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사기업 연구원

2021.10.19

7

8932

사기업에 입사한지 여러해가 되었네요..
만족한다면 만족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곳을 보면 아쉽기도한 곳이 사기업인듯합니다.

저는 박사학위 받을 즈음 포닥이냐 취직이냐를 고민하다 경제적인 형편상 취직을 선택한 경우입니다. 산학장학금을 받기도 했고... 회사도 해당 분야 1위의 대기업이었으니 기대도 있었죠.

경제적으로는 나쁘지 않죠.. 입사하고 초임이 왠만한 대학의 부교수평균 연봉 정도되니까요... 우리사회에서 흙수저로 태어나 그나마 중산층 윗부분까지도 도달 가능 한 것이 대기업 연구직의 소득인것 같습니다. (물론 다행이 중간에 아파트를 마련하여 벼락거지를 면한 것도 중요한 요소였지만;...)

대기업 임원이 1퍼센트라고 하지만 실제 박사학위자 기준으로는 확률이 10퍼센트는 넘습니다.즉 동기가 열명이면 그 중 하나는 최소한 임원을 달죠. 제가 있는 부서는 한동안 잘나가서 입사당시 당시 고연차수석급 연구원 (모두 박사)이던 분들 절반 정도 임원을 단거같네요. 나머지 임원 가능성 낮은 분들 상당수는 중국으로 이직했구요. 즉 박사학위받고 회사에 온 직원들 10퍼센트 이상은 임원이 되는것 같고, 또 남은 30프로는 조금 작은 회사 임원으로 가는것 같습니다. 소수지만 몇 퍼센트 정도는 교수나 정출연으로 이직하구요.

그럼 - 제가 포함될거같은 - 나머지 60퍼센트 정도는 무엇을하게 될까요? 아마 회사 성장성에 따라 - 회사가 잘 버텨준다면- 오십 중후반까지 버틸 수 있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실적을 내가 언제까지 신뢰할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사십대에도 나갈 수 있다는 불안함이 있죠.

반면 대학에 자리를 잡은 선후배들을 보면 솔직히 부럽습니다. 자기 하기에 따라 연봉이 2~3억도 가능한것이 교수인데 이게 부러운건 아니고... 그 자유로움.. 그리고 오너쉽에 대한 만족감에서 차이가 나는것 같아요. 최소한
제게는 그렇습니다. 이게 생각보다 크더군요. 회사원은 오피스의 좁은 개인 공간에서 이런저런 주변 소음속에서 생활해야합니다. 하루 8시간 꼼짝 못합니다. 이게 1-2년이지... 여러해 지나니 저는 답답하더군요. 그리고 내가 아무리 과제룰 기여해도 결국 공은 1/n이 되거나 아니면 상사가 가져갑니다. 제주는 곰이 부리고 성과는 엉뚱하게 올해초에 부서배치받은 윗상사가 가져갈때... 오너쉽의 룰이 학교와는 다르기에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습니다. 운이 좋아 내가 그 공을 가져가는 위치에 간다면 또 회사 온게 잘한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ㅎㅎ

저는 이제 큰 욕심없이 개인의 회사에서의 성공보다는 회사의 성공... 그리고 가족과 개인적인 소소한 공부 등 즐거움을 찾으면서 유유자적하게 살고있내요

혹시 도움이 될까하여 진로를 고민하는 후배를 위해 글 남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IF : 1

2021.10.19

논문을 못 쓴다는게 치명적인것 같아요 쩝. 죄다 confidential 이라 --;
짬짬히 특허 난사중이라서 이거라도 난중에 커리어로 써먹지 않을까 하는 희망도 있내용

2021.10.1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not impressive.

대댓글 1개

2021.10.20

"IF 50"

2021.10.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도움되는 글 감사합니다!

IF : 2

2021.10.20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박사 졸업 후 취직을 준비하고 있는데, 도움이 되는 솔직하고 좋은 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저는 현재 사기업과 정출연 모두 준비 중인데, 근무지, 연봉, 개인 성향을 고려하면 사기업 쪽으로 마음이 많이 기웁니다. 누군가는 정출연 입원에 실패하여 사기업으로 가는거다 라고 말하는 분들도 계실 수 있겠지만, 앞서 말한 연봉이나 근무지와 같은 현실적인 조건들이 결코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더 중요하게는 저 스스로가 학계에 남고자하는 욕심이 없는게 큰 듯 합니다. 학위 과정 동안 지쳐서 그런지, 학계에 남기 위해서 굳이 해외 포닥을 1~2년씩 더 하며 불확실한 미래에 투자하기에는 용기도, 성공에 대한 의지도 생기지 않네요...
말이 길어졌습니다만, 혹시 글쓴이 분께선 경제적인 이유 외로 사기업을 선택하신 다른 이유가 있으실 지 궁금합니다. 지원 당시의 상황을 말씀해주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2021.10.20

저도 경제적인 이유와 근무지로 사기업을 택했습니다. (투자까지 잘하면 교수고 연구원이고 안 부럽겠죠?)글쓴이님만큼 연륜이 있지 않지마는, 오너쉽보다는 현실의 문제를 조금씩 협동하면서 해결해나가는 것 자체에 만족하고 있네요. 못다 충족한 학구열을 해소할 방법은 논문을 제외하고도 여러 방법이 있으니 각자 상황에 맞는 걸 찾으면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0.22

"투자까지 잘하면 교수고 연구원이고 안 부럽겠죠?" -> 이분은 사기업 가고 모든게 돈으로만 보이는 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