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런 놈들이 사회에 나와서 우리를 진찰한다고 생각하면 눈앞이 아찔하다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9 - 의대생들은 잘 뭉치는데
공대생들은 모래알인거 자랑하는거야?
자폭하는 글인가?
원글이 능지점검 시간이네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36 - 말을 이해못함니깐? 인간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29 - 대학원 갈 수준이 아닌거 같은데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38 - ㅋㅋㅋㅋㅋㅋㅋㅋ 간절하니까 일반적인 내용도 심각하게 받아들이나보죠 댓글들 너무하네
정신차리고 보면 무슨 의미인지 알테니 냉수 한 잔 마시고 오세요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60 - 통보할 의사가 없었다고 하지만, 사실상 통보나 마찬가지죠. 지도교수님께서 학연생 못 그만두게 한다고 계속할 건 아니었잖아요? 그러니까 통보죠. 그 부분은 앞으로 조심하면 될 문제라 생각합니다. 근데, 대학원도 아니고 학부 졸업인데 글쓴분이 졸업 요건이 된다는 가정 하에 교수님께서 졸업을 막는 것이 가능한 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협박성 멘트일 가능성이 높죠. 진짜로 저 문제로 졸업을 못한다면, 저라면 인권센터든 뭐든 다 신고할듯하네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8 - 몇가지 중요한 내용이 빠진듯 합니다. “리뷰논문으로의 전환을 희망합니다” 라는 것이, 졸업 요건에 대한 내용이면 교수님과 적절한 상담을 먼저하는게 맞는 행동인거 같습니다. 해당 교수님과 졸업 작품 등의 작업을 진행하시고 계셨다면, 교수님이 글쓴이에게 졸업작품 fail을 줄 수 있는 권한 정도는 있어보입니다.
반대로, 단순 학부연구생을 하다가 그만둔 것이면, 교수님이 학생 졸업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거에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1 - 근데 교수님은 통보 그 자체보다 중요한 일을 카카오톡으로 보낸 게 불편하신 것 같습니다.
알바나 일용직도 아니고 카톡으로 그만둔다고 띡 보내는 건 20대 중반인 제가 봐도 실수하신 것 같습니다.
진로 관련 면담 부탁드린다고 메일로 보내고, 후에 직접 만나뵈어서 말씀드렸으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 같아요.
사실 졸업반이면 이런건 알만한 나이이긴 하지만, 교수님께 사과드리고 잘 말씀드리시구요. 다음부터 조심하면 좋을 것 같아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16 - [이런 태도를 가진사람을 ㅇㅇ대학교 졸업생으로 내보낼 수 없다. 학과회의를 소집해서 다른 교수님들과 상의하여 너 졸업 여부를 검토해야겠다.]
이건 너무 나가신거고
님이 예의 없던건 맞음.
물론 님 입장에선 전달한 내용의 어투가 정중했다고 생각했지만, 살다보니 내용이 어떤 것이냐 이전에 전달하는 방법도 굉장히 중요하더군요.
교수님이 님을 어떤 방식으로 이끌어 나갈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나름의 계획이 있었을텐데 그게 물거품 되어버렸으니, 황당하고 화가 날만 합니다.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16 - 윗 덧글들 다 맞고 그런데 궁금한게,
상담 신청이 왜 부담스럽죠?? 상식적으로 카톡으로 업무나 심지어 중요한 사안을 보내는게 훨씬 부담스럽지 않나요?
메일로 상담 신청해서 시간 되실 때 찾아 뵙고 싶습니다 라고 보내는게 세상에서 가장 안 부담스럽고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 같은데요.
글에서도 변명 같은 뉘양스가 많이 나오는데 아마도 교수님에게 카톡 통보후 교수님의 답이 왔을 때, 비슷하게 변명을 하시다보니 분노가 더 커지신거 같네요. 리뷰논문 전환이 정확히 어떤걸 뜻하는진 모르겠으나, 논문 마무리는 잘 안될 가능성이 있겠네요.
학부 졸업은 뭐.. 학교 요건만 만족하셨으면 교수가 막을 일은 없죠(졸업 요건이 그 교수님과 관계된거면 졸업 막는게 가능하구요)
진짜 졸업이 막힐 위기라면 정중하게 사과하시는게 베스트입니다. 딴 내용/변명 추가하지 말고 순수하게 죄송하다는 사과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16 - 일의 경중을 따지는 것보다 '일단 나는 전달했다'라는 것에 위안 삼는 학생들이 많은 듯 함.
어떤 정보를 빨리 전달하는 것보다,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했으면 좋겠는데, 요즘은 '소수의 학생들'이 그러지 않는 것 같음.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23 - 학부생이 그럴수도 있죠 사회 초년생한테 너무 막나가시네 ㅋㅋ
그리고 너 졸업 못시켜줘 노발대발하는 교수도 과도한듯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7 - 사회초년생 문제가 아닙니다. 요즘 코로나 세대들 문제인지 가정교육 문제인지 비정상적인 학생들이 많습니다.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4
박사 취업 (특히 학교) 시 실제 학벌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020.06.01

- 저는 현재 국립대 교수로 재직중인 사람입니다.
- 박사 잡마켓 정출연 + 학교 다 경험 (합격) 해봤습니다.
- 취업 이후에는 김박사넷 잘 안들어왔는데 간만에 들어오니까 재밌는 글들이 많아서 제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한 몇가지 내용을 언급해봅니다. 회사는 안 가봐서 잘은 모르겠고 학교 취업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 서성한 vs DGU 누가 더 위인가?
> 수능 입결 이딴거 말고, 취업 시장에서 봤을때 학부만 생각해 봤을때 이 둘의 차이는 미비합니다. (롤로 치면 다이아 3 이랑 다이아 4 서로 누가 낫냐 싸우는 꼴)
> 공대 대학원의 경우에는 DGU 가 연구 여건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박사 취업 시장에서도 좀 더 유리합니다.
