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근데 AI 과학연구가 설레발이라는 분들은 근거가 대체 뭐죠

2024.11.13

11

2067

1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11.13

모르면 그냥 조용히 계시는게 좋아요

대댓글 3개

2024.11.13

모르면 알려고 해야죠.. -_-

2024.11.14

님이 지금부터 늙어죽을때까지 단백질 구조 연구에 인생 꼬라박아도 알파폴드가 한달만에 발견한 단백질 구조량의 10만분의 1도 발견 못합니다. 인류가 AI 등장 이전까지 수백년동안 발견한 단백질 개수가 3만개가 안되는데 알파폴드는 1년만에 2억개를 발견했습니다.

알파폴드가 뭐 유전자 연구같은거 대충 몇개 깔짝여서 노벨상 받은거라 생각하는건 아니길 바랄께요.

2024.11.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억개 ㄷㄷ

그냥 답안지를 줘버렸네요

2024.11.14

AI가 과학연구에 도움이 되는 건 맞는데 과학자들의 자리를 대체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2024.11.14

과학연구에 AI를 활용하는것과 AI가 과학연구를 하는것은 전혀 다른 이야기임

대댓글 1개

2024.11.14

대체한다고 한적 없고 연구의 패러다임이 바뀔거라고 얘기했습니다. 패러다임이 바뀌는거랑 과학자가 자리를 대체하는거랑 전혀 다른 이야기임

2024.11.14

계산기가 없던 시대를 살다가 계산기가 발명돼서 계산기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계산기가 필요없는 분야도 존재하기에
현재 많이들 쓰이는 생성형 ai 가 크게 역할늘 못하는 분야쪽 사람들 기준으론 그런 의견도 낼수있다고 봄

2024.11.15

AI를 마법처럼 생각하는 쪽의 반대급부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AI가 마법은 아님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AI를 활용한 과학연구가 큰 효용을 갖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굳이 대세도 아닌 아주 일부분의 주장을 확대해석해서 반박할 이유는 없겠습니다.

대댓글 2개

2024.11.17

그쪽이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건지 전혀 이해가 안가네요. A라는 주장을 하는 이유가 뭐냐고 물었는데, "A의 반대주장을 하고 있는 사람도 많으니까 그딴거 물어보지마라" 이런건가요. 본문이랑 본인이 쓴 댓글 찬찬히 다시 살펴보세요 어느맥락에서 오류가 있는지

2024.11.17

님이 지금 말하고 있는게, 하버드랑 스탠퍼드중 하버드가 더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근거가뭐냐고 물어보는 게시글이 있는데 거기에 "세상에 하버드 좋아하는 사람들만 있음? 스탠퍼드가 더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런거 왜 물어봄?" 이런식으로 말하는거랑 똑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