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46

19848

진짜 응용 가능성도 없고 그렇다고 펀더멘탈을 연구하는 것도 아닌 개거품 심한 분야 (나노, 양자, 신물질 등등),

실력이 쌓여서 앵간한 논문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니까 보이는게,
논문들이 따지고 보면 죄다 지난 연구들 조금씩 뜯어 고친다음에 아가리 터는거.
내 지도교수도, 탑저널과 보통저널은 인트로가 결정한다고 대놓고 말하는데, 존나 회의감 듦.

논문 많이 나오는 분야들이 오히려 세상에 영향력 있는 연구 하기도 힘들고, 기업이랑 코웍하는것도 없음.

진로에 관한 것도,

우리나라나 해외나, 학계라는데 세부전공 한정하면 그놈이 그놈이라서 인맥 존나 중요하고,
고시나 다른 진로에 비해서 '운' 이 결정되는게 너무 큼.

예를들어 그래핀 뜰 때 그 코인 탄 사람들 죄다 탑스쿨 교수 되고, 그 사람들이 이너서클 형성하고.
요즘도 인공지능 같은 분야는 진짜 수월하게 교수임용되는데,

반대로 분야가 고인물이거나, 박사때 지도교수가 분야 엄한데로 바꿔서 실적 못 내거나 하면 나중에 만회하는게 거의 불가능이고.
똑같은 랩실에도 어떤 타이밍에 조인하느냐에 따라서 실적 차이 장난 아니게 나고 (적어도 실험전공은).

이와중에 경쟁률은 공무원 시험 뺨치게 높음.

공정하지도 않고 사회에 익이 되는것도 아닌 이런 시스템과 비 상식적인 경쟁체계가 있다는게 이해가 안감.

연구자로서 문제 해결능력은, 랩에서 누구에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고, 논문도 꽤 썻지만, 나는 학계체질이 아니라서 그런지 저런거 생각하면 그냥 빨리 졸업하고 다른거 하고 싶다는 생각밖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6개

Alfred Blalock*

2021.01.07

나중에 너도 고인물되면 이만큼 괜찮은데가 없다고 생각할껄
대충 인트로만 잘쓰면 논문 딱 써지고
어디가서 대충 입만 잘 털어서 돈타먹고

대댓글 1개

2021.06.14

글쓴이 말마따라 네이쳐 겁나 쉽게 쉽게 꿀 빨면서 쓸 수 있는 분야도 있다는데, 그 꿀 안 빨고 머하는지 ㅋㅋㅋ
E. E. Cummings*

2021.01.07

실력없는 패배자 특징 - 자기분야는 존나 어렵고 남들 분야는 운으로 쉽게 교수된다고 생각함

대댓글 1개

2021.06.14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쉽고 꿀 잘 빨 수 있을것 같은 분야는 일단 대가리 숫자가 많이 몰리는 법이죠 자연계가 가우시안을 이룰 때 본인 혼자만 푸아송 외치는 격 ㅋㅋㅋ
Max von Laue*

2021.01.07

시간 나면 리뷰 페이퍼 쓰고
E. P. Thompson*

2021.01.07

운이 안중요한 분야가 거의 없을걸? 교수가 성공하는게 운빨이면 사업 성공하는것도 운이고 회사에서 승진하는것도 운이고 의사/변호사가 흥하는것도 운임.
E. E. Cummings*

2021.01.07

엄청나게 혁신적인 내용이 아니면 논문을 못 쓴다면 당장 너부터 평생 졸업 못하겠지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Cummings // 그렇게 운으로 교수 됬다가 짐 싼 조교수들 요즘 꽤 보임. 니새끼도 곧 그렇게 될듯. ㅋㅋ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Thompson // 운은 어느 분야에서나 중요하지. 근데 사람들은 학계는 순수 실력으로면 결정될거라는 착각들을 하는게 문제.

2021.01.07

아직 시야가 좁으신듯.. 지금 그런 판단을 내리긴 이르고 다음 진로들 2~3군데 가보고 판단내리세요.. 학계체질이 아니시면 사기업 연구소 가서 굴러보세요.. 그리고 학계도 국내에 아주 극히 일부만 본 것 같은데 해외를 가보지 않고 판단하기는 좀.. 논문도 마찬가지인듯.. 글 보니까 아직 탑 저널 (NS or 자매지)는 못써보신것 같은데, 그 한 편 만들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감도 못잡으실듯..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Otto Hahn /

똑같은 네이처라도, 세부분야마다 그 난이도가 다르다는 말이죠.