- 학부가 나쁘면 대학원 학벌은 별 의미 없는가? or 학부만 중요한가?
> 개인적으로 봤을때는 틀린 말입니다.
> 학부가 별로여도, 대학원 간판이 좋은 경우 어필을 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모든 곳에서 어필이 된다는 소리는 아님)
> 반대로 학부가 좋아도 대학원 간판이 나쁘면 손해를 봅니다.
(적어도 박사 취업 시장에서는 평균적으로 그러함, 단 모든곳에서 손해를 본다는 소리는 아님)
> 제 말을 믿으세요. 제가 학부가 안 좋고 대학원으로 커버를 약간 친 케이스인데 박사 학위 후 정출연 지원했을때 서류에서 떨어진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면접 준비 대충했다가 물먹은 적은 있어도). 물론 결국은 학교로 옴.
- 대학원 진학시 교수가 중요한가? 대학원 간판이 중요한가?
> 둘다 중요합니다. 교수가 중요한 이유는 교수를 그지 같이 만나면 박사 취득 자체를 못할테니까요.
제가 교수가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인성적인 측면에서 이야기하는겁니다. 제 경험상 그리고 주변 박사 친구들을 봤을때 교수의 연구능력이니 실적이니 이딴건 1 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 대학원 간판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 거르세요. 저는 신임 교수 임용 심사에도 참여합니다. 대학원 간판 안 볼것 같나요?
- 박사 취업시 젤 중요한것은 무엇인가?
> 밑에 댓글에서도 누가 그랬는데 "전공적합도" 이게 젤 중요합니다. 이건 점수를 더 받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success / fail 의 문제입니다. 전공적합도가 안 맞으면 학벌이 좋건 논문실적이 좋건 상관없이 채용이 잘 안됩니다. (회사, 정출연, 학교 다 마찬가지)
자기가 취업 시장에 나간 타이밍에 박사 학위 받은 주제가 떡상하는게 최고 시나리오입니다. 물론 그걸 미리 예측하는건 불가능하지요.
> 그 다음에 중요한건 논문 실적입니다. 논문 3대장 (NCS), SCI IF 높은거 있는 사람, 편수 많은 사람이 최고입니다.
> 그리고 나서 중요한게 학부 학벌 / 대학원 학벌입니다. 학벌과 연구 실적중 뭐가 더 중요한가 하는 것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학교 기준으로 봤을땐 인서울 애매한 학교들이 학벌을 많이 보고 최상위권에 들어가는 학교 (SPK) 들은 연구 실적을 더 따집니다.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을 하나 더 언급할게요. 어느 학교건 "모교 학부" 출신을 선호합니다.
연고서성한 홈페이지 가서 공대 교수님들 학부 출신이 어디인지 확인해보세요.
> 그 외에 해외 포닥 경력 / 해외 연구소 경력등이 있습니다.
- 결론
> 물론 제가 모든 정출연, 학교를 다 가본것도 아니고 모든 케이스를 다 알수도 없죠.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서 나온 것이니 일반화의 오류도 있을수는 있습니다.
> 서성한 DGU 출신분들 그만 싸우세요. 다 좋은 학부고 열심히 하면 졸업 후 어디든 갈수 있는 분들입니다.
물론 학계 취업 인사 담당하시는 교수님들은 서성한이니 DGU 니 별 관심도 없습니다. 학계에서 학벌로 인정받으시려면 서울대 가세요.
-
232 34 32105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104 27 15483-
226 30 8457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8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80 - 연대가 포스텍보다 더 낫다는 애들은 정신병자임?
91 - 한번 찍히면 끝인가요?
9 - OO대학교 ㅇㅈㅎ 교수
30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9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52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78 - 아직 철도 안든채로 교수임용
33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64 - 지도교수님이 너무너무 싫습니다.
19 - 컨택은 성적20퍼+ 노력 30퍼+ 운 50퍼 인듯
10 - 서울 2호선 사시는 분들 !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26 - 대가 교수님 한명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27 - 교수님 통해서 원하는 기업 지원하려고 교수님께 이력서 드렸는데
38 -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대학원 입학이라던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관련)
18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석사 실적 평가부탁드립니다...
11 - 석사 후 취업할 생각이면 대학원 레벨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11 - 컨택하고자 하는 실험실이 잘하다 망하고 있다면 빌런은
1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9 - 진짜 하나만 골라주세요 낭만 있는 곳으로 가고 싶습니다
11 - 지도교수가 석사졸업을 자꾸 미룹니다.
8 - Ai분야 교수 임용 난이도?
11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8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80 - 연대가 포스텍보다 더 낫다는 애들은 정신병자임?
91 - 한번 찍히면 끝인가요?
9 - OO대학교 ㅇㅈㅎ 교수
30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9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52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78 - 아직 철도 안든채로 교수임용
33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64 - 지도교수님이 너무너무 싫습니다.
19 - 컨택은 성적20퍼+ 노력 30퍼+ 운 50퍼 인듯
10 - 서울 2호선 사시는 분들 !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5 -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26 - 대가 교수님 한명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27 - 교수님 통해서 원하는 기업 지원하려고 교수님께 이력서 드렸는데
38 -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대학원 입학이라던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관련)
18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석사 실적 평가부탁드립니다...
11 - 석사 후 취업할 생각이면 대학원 레벨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11 - 컨택하고자 하는 실험실이 잘하다 망하고 있다면 빌런은
1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9 - 진짜 하나만 골라주세요 낭만 있는 곳으로 가고 싶습니다
11 - Ai분야 교수 임용 난이도?
11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0
2020.06.01
2020.06.01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