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이 아니라 이번 석사기간동안 운이좋게도 IF 10이상 (NCS급은 아닙니다..!) 5프로 정도 되는 저널에 1저자 1편 및 기타 sci 급 저널 1저자 3편 publish 및 학회 발표 등 좋은 기회를 얻게되었습니다..
지도교수님께서 다행히 저를 좋게 봐주셔서 추천서를 써줄테니 미국 박사를 권해주셨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재까지 컨택을 진행하엿을때 Top 50~70위권 정도의 학교에서 다행히 긍정적으로 답변을 해주셨고 연구 핏도 좋고 펀딩 지원 또한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저의 고민은 저의 최종목표는 한국 교수 혹은 한국 취업을 목표러하고있어 물론 연구 핏과 교수님이 중요하긴 하지만 이름값만 보았을때는 차라리 자대나 서카포로 박사하는것이 더 좋지 않을까 고민이 되어 여기 선배님들께 보내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2025.09.18
미국내 50위이면 이름값은 서울대가 낫겠지만 유학경험 자체도 귀중하고 연구 인맥 생각하면 유학이 더 좋을듯
대댓글 1개
2025.09.18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9.18
저라면 무조건 미국이요...
대댓글 1개
2025.09.18
말씀 감사합니다!!
2025.09.18
현재 본인 학부랑 석사 마친곳이 어디죠? 이 부분 먼저 생각해봐야 하고요 T50~70이면... 미국 대학이 세계 1등에서 100등까지 다 차지하고 그 다음 다른 나라 대학이 있는게 아니기에 거의 300~400위 수준의 대학인데 영미권인 것을 감안하면 실제 현실은 국내 400~500위권 대학과 비슷할 겁니다. 미국이 대단한건 SPK급 혹은 그 이상의 대학이 20~30개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분야에 따라 다르고 지도교수가 누구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그 랩 지도 교수가 얼마나 Active하게 논문 뽑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한국 교수로 리턴하는게 목표 중에 하나라고 하니깐 드리는 말씀입니다. 단순히 그냥 한국으로 돌아오는게 목표라면 신경쓰지 마세요. 미국 가서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진짜 중요한 것들을 배우고 세계를 무대로 살아가세요. 솔직히 전 이걸 훨씬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근데 한국 교수직에 관심이 있다면... SPK가 더 낫습니다 논문 실적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 한국 임용 시장에서 단순히 미국 대학 나왔다고 이점이 될 부분이 크게 없습니다 SPK 출신 보다 논문 수가 좀 부족하지만 미국 박사니깐 뽑아준다? 그런건 상상하기 힘드네요 그냥 이게 한국의 현실입니다 모든걸 정량적으로 평가할려고 하니 결국 논문 밖에 보이는게 없죠 해외 경험이 없는게 마음에 걸린다? 그럼 잠시 해외 경험 찍고 오면 됩니다. 그걸로 충분해요
대댓글 1개
2025.09.18
진심어린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현재 성대에서 학사 생활수 연세대에서 석사과정 진행중에 있습니다.. 그래서 혹시 자대에서 박사를 하거나 혹은 서카포에도 도전해보는 것도 미국박사를 가는것 보다 어쩌면 더 현실적인 방안일지 고민이 되었습니다.
2025.09.18
솔직히 그정도 스펙이면 컨택없이 미국학교 지원해도 탑20학교도 어드미션 받을거 같아요. 물론 학점 관리가 잘 되어있다는 전제하에서긴 합니다. 탑20권 학교에서 박사 받으시면 주저말고 나가셔요. 나가서 살아보면 정말 한국으로 리턴이 정답이다 아니다가 명확해집니다. 미국 학교야 지원 기간이 명확히 정해져 있으니 지원하고 결과 기다리면서 자대 포함 국내 대학원 지원하시면 될 거 같네요.
대댓글 1개
2025.09.21
조언 감사합니다!!
2025.09.18
컨택이 안되도 지원하세요. 그리고 12월까진 계속 컨택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저는 미국나오시길 강력히 권장합니다. 한국에선 얻을 수 없는 폭넓은 경험을 할 수있으실 겁니다. 그 정도 스펙이면 T30이내로 어드미션 충분히 받으실 수 있으실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9.21
감사합니다.. 최대한 여러 학교들을 폭넓게 지원해봐야겠네요!
