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연구실 1기 후배들 취업 헛바람 불어서 취준한다고 난리치는데 그 학벌로 어딜 감히 대기업 가려고 해 ㅋㅋ 국박 취득해도 안되고 미박 따야지 삼성 갈 정도의 지방대인데 4.0이라고 으스대는거 개꼴깝인듯 역시 지사립, 지방국립대 이런 레벨 대학 학점은 평균적으로 -1.0하고 생각해야하는듯
지도 교수님 진짜 무능함의 극치인듯 테뉴어 받았다고 알빠노 마인드로 학생 진로 이끌어줄 생각 안하는듯
랩미팅에 데이터 가져가면 저널별 IF 비교 서열질이나 하고 있고 선거날 현충일 빨간색 붙은 날에는 학교 나온적을 본적 없음 맨날 골프만 치러 다니는듯
심지어, 석사 졸업생 졸업한지 6개월 지나도 취준중인데 홈페이지에 Looking for Job 안적고 LFJ라고 개짜치게 적었음 ㅋㅋ 그냥 빈칸으로 남겨두지
걍 교수가 인원수 채운다고 개나소나 한국 여권만 있으면 다 랩실 받아주는게 문제인듯 좀 학벌 컷 만들지 좀 ;; 그래놓고 연구실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 개무시함 ㅋㅋ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7개
2025.06.18
"역시 지사립, 지방국립대 이런 레벨 대학 학점은 평균적으로 -1.0하고 생각해야하는듯"
저는 지거국 컴퓨터공학부 학생인데요 제 학점 4.1인데 인서울 학교에서 만약 3.5정도 받으시는 분은 같은수업듣고 같은 시험 보면 이길 수 있을것같아요 왜냐면 대학 시험은 성실한 사람이 더 잘보는것 같거든요 학점은 공부를 얼마나 잘하는가보다는 얼마나 성실한가를 보여주는 지표같아서요
대댓글 13개
2025.06.18
사실 지거국도 레벨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부경전남 이런데는 충분히 비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그 아래는 사실 잘 모르겠네요 Dry lab은 그리고 상대적으로 학벌 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Wet lab은 좀 중요한듯요
2025.06.18
신기하네요 저는 어히려 wet은 노력으로 커버가 되지만 손기술도 타고, dry는 온전히 머리 싸움이라 생각했는데 아닌가 보네요
2025.06.18
오히려 코딩은 학벌과는 별개라고 생각이 듭니다 수능 문제 못 풀어도 코딩 귀신들도 많은걸 자주 봤어요
2025.06.19
맞아요 지거국 학생인데 연구자의 길을 가기전에 웹/앱 개발로 외주도 하며 지냈는데(학교다니면서 한학기에 500씩범) 웹빌더도구와 인공지능의 빌전으로 저는 컴퓨터비전쪽으로 진로를 틀었습니다 수능 문제 못풀어도 코딩은 잘하는 편입니다
학부는 지거국이지만 대학원은 이번에 ist 인공지능 인기랩에 들어갔어요
2025.06.19
제 생각에는 못이길것 같아요 왜냐하면 학점은 상대평가고, 경쟁 풀이 지거국 애들하고는 차원이 달라요 성실의 지표요? 2점대면 그런 소리 하겠는데 3점대 중반정도 인서울 명문대 가령 YK 학부생들은 성실히 열심히 공부해도 B+맞는 일 많아요 거의 모든 학생들이 밤새면서 열심히 하거든요
2025.06.19
근데 나는 프랜시스 크릭 말이 더 맞다고 생각함 지거국 애들이 잘하는건 자바 파이썬인데 실제로 국책 연구로 대학원을 가야하는건 C 사용하는 경우가 훨 더 많음
C하는데 수학 못 풀면서 파이썬이랑 자바는 스킬만 터득하면 그만이라 지거국 애들이 코딩 잘한다고 근거없는 근자감 쩌는 애들도 많이 봤음 ㅋㅋ
지거국 교수들이 인생 구제해주려고 학점 잘 주는거지 인서울 꽤 좋은 학교 애들보다 머리랑 성실도가 좋아서 학점이 좋은게 아닌듯 ㅋㅋ
학점도 안주는데 왜 지거국 감? 학점 나쁘게 줬으면 이미 너네 선배들 다른 학교로 런 쳤음 학점이라도 잘 주니깐 지거국이 살아남는거임
물론 지거국도 학점 따기 어렵게 가르치는 소형과도 있음 그 교수님들은 그만큼 학생에 대한 애정이 있어서 취업이든 대학원이든 도와줌 애정 없는 테뉴어 철밥통 교수들이 학점이라도 잘 주는게 지방 국립대라고 생각하는걸?
