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30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9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7 - 정말 너무하네요..
심지어 인턴까지 한 후에 저런식인거면 평소에 학생을 어떻게 생각하는건지
그런 연구실 안가게 된게 다행이라고 생각하시고 다른 연구실 얼른 컨택 하시는게 나을것같습니다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5 - 문과라는게 애시당초 기술이라는게 없음. 당장 제일 인기있는 로스쿨에서도 법을 공부해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변호하고 판단하는 일이지. 과학기술 정책학? 굳이 박사학위가 있어야 정책을 세우나?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6 - 학생 입장에서야 책잡힐만한게 있었는지 돌아보고 얼른 털어내는게 좋겠지만
티오 확정해놓고 내빼는건 아니지
학생 미래가 우스운건가
교수가 ㅁㅊㄴ이라기보다
ㄱㅅㄲ가 맞음
남일이니 말은 쉽겠지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2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4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8 - 지나친 겸손은 독이 됩니다
그만한 자격이 있기 때문에 수상한 겁니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32 - 학부생이라고 하셨으니, 글쓴이보다 경험이 많은 입장에서 쓰겠습니다.
일단 알빠노입니다. 상을 잘못 준 거였으면 기관 잘못이고, 잘 준 거였으면 본인이 잘난겁니다.
하지만 상은 과거에 내가 잘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앞으로 잘 할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일 본인이 상 받기에 부족한 실력이라 생각한다면 노력해서 그 정도 레벨로 스텝업 할 수 있게 하세요.
아직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얘기하는데 솔직히 현직 교수들도 그렇습니다.
상 받았으면 주변인들과 같이 즐기고, 맛있는 것 먹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면 훌륭한 학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37 - 자연과학 >> 공학 >>>>>>>>>>>> 문사철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0 - 학술상은 원래 다 짜고 치는거니 그러려니 하세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1 - 상에 의미 부여하셔서 고민이 크신데 의미를 부여하지 마세요. 그럼 모든 문제가 해결됩니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1
카이스트/ 서울대 공과 대학원 준비 관련 질문 드립니다.
2022.07.04

저와 같은 대학원 입시 준비생분들이나 열과 성을 다하여 연구 중이신 연구자 분들 좋은 결과 맺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에 재학중인 상태이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KAIST 건설환경공학과 Smart city 석사 입학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두학교의 입시 준비에 관하여 선배 연구자님들의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1. 학점
저의 현재학점은 변환시 4.17 / 4.5 변환전 3.87 / 4.3 입니다.
열심히 준비하였으나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더군다나 자대생도 아니며 yk ssh급도 아니다 보니 학점이 많이 모자라다고 느껴집니다. 이정도 학점으로도 합격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2. 어학
현재 취득한 어학성적은 TOEIC 890점이며 TEPS 성적은 준비중인 상태입니다.
카이스트 입학시 TOEIC 890점이 어느정도의 경쟁력이 있는지,
서울대학교의 어학성적 cut 기준이 TEPS 327점인데, cut 기준만 넘으면 크게 불이익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3. 입시 준비
현재 계획은 혼자서 논문이나, 선배들의 조언을 구하여 연구계획등을 작성해볼 계획입니다.
시중에는 대학원 준비 학원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혹시 학원등을 다녀보는 것은 어떨지? 선배 연구자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4. 산학 장학생에 대하여
산학 장학생으로 지원하는 것에 대하여 산학 장학생을 경험해보신 분들이 느끼셨던 부분이 궁금합니다.
5. 현재까지 준비된 사항
학점 4.17 / 4.5, 어학 Toeic 890, 사업경험 有(기획, 시장조사, 홍보, 판매, 관리), 건설사 인턴 경험 有, 학부 연구생(논문 작성 中, 연구 참여 中), 파이썬(AI를 다루고, 신규 후배연구생을 가르칠 수 있는 수준)
제가 4년간 준비한 것들입니다. 많이 모자라고 여러분께 소개드리기 민망합니다만, 어느정도의 두학교의 입시에서 어느정도의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선배 연구자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조언이나 따끔한 충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의 연구와 진학에 좋은 성과가 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방대 학점 3.8 서울대학원 김GPT 38 45 17247
카이스트 건설및환경공학과 김GPT 5 13 4097
서울대 대학원 건축학과 입학관련.. 김GPT 2 6 12761
환경공학과 대학원 진학 김GPT 3 7 10830
카이스트 건설및환경공학과 김GPT 1 10 640
카이스트 건설환경공학과 김GPT 1 4 1830
카이스트 건설환경공학과 김GPT 1 2 3453-
0 2 815 -
0 1 978 -
198 31 54491 -
292 26 35755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8 21 9644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20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5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3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1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24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6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6 - 반 철학자 A 협회입니다.
6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60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5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28 - 현재 하브에서 불타고 잇는 주제 관해서
10 - 우리 교수님은 연구실보다 유투브에서 더 많이 봄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10 -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9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2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25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19 - 난양공대vs도쿄•교토대 (공대임)
10 -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2 - 대학원 동시합격 질문
10 - 어디까지가 포닥일까요?
13 - Comsol multiphysics 사용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8 - 학부연구생 한달차 벌써 너무 힘듭니다.
9 - 논문을 한국에 우선적으로 발표하고 싶은데...
10

2022.07.04
2022.07.04
2022.07.04
20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