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4 - 그분 어글리 코리아네
소국민 주제에... 대국에 가서 몬소리임...
조지아텍 수준이 어떤가요?
12 - ?? 교수사모가 연구실에 올 수 있게 하는 이유가 대체 뭐임? 그냥 지도교수가 ㅂㅅ인것같은데;
교수님 사모님이 좌지우지하는 랩실
11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7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21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8 - 헤르츠씨는 프로젝트와 펀딩 예산 삭감과 구조조정이 뭔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있는것 같은데, 익명커뮤에 분탕치러온 대학원과 미박과는 영 관련없는 분 같네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3 - 뭐가요?진지한데 어설프게 공감하지 말아주세요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23 - 아 네.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2 - 익명커뮤에서 개차반 대댓 다는거보니 글쓴이도 남는축에 속할듯 ㅋㅋ
착한 선배들은 박사 안 하더라
12
학부생 연구실 생활 관련 질문
2025.01.15

대학원 지원 전, 올 한해동안 컨퍼런스에 논문을 발표하거나 preprint라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얼마전 자대 소속 연구실에서 풀타임 인턴을 시작했습니다.
1. 소속 연구실에서 진행할 과제가 있기는 하지만 제 관심분야와는 거리가 있고 제 짧은 식견으로는 논문이 나올까? 싶은 주제이기 때문에 인턴 활동이 제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까하는 의문이 들어 질문 드립니다.
보통 연구실에서 받아오는 과제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논문을 작성하는게 일반적인 프로세스인가요 혹은 과제와 별개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대학원생 선배들과 개인 연구를 병행하는게 일반적인가요?
2. 학기중 수강하던 과목의 교수님께 개인적으로 읽던 논문을 주제로 질문을 했을 때, 한 두줄 정도의 코멘트로 논문 관련 아이디어를 주신 적이 있습니다. 학기가 종료되고 교수님께 해당 아이디어로 연구를 진행 할 수 있는지 여쭤보았을때, 이미 본인의 대학원생과 시도해보았으나, computing resource가 부족하여 더이상 진행이 어렵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현재 소속된 연구실에 GPU 자원이 충분한 것으로 알고있어, 해당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해 보려고 할 때,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신 교수님께 미리 말씀을 드리고 진행하는게 맞는 절차인가요?
-
5 17 13030
ai 대학원 김GPT 0 3 5959
직장인 대학원 지원 김GPT 0 2 4011
인공지능 대학원 김GPT 0 9 3321
ai 대학원 지원 가능 스펙 김GPT 0 19 1585
졸업 이후 연구생인턴 김GPT 4 2 265
30여 대학원 진학 늦을까요? 김GPT 4 14 1730
지거국 산업공학과에서 AI 대학원 김GPT 0 4 1481
AI 대학원 컨택 김GPT 3 6 1639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1 75 176092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06 34 44735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183 36 3328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