2025.06.19
일단 지거국인 저희학교 컴공의 경우 매주 나간 부분까지는 약간의 복습이라도 해야하고 시험 한달전부터 주말이든 평일이든 식사,수면,강의듣는 시간 제외하고 다 공부하다가 시험 2주전부터 거의 밤샘공부하다 시험 1주일전에는 진짜 밤새서 완벽하게 끝내야 4.중반 나옵니다 사실 저는 머리가 나빠서 학기초 수업시작하고 처음부터 매주 나간부분까지 다 하고 과제는 나오자 마자 바로 해서 제출하고 학기초부터 매주 나간부분까지는 완벽하게 이해함 시간을 많이 들여야 이해할수있는 부분을 챙기고 시험기간에는 놓쳤던 세세한 부분까지 꼼꼼하게 공부해서 받은 학점입니다
2025.06.19
고등학교 친구가 광명상가 갔는데요 저랑 고등학교때 비슷한 친구였는데 이친구가 편입으로 연세대 갔어요 이 친구보고 지금 제가 하는만큼 하면 어디서든 충분히 잘 나올수있을거같다는 확신이 들었어요
2025.06.19
노력하는 사람은 어디든 성공합니다 매주 복습한다는것부터가 ssh 애들보다 훨씬 대단하십니다 제가 말한거는 학점 어차피 잘 나올거라 믿으면서 누가 가르쳐주는 것을 바꿀생각 안하고 머리에 고정관념으로 굳혀진 학생들이 대부분 국립대뽕이 심한거 같습니다 언젠가 무조건 성공하실분입니다 좋은 연구자 되실거 같습니다
2025.06.20
아하 그런 의미군요 이번에 조기졸업으로 후기 ist 인공지능 대학원으로 입학하게 되었는데요 열심히 해서 내년초에 열리는 수많은 해외학회중 하나에 논문 제출할수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025.06.21
이길수 있을거 같아요가 아니라 한양, 중앙컴공 3.5는 그냥 이깁니다.
2025.06.21
부산경북이면 ㅇㅋ 아니면 말하는 인서울이 국숭이면 ㅇㅋ
근데 전북충북강원제주가 연고한테 그러는 거면 우물 안 올챙이
2025.06.23
지거국 4.1이면 건동홍 3.5이기는건 ㅇㅋ 중경부터는 글쎄... 학점이 얼마나 성실한가를 보여주는 지표인지는 당신이 지거국에 불과해서임을 입증하는 것 아닌가요? 지거국에 온 학생끼리 경쟁하는 것에 불과하니까요 ㅎㅎ..
2025.06.18
부경 지거국 나와서 서성한 편입한 학생임. 지거국 애들만큼 능력없는데 자존감 높은 애들을 본 적이 없음
우리나라가 미국이나 일본처럼 주립대나 국립대가 수준높은 나라도 아니고, 그 요즘 공부 좀만 하면 간다는 인서울마저도 실패해서 지거국 간 게 현실임
그러면서 맨날 우리학교 정도면 인서울 문부수고 간다 ㅇㅈㄹ함. 문제는 이렇게 말하는 애들이 한둘이 아닌데, 그런 애들은 학점 3점대가 태반임
지거국은 걍 공부 안하는 게 디폴트임. 공부라는걸 적당히 하기만 하면 4점대는 그냥 나옴.
