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바이오에서 배터리로 전향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21.07.15

15

3408

안녕하세요. 형님들. 우왕자왕하는 후배 하나 있다고 생각하시고 팩폭 부탁드립니다.

본인 ssh 바이오쪽 학부.
학점 4.0/4.5 현재 막학기 남겨둔 상황
원래는 뇌과학쪽 대학원에서 석박사할 생각이었음

지금 뇌과학 쪽 랩에서 인턴하고 있는데
흥미가 있긴한데 아무래도 뇌과학보다는 화학쪽 배터리가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듦.

목표는 석박사 후 정출연 가는 것이고,
정출연도 알아보니까 배터리쪽 수요가 많은 것 같고,
대기업 취업한다 해도 바이오 보다는 배터리가 나을 것 같음.
근무 환경이나 처우도 배터리가 나을 것 같고.

근데 솔직히 배터리에 흥미가 있는 것도 아니고 한번도 안해봐서 맞을지도 안맞을지도 모름.
배터리로 전향할까 고민하는 것도 위의 이유가 다임.
전망 좋아보여서..

화학은 학부에서 일반화학, 유기화학, 물리화학, 생화학 들은 게 거의 다인데
학부를 다른 전공을 했어도 석박사를 배터리로 하면 어떨까 너무 힘들까??
그리고 이런 생각으로 대학원 가면 안되려나??
그냥 원래하던 뇌과학 쪽으로 갈까?
너~~~무 안맞지만 않으면 본인 끈질기게 하는 건 잘함.

5월에 ist 배터리 인기랩 컨택했고, 긍정적인 답변 얻기는 했음..
형님들 조언 좀 부탁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온화한 토마스 홉스*

2021.07.15

우선 가도 됩니다.

근데 제가 말해주고 싶은건 본인이 가고 싶은 곳에서 잘 뽑아주는 (혹은 전망이 좋은) 연구분야들중에 본인이 제일 관심있는 분야를 하세요. 배터리던 뇌과학이던

대댓글 1개

2021.07.15

답글 감사합니다..
혹시 뇌과학에 대한 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2021.07.15

그냥 좋아하는 분야가서 잘하는게 장땡임.

베터리가 수요가 많아보인다?? 그만큼 공급도 넘쳐남.

화학 배운것도 없어보이는데 넘어가면 피토할 각오해야됨. 일단 교수가 뽑아줄지도 미지수.

좋아하는거 하는게 최고임. (개인적인 생각.)

대댓글 3개

2021.07.15

감사합니다.
뇌과학에도 사실 그저그런 흥미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분야가 눈에 들어와서 넘어갈 생각이었습니다..
둘 다 그저그런 흥미를 갖고 있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2021.07.15

일단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뇌과학 쪽으로 진학하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연구/공부를 하다보면 관심있던 분야도 관심이 없어지고, 없던 관심도 생기거든요.
갑자기 지금 베터리로 뱡향을 갑자기 바꾸는건 너무 무모하다는 생각이드네요.

저도 화학 > 고분자> 재료 > 고체촉매 등등 분야를 많이 바꾸면서 공부를 해왔는데,
늘 고민은.. 앞으로 뭐하지? 입니다.

2021.07.15

아 정말 감사합니다..
우선 그냥 인턴을 열심히 해봐야겠네요..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1.07.15

박사 4~5년 걸린다고 봐야 할 텐데, 5년만에도 바뀌는게 산업동향임

대댓글 2개

2021.07.18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4.02.11

뇌쪽은 시간이지나도 큰수요는 없을거에요 ㅋㅋ
만만한 장 폴 사르트르

IF : 1

2021.07.16

대기업 취업은 좋은 배터리랩 간다는 전제하엔 배터리가 훨씬 쉬울 것 같음(뇌과학쪽 대기업 수요는 잘모르지만서도, 배터리 인기랩은 회사에서 모셔감). 배터리 졸업자 수요가 넘쳐나도 인기랩에서 나오는 수요는 한정적이고 산업이 아무리 빨리 변해도 자동차도 석유에서 전기차로 갈아타는 마당에 배터리는 2~30년안에는 절대 망할수가 없음.

정출연은 솔직히 배터리가 유리한지 모르겠음. 수요가 많은 만큼 공급도 많아서 최상위권에서의 자리싸움은 겁나 치열함. 어지간한 대학 교수 + 좋은 정출연 자리 잡으려면 배터리 쪽은 탑저널 5편 포함해서 1저자수가 10~20개는 되야하는 것으로 보임. 아니면 네이처/사이언스 쓰던가.

결론 - 뇌과학쪽 대기업 수요가 많지않고 회사가 목표면 배터리 인기랩은 좋은 선택. 그러나 학계에 남는게 최우선일때 과연 이게 좋은 선택일지는...?

대댓글 2개

만만한 장 폴 사르트르

IF : 1

2021.07.16

그리고 서성한 학부 입학할 정도 머리되면 배터리 공부(는) 그렇게 어렵지 않음. 배터리는 머리보단 몸이 힘든 필드라서 인기랩정도되면 기본 세팅은 다 되어있을거고 적응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을 거임. 단 위에서 말했듯 좋은 논문쓰는건 다른 문제고, 학계남으려면 그 좋은 논문을 한편이 아니라 최소 5편 이상은 써야된다고 생각하면 됨.

2021.07.18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1.07.17

학계로 간다면 뇌과학이 상대적으로 생물 내 다른 분야에비해선... 괜찮은디..
그런디 배터리는 산업계에서 중요하죠. 배터리쪽으로 가실려면 무기화학 물리화학 3대역학 고분자화학 그런거아니고산 공학을 하셔야 고생 덜할거같은데. 저는 화학 부전공을 했지만 배우면서 아 난 이길이아니다 하고 바이오로 다시왔어요. 확실히 분야가 달라지면 배우는것의 초점이 다르거든요. 만약에 배터리로 틀려면 졸업 늦추고 편입이나 전과나 복전먼저 해보는거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1.07.18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뇌과학쪽에서 최고가 될 것이다라는 목표를 세우는 게 좋을 것이라 결론 내렸습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4.02.11

갈수만있다면 best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