니다.

2023.05.14

우와 회사랑 똑같은 조언인데요???
어느 조직이던지 통용되는 조언이네요.
만류귀종인걸까요?

2023.07.08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23.09.20

공감 되는 내용이 많네요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24.05.08

40대 상사들로 이루어진 보수 집단에서 일 했는데 모두 다 맞음...모두 중요한 거지만 신입생들은 1번이 특히 중요하고 연차 찬 사람들은 2번 5번 진짜 중요함

난 5번을 못해서 '그래서 결론이 뭐야?'라는 말 진짜 많이 들음

사실 되게 기본적인건데 난..대학생원생때 워낙 프리하고 너그러운 지도교수님을 만났어서 첫 직장생활에서 많이 어버버하고 혼났음ㅠㅠ 아직도 머리속 정리하고 말할려고 노력중인데 어렵다...

2024.12.29

결국 표현하기 나름임. 자기가 하는 일을 잘 요약해서 어필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사실 진짜 교수의 관심을 끌기는 쉽지 않음. 결국 교수의 진짜 무거운 엉덩이를 들게 하려면 자신이 하는 일을 통해서 할 수 있는 건 다 해야 됨. 그냥 자기 연구 요약만 하는 건 절대 말고. 플러스 알파가 핵심임. 변죽만 울려서 미안하지만 아는 사람은 다 알 거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