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학부연구생이 학부때 놀껄 그랬다라... 귀엽네여 ㅋ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32 - 누가보면 포닥마치신줄 알겠어요 ㅋㅋㅋㅋㅋㅋ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52 - 이미 몸이 10창나서 아프다는거야 아플예정이라는거야?
인간이라는게 하루 4시간만 빡집중해도 일 더 이상 못함 철야 뭐 이런거 실험때문에 어쩔수 없다 쳐도 실험 돌아가는동안 앞에 물떠놓고 공양드릴것도 아니고
다들 대학원생활 잘하면서 연애도 하고 취미 생활도 하고 다합니다.
대학원만 가면 8to10 12다들 그렇게 사시는줄 아시나보네 ㅎㅎ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17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1 - 개소리 빨지말고 논문이나 쓰셈
대학졸업후 취업하는 루트가 100년정도 된건거
15 - 자율주행 기술 없다에서 나라가 망한다는 결론까지 도달하다니ㅋㅋ 논리 수준 심각하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20 - 노동자 과보호라 그렇게 죽여댐? ㅋㅋㅋ 수준 봐라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6 - 족쇄 자랑들 하냐? 댓글들 장난 아니네.
글쓴이님, 너무 힘드시면 좀 쉬어가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체력이 떨어지고 피로해지면 좋아하던 것도 싫증나기 마련입니다.
인생은 레이스가 아니니까요.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29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7 - 근거 없는 패배감 보단 낫죠. 어차피 문제는 있을 것이고 거기에 대한 대응책도 계속 나올 것입니다. 반도체 전기전자 우주항공 조선 철강 석유화학 신소재 군사 문화 많은 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앞서고 있죠. 앞으로 어려운 점들도 있겠지만 과거에 그랬든 미래에도 잘 대처해 나갈 거라고 믿습니다. 노령화 사회문제도 마찬가지고요. 망했다는 게 정확히 뭘 말씀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7 - 다들 연구만 해서 그런가 댓글에 쿨찐밖에 없네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20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0 - 글쓴이 성향은 창업입니다. 연구에 관심이 없어요. 그런데 박사를 스펙을 위해 한다는건 어불성설입니다.
반대로 연구만 쭉 한 박사들 주제에 창업이 쉬울 줄 알고 스타트업 뛰어들었다 망하는 경우도 많죠.
본인의 적성을 한번 고려해보세요.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6
카이스트/ 서울대 공과 대학원 준비 관련 질문 드립니다.
2022.07.04

저와 같은 대학원 입시 준비생분들이나 열과 성을 다하여 연구 중이신 연구자 분들 좋은 결과 맺으시길 바랍니다.
저는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에 재학중인 상태이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KAIST 건설환경공학과 Smart city 석사 입학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 두학교의 입시 준비에 관하여 선배 연구자님들의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1. 학점
저의 현재학점은 변환시 4.17 / 4.5 변환전 3.87 / 4.3 입니다.
열심히 준비하였으나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더군다나 자대생도 아니며 yk ssh급도 아니다 보니 학점이 많이 모자라다고 느껴집니다. 이정도 학점으로도 합격 가능성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2. 어학
현재 취득한 어학성적은 TOEIC 890점이며 TEPS 성적은 준비중인 상태입니다.
카이스트 입학시 TOEIC 890점이 어느정도의 경쟁력이 있는지,
서울대학교의 어학성적 cut 기준이 TEPS 327점인데, cut 기준만 넘으면 크게 불이익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3. 입시 준비
현재 계획은 혼자서 논문이나, 선배들의 조언을 구하여 연구계획등을 작성해볼 계획입니다.
시중에는 대학원 준비 학원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혹시 학원등을 다녀보는 것은 어떨지? 선배 연구자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4. 산학 장학생에 대하여
산학 장학생으로 지원하는 것에 대하여 산학 장학생을 경험해보신 분들이 느끼셨던 부분이 궁금합니다.
5. 현재까지 준비된 사항
학점 4.17 / 4.5, 어학 Toeic 890, 사업경험 有(기획, 시장조사, 홍보, 판매, 관리), 건설사 인턴 경험 有, 학부 연구생(논문 작성 中, 연구 참여 中), 파이썬(AI를 다루고, 신규 후배연구생을 가르칠 수 있는 수준)
제가 4년간 준비한 것들입니다. 많이 모자라고 여러분께 소개드리기 민망합니다만, 어느정도의 두학교의 입시에서 어느정도의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선배 연구자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조언이나 따끔한 충고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의 연구와 진학에 좋은 성과가 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방대 학점 3.8 서울대학원 김GPT 37 44 15795
카이스트 건설및환경공학과 김GPT 5 13 3885
서울대 대학원 건축학과 입학관련.. 김GPT 2 6 12292
환경공학과 대학원 진학 김GPT 3 7 10498
카이스트 건설및환경공학과 김GPT 1 10 511
카이스트 건설환경공학과 김GPT 1 4 1688
카이스트 건설환경공학과 김GPT 1 2 3255-
0 2 706 -
0 1 804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2 82 35735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88 22 55738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명예의전당 95 13 9787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10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89 - 현대식 저널 판별법
15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1 - 지도력 없는 교수 밑에서 처음으로 연구에 재미를 느꼈던 순간
44 - 연구실 막내 보면 많은 생각이 듦
67 -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36 - 대학원 서류 탈락 후 연락
6 - 남들은 잘만 연구하는데 왜 난 마지막까지 안되는것 투성일까
8 - 대학원 진학 고민
4 - 이 연구실 가도 되는걸까요?
9 - 배급견으로부터 연구윤리를 지키자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자
20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81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3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39 - 랩실 나가고 나서까지도 스스로가 계속 실망스럽네요
8 - 로봇 연구실인데 입학전 방학에서 할것들이 뭐가있을까요
10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38 - 카이 생화공 면접
10 - 선생님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6 - 나는 결국 버려지는 노예에 불가했나.
8 - 유니 수준?
6 - 대학원 출퇴근 시간과 저녁 없는 삶에 관하여.
14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21
2022.07.04
2022.07.04
202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