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 박사 후 삼전

2022.10.27

29

8035

이번에 박사 받으면서 관심있던 삼성전자 부서들에 이력서 넣었는데요.

2개월이 지났는데도 면접 연락이 없어서 아마 서류에서 탈락한 것 아닌가 싶은데..

보통 다른 과 연구실들 보면 삼성전자는 쉽게들 가던데 충격이네요 ㅠ

전공은 기계계열이고 주저자 논문은 3편정도 있습니다.

제가 삼전 부서들 중에서도 연구소에 이력서를 넣긴 했는데, 요즘 사기업 경쟁이 치열해져서 더 가기 어려워진걸까요?

국내에서 포닥을 해서 내년에 한번 더 도전해야되나 막막하네요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성실한 피에르 페르마*

2022.10.27

국내 사기업은 포닥한다고 크게 달라지지 않을듯 사기업 가실거면 지금 적극적으로 여러군데 찔러보셔야 합니다

대댓글 1개

2022.10.28

지금 현재는 갈만한 데는 다 지원해서 삼성 계열사는 삼전빼고 안썼는데 후회되네요 ㅠ
포닥 더 하면서 삼성 전체 계열사 써보려는 생각이 있습니다.

2022.10.27

커리어 전환 목적이 아니라면 국내포닥은 할수록 몸값 떨어집니다. 경력인정도 잘 안해주고.
참고로 경기 나빠지면 취업난이도 급상승합니다. 올해부터 다운사이클이라 예상하고 있지요...

2022.10.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삼성에서 당장 원하는 인재가 아니었겠죠. 언제 또 필요할지 모르는 겁니다.

IF : 5

2022.10.27

종기원>>>>>>반연>메모리사업부>파운드리 순으로 난이도는 낮아집니다. 사업부에도 문 두드려보세요. 다운사이클 제대로 타서 업계 전체가 몸사리는 분위기이긴 하지만, 박사채용은 그래도 계속 진행할겁니다.

대댓글 5개

IF : 5

2022.10.27

그리고 8월에 졸업하신 분이면 지금 당장 최대한 많이 어플라이 하세요. 졸업하고 시간 갈수록 어려워짐+불황콤보 맞고 점점 더 힘들어집니다. 참고로 업계에선 근 10년간에는 없던 위기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라 그래도 들어갈 수 있을 때 빨리 들어가놓는게 더 나은 전략일 것 같습니다.

2022.10.28

지금 삼전 상황이 많이 않좋나보군요 ㅠ
저번에 지원했을땐 학교에서 오신 부서에 상담받고 지원했었는데, 다른 부서들도 학교에 오셨을때 상담 받고 지원해야겠죠? 저희가 사업부랑은 연결고리가 없어서..

IF : 5

2022.10.28

삼성뿐만 아니라 이 업계가 지금 다 그래요.

2022.10.28

삼성리서치 >>> 종기원..
사기업에서 니즈가 많은 분얀데 후배들보면 박사든 석사든 최근에는 다들 삼성리서치쪽 지원해서 들어가던데, 위치도 그렇고 만족도 상당히 높은것같더라고요.

IF : 5

2022.10.28

ㄴ리서치를 잘은 모르지만 아예 커리어패스가 달라질 수 있는 시작점같네요.
개인적으로 나중에 기획이나 컨설팅 등등 다른 분야로 빠지더라도, 공학박사면 시작은 연구개발 베이스로 일단 가는게 낫지 않나 생각하긴 합니다.

2022.10.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는 어디신가요?

대댓글 8개

2022.10.28

서울 중위권 입니다. 학부 때문일 수도 있는데, 박사 받으면서 학부쪽으로는 생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2022.10.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은 생각 안 해도 뽑는 쪽에선 생각합니다.

2022.10.28

확실히 자대생을 더 우대해주긴 하던데, 주위에 사례들 보면 타대라고 못 갈정도는 아닌 것으로 생각됐구요.
박사까지 받고 바꿀 수도 없는걸 탓하진 않기로 했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2022.10.28

삼성은 최종에 더 중점을 둡니다. 서울 중위권이면 학부 영향은 미미합니다.
재치있는 아리스토텔레스*

2022.10.28

위는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군요. 근데 말씀하시는게 채용관련자처럼 말씀하시는 듯
대담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2.10.28

기업에서 최종을 더 생각한다는건 난생 첨듣는 이야기네요.

