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상한 교수님을 만나셨네요
31 - 이런 문제에 대해 학과에 다른 교수님과 면담을 해보고
>>여기에 화나신 것 같네요.
23 - 까스라이팅을 당한 학생의 모습...
30 - 교수가 이상한사람이 맞습니다. 하지만 하나 당부드릴건 비단 연구실뿐 아니라 나중에 회사에서 이직하거나 할때도 이전에 있던곳을 안좋게 말하는건 지양하시는게 좋습니다. 당사자를 안좋게 보는경우가 많아서요. 특히 교수 세계는 매우 폐쇄적이고 좁아서 교수님들끼리 확인차 얘기가 나오면서 일이 이렇게 된듯 합니다.
16 - 그런것이 연구가 지지부진한 이유라면 크게 낙담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모든 연구가 그런 과정을 거치는 법이고 실패를 통해서 성장하는 법이니까요. 연구가 잘 안풀릴 때는 지도교수님과 주변동료들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그리고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셀프자극은 매우 권장하는 바이나 그로인한 지나친 자기비하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으니 너무 남들을 신경쓰지 않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각자의 속도가 있는 법이고 님은 아마도 대기만성형이실거에요. 뻔한 조언이라 크게 와닿지 않으실 수 있겠지만... 어쨌든 힘내시길 바랍니다.
14 - 얼마나 오랜시간을 있는지보다 중요한게 얼마나 효율적으로 그 시간을쓰는게 더 중요합니다.
일주일에 70시간 궁댕이 붙이고있어도, 중간중간 유튜브 보거나 커피마시러다니거나 흥청망청 시간흘리는 시간이 많으면 무슨 소용일까요? 스스로는 "난 70시간이나 연구실에 있어!"라고 할진몰라도 본인만족일뿐이죠.
제가 한국에서 학위받은 연구실은 자유출퇴근이였습니다. 저도 연구실에 꽤나 오랜시간 있었지만, 평소에는 적당히 중간에 쉬엄쉬엄했기 때문에 순수 연구시간이 엄청난지는 모르겠네요. 다만 바쁠때나 디팬스 받기 일년전부터는 정말 오랜시간 연구실에서 실험했던것 같네요. 그래도 연구실 분위기도 자유롭고 편했어서, 연구실에 오래있는게 전혀 부담되지는 않았습니다.
졸업이후 지금은 미국탑스쿨에 있는지 좀됐는데 여기는 하루에 6시간 일하는 미국인 친구도 있지만, 이친구는 그시간 내에 휴대폰도 안보고 밥도 안먹고 일만 합니다. 그러고 깔끔하게 퇴근하죠. 과연 이런 생활하는 친구가 하루 10시간 흥청망청 쓰는 사람보다 못한다고 할수잇는지 모르겠어요.
물론 가장 대단한건 하루 10시간넘게 집중해서 일만하는건데, 이러면 정말 번아웃 오기 쉬운것같아요. 지금랩에 중국인 포닥 한명은 이런데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14 - 그.. 설령 맞는말이어도 그런식으로 말하면 욕먹을텐데요..
좀 세상을 순수하게 보면서 삽시다. 꼬아보지말고요.
애들이 징징거릴수도 있죠 열심히 하는 학생들도 있을거고요.
25 - 솔직히 너무 맞는 말임 ㅋㅋㅋ
19 - 본인은 대단한 사람이라 일침 놓고 계신거군요
17 - 대학랭킹은 각 학교 본부들의 로비실력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 지표입니다.
저런 랭킹 백날 들이대도 연대-성대가 PK보다 좋은 학교고 세종대-영남대가 지스트-디지스트보다 좋은 학교라고 생각하는 사람 없잖아요?
세계대학랭킹이 이름 첨듣는 외국대학들 순위 궁금할때나 찾아보는거지 SPK가 어쩌고 YKSSH가 어쩌고 훤히 꿰고있는 우리가 저걸 참고할 이유가 있나요? 저거 평가한 외국 할배들이 연세대랑 카이스트 중 어디가 더 좋은 학교인지에 대해 한국 대학원생들보다 더 잘 알 이유가 있나요?
