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장학금, 인건비 안 줘도 되니까 직장병행

2025.09.20

9

1104

하고 파트타임 박사과정으로 받아 달라고 교수님과 합의볼 수 있습니까

처음부터 인건비 얼마냐고 물어보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하는데,

처음부터 저는 인건비는 기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직장병행...

이렇게 이야기 꺼내는 건 가능?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9.20

당연하죠. 그런데 직장병행 하면 당연히 인건비는 못줍니다. 원래부터 4대보험 직장가입자에게는 인건비 지급을 못합니다.

2025.09.20

직장인 입학 전형 있어요

2025.09.22

학교 규정을 물어보셈 보통 장학전형이 아닌 다른 학생구분으로 해야한다고 할거임. 당연히 교수랑 얘기 먼저 해서 교수가 허가해야하고 그뒤엔 학과사무실에 물어서 ㄱ

2025.09.23

할 수 있겠지만, 연구실 시야에서 바라볼게요.
글쓴이가 연구실로부터 인건비를 받지 않으면, 연구실 입장에서는 연구실의 업무(과제, 잡일, 행정일 등)을 시킬 수 없습니다. 글쓴이가 나 회사일로 지금 바빠 라고 하면 그만입니다. 그럼, 연구실에서는 아무 도움이 안되는 인력+졸업을 언제할지 모르는 존재+TO만 잡아먹는 학생+상황에 따라 재학생에서 연구도움만 요청하는 빌런일수도 있습니다.

대댓글 5개

2025.09.23

추가로, 파트 박사분들이 대게 연구실 내규의 졸업 기준보다 더 적은 상태로 졸업을 희망하더군요. 이런저런 사정 얘기하면서요. 재학생들에게 직간접적인 현타를 주거나 민폐끼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025.09.23

오. 이건 그럴 듯한 고려 사항이네요. 결국 노동력이 필요한 것인데, 그점은 인건비+장학금 지출을 줄이면서 많이는 못되어도 어느 정도 노동력을 제공해 보상하면 최적 지점을 찾아 의사결정할 수 있을 거라고 봐요.

2025.09.23

재학생에게 연구 도움만 요청할 정도로 무능하지는 않기에 그러한 특수 케이스들은 사바사이고요.

2025.09.23

네네, 그러한 부분이 교수님과 잘 얘기되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지도 교수님께서 얼마나 많은 파트박사 경험이 있으셨는지 모르겠는데요. 제가 있는 랩은 파트 박사분들이 좀 많습니다. 연구 분야가 산업계쪽입니다. 산학협력과제를 만드신 분들 이외에는 그 누구도 적절한 노동력을 제공해주신 분은 없었습니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 달랐습니다. 자의든 타의든요.

2025.09.23

무능이라는 관점보단, 연구실이 보유한 노하우/기술을 지속적으로 공유해달라는 의도입니다. 산업계에 계시는 분들이 일반적으로는 양산가능한 혹은 바로 적용 가능한 기술을 필요로 하시는 반면, 졸업을 위한 논문들은 보통 선행 기술을 요구하다보니까요. 연구실에서 이미 보유한 + 현재 지향하는 신기술들에 대해 공유를 요청하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