삼성은? 이라는데 정말 주변사례보면 갸우뚱해짐

2022.10.28

왜 최종에 두는지 모르시는 분들은 주변에 spk나 해외 박사로 삼성 입사한 분들을 못 보셨을 것 같네요

2022.10.2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외 좋은 대학원에 리쿠르팅 오는 거 보면 윗분 말이 맞음. 모셔가려 함.
근데 학부 구리면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올라갈 수 있는 선이 좀 낮게 책정됨.

우리나라는 좋은 학부. 좋은 대학원...이름을 엄청 따짐...
칠칠맞은 마르셀 프루스트*

2022.10.28

삼성 입사는 여러가지가 함께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임원/부서 별로 올 한 해 새로 뽑아야할 인력 목표가 있습니다. 그게 연말인데 달성이 안되어있으면 조금 스펙이 못 미쳐도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대로 인력 목표가 다 찼으면,, 꽤 스펙이 좋아야 뽑게 되죠. 여기서 스펙은 박사 학벌, 학부 학벌, 논문 실적, 발표/면접 다 포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에 나온거처럼 경기가 안 좋거나, 회사 사정상 개발비(인건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정해질 경우 잘 안 뽑게 됩니다. 실제로, 삼전 내에서 위기! 위기!라고 했던 2015년에 삼전 SET 부문은 경력직 입사가 비교적 어려웠습니다. (거의 산학장학생들만 들어옴) 그리고 해당 사업부에서 뽑고 싶다고 결정해서 위로 올려도 전사레벨의 인사쪽에서 상황에 따라 짜를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시간이 좀 걸리기도 하고요. 추가로 대학원 때 소문 좀 안 좋게 난 사람도,, 그게 면접관들 귀에 들어가면 안 뽑는 경우도 봤습니다.

덧붙여 서류가 늦어지는건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추천으로 가시는거라면, 추천인 통해서 인사 그룹 쪽에 문의 넣어달라고 하면 해당 인사 담당자가 답변 줄겁니다. 마냥 기다리지 마시고 연락하시고요. 떨어졌다고 하면, 빨리 빨리 다른 사업부로 지원하세요. 이왕이면 잘나가는? 추천인 통해서 입사하시는게 좋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0.29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인사팀에 문의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
재치있는 아리스토텔레스*

2022.10.28

1. 학부 문제 무시는 하시면 안되고요. 사업부마다 학부 덜 보는 곳이 있으니 낮춰 지원하시면 확률은 올라간다 생각합니다.

2. 결국 아무 연락이 없다는 것은 님이 지원한 곳의 각 부서장 들에게 이력서를 뿌렸지만 님의 전공이나 기타 실적들을 봐서 손 든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는 뜻입니다.

3. 답은 옆에서 들어갔다고 나도 어렵지 않겠네. 이렇게 예단은 하지 마시고요. 어떻게든 들어가야하겠다는 의지로 돌파하시길 바랍니다. 그런 태도가 경우에 따라 다 티가나서 안뽑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0.29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담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2.10.28

암만 skp skp해봐야 학벌은 학부

그냥 같은 내용물에 포장지 차이정도 밖에...

대댓글 1개

대담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2.10.28

그리고 지원서 작성할때,

아는분 통해서 알아보고 미리 회사 수요에 맞춰서 작성하는거도 중요한듯

2022.10.30

흐음...저랑 같은 케이스인데..
혹시 삼전 경력직 채용에다가 올려뒀다는 말씀이신가요..?
이게 내부 프로세스를 밝히긴 좀 어렵긴한데, SKP 박사면 스펙은 충분하고요, 지원 방법을 바꾸셔야할꺼에요 ㅠ

2023.03.09

혹시 어떻게 되셨나요?

대댓글 1개

2023.03.09

연구실에서 포닥 연장하고, 학교로 찾아오는 부서들 위주로 다시 서류 넣었습니다.

저번에는 연구소쪽으로 넣었는데, 이번에는 사업부 위주로 지원해보려고 합니다.

2023.03.23

요새 사정이 안좋아져서 많이 안뽑는 분위기긴 하더군요. 본인문제라고 생각하고 넘 상처받지 마시길요. 믿음을 가지고 버티면 기회는 분명히 옵니다. 첨언하자면 내부 지인이 있다면 최대한 많이 연락해보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