나도 4.3x으로 서성한 편입해서 공부 열심히 했는데 3.4x 받음
하위 인서울은 모르겠는데 적어도 중경외시? 정도부터는 열심히 하는 것만으로는 학점이 나오지 않음
대댓글 6개
2025.06.18
너 말 완전 공감함 진짜 부경 이런 애들이면 인정함 그래도 수시 최저라도 있는데 꼭 듣보 국립대 애들이 선배들 지역할당 티오로 취업해놓고 나 정도면 삼하 입사하기에 꿀릴거 없지 인적성이나 잘 보면 되는듯 ㅇㅈㄹ함 근거 없는 자만감 개쩌는듯
심각한거는 short channel modulation이랑 DIBL이랑 개념 혼동하면서 DIBL 설명하면서 short channel이라고 억지 부리길래 진짜 지잡대 4점대 학점 개 ㅈ밥이네 생각하게 되었음
2025.06.18
부경 중 하나 다니는데 우리 과 애들 보면 공부 열심히 하던데....ㅜ
인서울의 기준을 어디로 잡는진 모르겠지만, 우리 과 기준에서는 서울 말고 우리 학교 온 친구들도 꽤 있고 서울 붙고 온 애들도 있고..
2025.06.18
부경은 그래도 사바사야 잘하는 애들은 괴물이야
2025.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부경출신인데 과바과 인듯요.. 저희과는 지거국이라는 특성때문에 인서울보다 더 빡세게 공부를 해야한다는 분위기가 있어서 제가 4.3만점에 4.0인데 수석졸업.. 30~40명정도 학과인데 진짜 학점경쟁 너무 치열하고 교수님들도 학점 정직하게 짤라서줘서 엄청 힘들었거든요. 결국에 엄청 경쟁하던 상위 5명 3명은 대기업 한방에 취업하고 나머지는 S 대학원 가긴했서 다 잘되긴했네요.
2025.06.23
솔직히 지거국에서 학점 잘 딴다고 학점이라는 지표가 성실성만을 의미한다. 이렇게 말하는건 자기가 속한 학교가 그 정도 수준이라는 것 밖에는 할말이 없는 것 같네요 ㅎㅎ
2025.06.23
침착한 베이컨님… DIBL은 short channel effect 맞는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5.06.18
왜 이렇게 화가 많이 나셨습니까. 본인도 속해있는 집단인데 그렇게 깎아내릴 필요가 있을까 싶은데요. 학벌, 학점... 이런 거 다 중요하긴 한데, 어디나 열심히 하는 사람도 있고 열심히 안하는 사람도 있는거죠.
대댓글 4개
2025.06.18
나올겁니다..
2025.06.18
본인이 나가면 나가는거지, 왜 엄한 사람에게 헛바람이 불었네, 으스대는게 꼴값이네 하나요. 저도 대학원 다니면서 학벌로 사람 무시하고, 무능해 보이는 사람이 욕심껏 미래 설계하는 거 보고 자기 분수 모른다고 뒷담화 하고 다 해봤는데요. 졸업하고 사회 경험 하고 여유가 생기고 보니 내가 참 여유 없고 열등감에 시달렸구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내 능력에 대한 열등감과 미래에 대한 불안이 잔뜩이니 나보다 조금이라도 못해보이는 사람 보면 저 사람은 나보다 더 불행해야 할텐데, 불행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하면서 화내고 분노했던 것 같아요. 다른 사람이 어떤 인생 살았는지, 어떤 노력으로 어떤 능력을 갖췄는지 알지도 못하고, 사실 알 필요도 없습니다. 누가 헛바람 불어서 으스대면서 이루지도 못할 목표를 노리고 있는 것이면 그 사람이 시간 낭비를 하는거지, 내가 거기다 대고 어떤 감정을 느낄 필요 없잖아요? 저도 아직도 다른 사람 보면서 이래저래 재단하고 욕하고 합니다만, 최소한 그러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다른 사람이 취업을 하건, 몇년찬데 실적이 바닥이건, 학점 자랑하며 으스대건 나랑 아무 상관 없는 일이구나, 하려 합니다. 작성자분도 너무 화내지 마시고, 다 자기 손해입니다. 평화로운 마음을 가지기 바라겠습니다.