대댓글 1개

2021.06.14

그렇다면 세부분야 중에서 쉬운 분야로 네이쳐 공장처럼 찍어내시고 바로 서울대학교 교수 하시면 되시겠네요 선생님 왜 그렇게 못하시나요 그렇게 할 실력은 안 되니까 신세 한탄 하는거 아니시겠나요 정 못 하시겠거든 입만 사신걸로 알겠습니다 ㅋㅋㅋ

2021.01.07

원글

진짜 응용 가능성도 없고 그렇다고 펀더멘탈을 연구하는 것도 아닌 개거품 심한 분야 (나노, 양자, 신물질 등등),

실력이 쌓여서 앵간한 논문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니까 보이는게,
논문들이 따지고 보면 죄다 지난 연구들 조금씩 뜯어 고친다음에 아가리 터는거.
내 지도교수도, 탑저널과 보통저널은 인트로가 결정한다고 대놓고 말하는데, 존나 회의감 듦.

논문 많이 나오는 분야들이 오히려 세상에 영향력 있는 연구 하기도 힘들고, 기업이랑 코웍하는것도 없음.

진로에 관한 것도,

우리나라나 해외나, 학계라는데 세부전공 한정하면 그놈이 그놈이라서 인맥 존나 중요하고,
고시나 다른 진로에 비해서 '운' 이 결정되는게 너무 큼.

예를들어 그래핀 뜰 때 그 코인 탄 사람들 죄다 탑스쿨 교수 되고, 그 사람들이 이너서클 형성하고.
요즘도 인공지능 같은 분야는 진짜 수월하게 교수임용되는데,

반대로 분야가 고인물이거나, 박사때 지도교수가 분야 엄한데로 바꿔서 실적 못 내거나 하면 나중에 만회하는게 거의 불가능이고.
똑같은 랩실에도 어떤 타이밍에 조인하느냐에 따라서 실적 차이 장난 아니게 나고 (적어도 실험전공은).

이와중에 경쟁률은 공무원 시험 뺨치게 높음.

공정하지도 않고 사회에 익이 되는것도 아닌 이런 시스템과 비 상식적인 경쟁체계가 있다는게 이해가 안감.

연구자로서 문제 해결능력은, 랩에서 누구에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고, 논문도 꽤 썻지만, 나는 학계체질이 아니라서 그런지 저런거 생각하면 그냥 빨리 졸업하고 다른거 하고 싶다는 생각밖에..

2021.01.07

글 작성한 사람은 되/돼 부터 어떻게 구분하는지 배우고 논문 작성하셨으면 좋겠어요.
Alexander Pushkin*

2021.01.07

그러니까 나노, 양자, 신물질 연구 분야는 개거품이니까 없어져야 한다는건가?

2021.01.07

맞말이긴 함
Gerald Holton*

2021.01.07

교수의 길이, 운이 특별히 중요한 분야는 맞음.

저 위에 의사 변호사 사업가 이야기 하는데, 걔네들은 최상위권이 아니어도 평타 훨씬 이상의 삶을 사는데, 학계는 교수/정출연 못되면 인생 조짐. 특히 순수학문은 더더욱.

정출연도 중하위권은 사기업 최상위랑 크게 다른지 모르겠고.

나는 자연과학 연구자라 대체로 동의하는데, 공대 컴공이나 잘 팔리는 전공하는 사람들은 너무 엄살이 심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거 같음.

2021.01.07

근데 모든 사람들이 물리학 배워야 한다는 건 공감함 ㅋㅋ

2021.01.07

ㄴ 아 잘못썼다 글 ㅋㅋ
E. E. Cummings*

2021.01.07

밑에 걸레물고 리플다는애랑 같은애구나

물리학과 비선호전공을 전공하고 졸업할 때가 되니 갈 데가 없어서
잘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인공지능 분야를 까대는 패턴이 똑같음

IF : 5

2021.01.07

이너서클이 준 카르텔정도로 심하고 다 거기서 거기인건 공감함 ㅋㅋ 아니 아무리 다른 모임을 가도 있는 사람이 다 똑같애

2021.01.07

근데 당장 응용사례 찾기 힘든 분야니까 대학원에서 연구하는거 아닌가?..
난 오히려 당장 세상에 영향을 줄 정도로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주제면 대학원에서 연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Cummings //

누구 말하는지 모르겠고, 이런 익명게시판에서 유저를 특정하는거 보니까 김박사넷에 엄청 심취하셨나 보네.

이게 인공지능 분야를 까는 걸로 보이면 니 자격지심임.
인공지능이 잘 나가는거는 맞잖아? 그 쪽 전공한 사람들이 운 때가 잘 맞은건 사실이고.
실적 대비 잘 풀리는것도 사실이고
이게 그 분야를 비하하는 건가?

이정도 논리도 이해 못하니 댁은 평생 논문쓰기 글렀을 듯.
Ernst Cassirer*

2021.01.07

여기서도 난리치네 역시 국평오 굿굿 글쓰는 습관이 똑같아서 못알아볼수가없네 취업준비 잘해라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저 밑에 50개 댓글 넘어가는 글 말하는거냐?

그 글에 내가 댓글 달았으니까 확인해라.