2025.09.19
단순히 어느대학 가는지보다도, 어느 지도교수와 함께하는지 알아보세요. 미국은 지도교수의 영향을 좀더 크게보다보니, 정말 탑스쿨 나온 친구들도(t3) 랭킹 낮은 주립대(US 30-40위)에 진학하기도 합니다. 솔직히 저는 예전같았으면 한국에서 살고싶으시면 한국학교 나오시는걸 추천드렸을것 같습니다. 한국 리턴만 생각하시면 spk박사 학위 vs 6-70위권 학위 를 볼때 예전만큼 후자를 높게 평가해주지는 않습니다. 미국생활하시면서 고생도 많이하실텐데 (특히 시골이면 많이 외로울겁니다) 그만한 가치가 있을지 생각해봐야겠죠. 그렇기에 저는 이 경우라면 한국 spk에서 그냥 학위받는걸 추천드립니다. 근데 최근 한국의 미래를 볼때 미국에 나오신 이후에 선택지를 다양하게 갖고가는게 더 나을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미국이 천국은 아니지만, 분명 한국보다 더 이공계에 대해서 대우를 잘해주는것도 맞고, 자녀낳고 키우는데 좋은환경이기도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9.21
시간내서 이렇게 조언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9.20
저는 카이스트 강력추천드립니다 오히려
대댓글 1개
2025.09.21
조언 감사합니다..!
2025.09.20
한국 리턴 하실꺼면 서카포 추천합니다. 근데 T50 박사중인데 한국 400~500권 대학이랑 비슷하다는건 이해가 안가네요. 제 네트워크 안에선 같은 인터네셔널 학생들만 봐도 각 나라에서 제일 잘나가던 대학에서 왔는데...(서울대 북경대 교토대 등등) 보통 미국오는 학생들은 리턴보다 여기서 살려는 경우가 많아서 개인적으로 리턴생각하면 비추천해요. (리턴하면 이런 네트워크 의미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9.21
제 세부분야 기준으로만 순위를 찾아봤어서.. 순위보다는 가서 어떤 경험을 할 수 있을지에 더욱 무게를 두고 고민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5.09.20
일단해외대쪽학교이름을써주실래여? 전공랭킹말고네임도봐야대여 왠만하면당연히 해외로
대댓글 5개
2025.09.21
오하이오 주립대와 미시간 주립대 입니다!
IF : 1
2025.09.23
Umich 앤아버면 탑스쿨인데..요??
2025.09.23
엔아버는 아니고 MSU 미시간 주립대 입니다..!
2025.09.24
OSU는 대부분 이공계에서 충분히 좋은학교입니다.
IF : 1
2025.09.28
윗부들 말대로 여러군대 지원해보세요. 컨택, 지원, 합격 후 디클라인해도 서로 나쁘게 보지 않는게 미국 어드미션이예요.
2025.09.20
한국 리턴은 포닥을 어디로 가는지 이름값이 중요한데, 대가랑 네트워크가 있으려면 미국이 훨씬 더 유리합니다. 그리고 미국 나와보시면 한국 들어가서 연구하고 싶으신 마음이 싹 사라지실 겁니다.
대댓글 2개
2025.09.20
선택지를 고를 때 고려사항으로 드리고 싶은게 연구 클러스터가 중요합니다. 주변 명문대 + 연구소 등으로 이루어진 클러스터가 정말 너무나도 차원이 다른 기회를 제공합니다. 생명쪽은 명문대 + 연구소 + 메디컬센터 이렇게요. 예로들면 메릴랜드 주는 메릴랜드컬리지팤(명문대) + NIH(연구소) + 존스홉킨스, 메릴랜드 메디컬스쿨(메디컬센터) 이런 식으로 공유되는게 많습니다.
2025.09.20
한국에서는 진짜 손에 꼽는 분들 제외하면 연구만 온전히 최고레벨에서 마음껏 해볼 수 있는 기회 얻기 진짜 힘드실겁니다.
2025.09.21
미국교수나 연구원 생각 조금이라도 있으면 미국박사. 없고 한국에서 살거면 한국 좋은랩이 가성비 나음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18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18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18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18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19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20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20
대댓글 1개
2025.09.21
2025.09.20
대댓글 5개
2025.09.21
2025.09.23
2025.09.23
2025.09.24
2025.09.28
2025.09.20
대댓글 2개
2025.09.20
2025.09.20
2025.09.21
202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