우리는 저기 나열된 학교들의 수준을 이미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순위는 국내대학들의 실력을 나타내는 게 아니라 대학랭킹들의 부질없음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18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진짜 응용 가능성도 없고 그렇다고 펀더멘탈을 연구하는 것도 아닌 개거품 심한 분야 (나노, 양자, 신물질 등등),
실력이 쌓여서 앵간한 논문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니까 보이는게,
논문들이 따지고 보면 죄다 지난 연구들 조금씩 뜯어 고친다음에 아가리 터는거.
내 지도교수도, 탑저널과 보통저널은 인트로가 결정한다고 대놓고 말하는데, 존나 회의감 듦.
논문 많이 나오는 분야들이 오히려 세상에 영향력 있는 연구 하기도 힘들고, 기업이랑 코웍하는것도 없음.
진로에 관한 것도,
우리나라나 해외나, 학계라는데 세부전공 한정하면 그놈이 그놈이라서 인맥 존나 중요하고,
고시나 다른 진로에 비해서 '운' 이 결정되는게 너무 큼.
예를들어 그래핀 뜰 때 그 코인 탄 사람들 죄다 탑스쿨 교수 되고, 그 사람들이 이너서클 형성하고.
요즘도 인공지능 같은 분야는 진짜 수월하게 교수임용되는데,
반대로 분야가 고인물이거나, 박사때 지도교수가 분야 엄한데로 바꿔서 실적 못 내거나 하면 나중에 만회하는게 거의 불가능이고.
똑같은 랩실에도 어떤 타이밍에 조인하느냐에 따라서 실적 차이 장난 아니게 나고 (적어도 실험전공은).
이와중에 경쟁률은 공무원 시험 뺨치게 높음.
공정하지도 않고 사회에 익이 되는것도 아닌 이런 시스템과 비 상식적인 경쟁체계가 있다는게 이해가 안감.
연구자로서 문제 해결능력은, 랩에서 누구에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고, 논문도 꽤 썻지만, 나는 학계체질이 아니라서 그런지 저런거 생각하면 그냥 빨리 졸업하고 다른거 하고 싶다는 생각밖에..
실력이 쌓여서 앵간한 논문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니까 보이는게,
논문들이 따지고 보면 죄다 지난 연구들 조금씩 뜯어 고친다음에 아가리 터는거.
내 지도교수도, 탑저널과 보통저널은 인트로가 결정한다고 대놓고 말하는데, 존나 회의감 듦.
논문 많이 나오는 분야들이 오히려 세상에 영향력 있는 연구 하기도 힘들고, 기업이랑 코웍하는것도 없음.
진로에 관한 것도,
우리나라나 해외나, 학계라는데 세부전공 한정하면 그놈이 그놈이라서 인맥 존나 중요하고,
고시나 다른 진로에 비해서 '운' 이 결정되는게 너무 큼.
예를들어 그래핀 뜰 때 그 코인 탄 사람들 죄다 탑스쿨 교수 되고, 그 사람들이 이너서클 형성하고.
요즘도 인공지능 같은 분야는 진짜 수월하게 교수임용되는데,
반대로 분야가 고인물이거나, 박사때 지도교수가 분야 엄한데로 바꿔서 실적 못 내거나 하면 나중에 만회하는게 거의 불가능이고.
똑같은 랩실에도 어떤 타이밍에 조인하느냐에 따라서 실적 차이 장난 아니게 나고 (적어도 실험전공은).
이와중에 경쟁률은 공무원 시험 뺨치게 높음.
공정하지도 않고 사회에 익이 되는것도 아닌 이런 시스템과 비 상식적인 경쟁체계가 있다는게 이해가 안감.
연구자로서 문제 해결능력은, 랩에서 누구에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고, 논문도 꽤 썻지만, 나는 학계체질이 아니라서 그런지 저런거 생각하면 그냥 빨리 졸업하고 다른거 하고 싶다는 생각밖에..
지겹지도 않냐? 김GPT 28 11 4539-
38 11 28809
대학원 학벌로 싸우는 거 참 부끄럽다 김GPT 11 17 9533
짭짤한 학계 장사 김GPT 25 16 9082
학벌로 싸울 시간에 김GPT 16 9 6413
학부 학벌이 별로라 무섭네요.. 김GPT 12 12 4917-
14 7 4293 -
13 15 9147
아 대학원 어렵다~ 김GPT 12 12 7459-
144 47 52795 -
347 66 42267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명예의전당 124 85 6759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1.07
대댓글 1개
2021.01.07
대댓글 1개
202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