Ernst Cassirer // 니가 무슨 필적감정사냐? 웃기고 있네. 난 그 사람이랑 아무 관련 없고 내 글이 인공지능 까는걸로 보이면 니가 대가리에 좆박은 폐륜아새끼인것임.
Ernst Cassirer*

2021.01.07

쿨하게 인정하고 사과한다 미안하다

2021.01.07

세상 모든 일이 그렇죠..
Emil Theodor Kocher*

2021.01.07

Heinrich Otto Wieland // 네이처 논문 쓰는거 어렵다는거 인정해요.

그런데 그런 기회 조차도 받지 못하고 방치되다가 그냥 졸업하는 우수한 인재들도 많다는 사실을 알아주시길.

IF : 1

2021.01.08

이거 글쓴이 회귀분석 무새 걔 아니야. 다른건 몰라도 걘 아님 ㅎㅎ
Fyodor Dostoyevsky

IF : 1

2021.01.08

근데 '조금씩 뜯어 고쳐서 아가리 터는 것'도 본인이 경지에 올라서 대단치 않은 일처럼 보이는 것 뿐, 실제 학계나 업계나 그런 사람들 구하고 싶어서 난리임.

2021.01.09

ㅋㅋ 학계 나가면 뭐 운으로 적용되는 '더러운' 학계보단 나을거라고 생각하나? 논문은 엥간히 이해할 수 있는거같은데 공부만 처해서 바깥세상은 어떤지 모르나보이

2021.01.09

ㄴ 수능은 보고왔는지 모르겠는데 과탐영역 8개 과목 절대난이도가 다 똑같아야하냐? 아니 똑같을수는 있는거냐? 각 분야별 주제별 다 다를수밖에 없는데 과탐 난이도 차이 보정할라고 표준점수라도 구해줄까? ㅎㅎ 왜캐 불평이 많아 얘는

2021.01.09

그래서 졸업하고 학계 떠나서 인더스트리에서 일하는데 만족스럽습니다. 돈도 잘 벌고 하는 일도 실제로 필요한 일 하는거라 보람도 느끼는 중. 지금 하고 있는 분야가 좀 고이다 못해 썩은 반도체 쪽이라 그런지 학교 다니면서 논문들 나오는 거 보면 굉장히 회의감만 느끼면서 박사 했었음.
Emil Theodor Kocher*

2021.01.09

Alessandro Volta // 이건 무슨 씹병신인가 비유가 좆같네.

수능은 표점으로 normalization이 되잖아. 병신아.

그리고 학계는 성공하면 교수, 실패하면 장수포닥 이 간격이 너무 크다는 거야.
사회는 승진 못했다고 짤리고 바로 치킨집 차리냐? 의사가 개업해서 파리 날린다고 바로 폐인되냐?

2021.01.09

글쓴이 정신적으로 문제있는듯

2021.01.09

다 맞는말인데 댓글상태 왜이러냐

대댓글 1개

2021.06.14

맞는 말 하다가도 남들 하는 분야 쉬운거 핫한거 하고 꿀 빤다면서 원색적 비난하는거 보고 비공 박음 ㅋㅋㅋ

2021.01.09

그래서 내 말은 모든 분야의 편차가 모두 천편일률적으로 같으면 좋겠냐고 ㅋㅋ 니 말대로 표점으로 보정받는건 수능까지야 ㅋㅋ

대댓글 1개

2021.06.14

아앙 내 분야는 펀더먼탈 한 분야이며 논문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으리라 믿어지므로 내 논문의 인용지수는 남들 꿀빤 논문 인용지수x100배로 쳐주세요 징징징 ㅋㅋㅋ

2021.06.14

선생님 자기가 선택해서 들어온 대학원 다니시면서 도대체 어떤 삶을 살아오신겁니까 ㅋㅋㅋ

IF : 1

2023.08.15

제 생각에는 논문뿐만이 아니라 사람들이 하는일 대부분이 그런거같아요. 극소수의 아웃라이어만이 실용적으로 적용가능한 업적을 이루고 노벨상을 받지 나머지는 그냥 재미있는 연구하거나 일하면서 감사하게 돈받고 평범한 일생을 보내는 것도 괜찮은거 같아요

2023.12.02

잔머리로 놀고 먹긴 학계 만큼 편하데 없는듯. 솔직히 난 그냥 며칠 잡아서 토픽 정한다음 최신 논문 몇 편 읽고 나면 감 오고. 그다음 논문 적으면 끝. 교수님들도 대충 보면 될놈 안될놈 다 아는 것 같음.
무심한 도스토예프스키*

2025.07.30

그 조금 뜯어고치는게 쉬우면 너도나도 다 논문왕이겠지.

2025.07.31

그들만의 리그가 있지

2025.08.01

난 전정부에서 연구비 삭감할때 잘한다 싶었음

2025.08.03

맞는말이긴 한데 그럼 문과 관련 연구와 예체능 쪽은 그냥 썩어서 고여있는 수준이 아니라 핵 폐기물 쉐키들 밖에 없음 ㅋㅋ
다 거품 덩어리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