2025.06.18
오 제게 꼭 중요한 말인거 같아요 댓글 달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곱씹어서 제게 체화시켜야하는 말이겠네요
2025.06.24
케플러 말이 맞아요..ㅎㅎ. 무시도 해보고 당해도보고 옆에서 학벌 부심 부리는거 보면서 ?? 왜저래?? 이런것도 다 해본 입장에선 결국 나의 목표와 나의 성과가 제일 중요한거 같아요
그렇게 남과의 끝없는 비교는 생산성도 떨어지고 정신도 갉아먹는거 같아욯 ㅎ 저도 아직 100프로 초월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좋은 글같네요 ㅎㅎㅎ
착한 피보나치*
2025.06.18
너나잘해
대댓글 1개
2025.06.18
알겠어..
2025.06.18
막창에 소주 먹고 싶어
대댓글 2개
2025.06.18
난 돼지갈비에 맥주 마시고 싶어
2025.06.18
돼지갈비에 맥주..? 돼지갈비도 쏘주지
2025.06.22
학벌로 사람 평가하기라는 주제로 논문 한편 쓰세요. 엄청 잘 아시나봐요.
대댓글 2개
2025.06.22
편견 심하게 생겨서요.
2025.06.28
편견 생기는건 이해함. 나도 그랬음. 몇몇은 진짜 학벌 세탁하러 오는 애들도 있는데, 진짜 연구하러 온 지방대생이 Nature 논문 쓰고 나감. 그거보고 학벌이고 뭐고 다 의미가 없는게 대학원이구나 싶었음.
2025.06.22
글이 지적 수준인데...
2025.06.22
한심하노
2025.06.22
너 할거나 열심히해… 이러니 지방대들이 싸잡아 욕처먹지
대댓글 1개
2025.06.22
응 난 지방 안가 ~
2025.06.22
개잡대나와도 니네학교 석사 애들 다 딸수있음.
대댓글 1개
2025.06.22
석사졸업까지 q1 3편못내면 아가리여무셈 ㅋ
2025.06.22
왜 본인이 서열 나누고 있으면서 남 서열질 하는거 욕하는거야..? 서열 재지 말란게 아니라 이 짧은 글에서조차 스텐스가 명확하지 않고 그저 불평 불만만 늘어놓으니까 좀 부족해 보여. 그냥 힘들면 힘들다, 속상하다 해.
2025.06.22
학점만의 문제일까요? 집요함 꼼꼼함에서 차이가 나요
지거국이하는 스스로 괜찮은 논문연구 프로젝트 완성하기전까진 섬세함 집요함에 대한 검증이 안되었다고 보는편
2025.06.23
어....님이 느끼는거 설카애들도 똑같이 느끼던데... '과고 출신도 아닌게' 부터 시작해서 '인서울도 급이 있지' 이런식. 어딘지는 모르겠지만 지방대 애들이랑 같이 일하기 싫으면 걍 랩실 탈출 추천. 말하는거 보니 학점 낮아서 설카급은 못가고, 자대 인기랩도 아닌거 같고, 해외 대학원은 생각못하시는 분 같은데, 이런식의 연구실 욕은 자기 얼굴에 침 뱉기같음....
2025.06.18
대댓글 13개
2025.06.18
2025.06.18
2025.06.18
2025.06.19
2025.06.19
2025.06.19
2025.06.19
2025.06.19
2025.06.19
2025.06.20
2025.06.21
2025.06.21
2025.06.23
2025.06.18
대댓글 6개
2025.06.18
2025.06.18
2025.06.18
2025.06.18
2025.06.23
2025.06.23
2025.06.18
대댓글 4개
2025.06.18
2025.06.18
2025.06.18
2025.06.24
2025.06.18
대댓글 1개
2025.06.18
2025.06.18
대댓글 2개
2025.06.18
2025.06.18
2025.06.22
대댓글 2개
2025.06.22
2025.06.28
2025.06.22
2025.06.22
2025.06.22
대댓글 1개
2025.06.22
2025.06.22
대댓글 1개
2025.06.22
2025.06.22
2025.06.22
2025.06.23
대댓글 1개
2025.06.23
2025.06.23
2025.06.24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