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중앙대 및 서성한 반도체 소자 및 공정쪽 대학원을 진학하고 싶은 학생입니다! 추가적으로 준비할 사항이 뭐가 더 있을까요?

즐거운 피터 힉스*

2021.07.31

14

5842

학력 : 지방대학교 4년제 3학년 학부생
학점 : 3.5
전공 : 디스플레이공학과
어학성적 : 토스6
그외 자격증이나 기타사항 : CAT 2급, 컴활 1급, 반도체 공정실습 참여 1회, , 반도체 공정교육 수료, 반도체 관련 NCS강의 수료 2회




현재, 디스플레이공학 재학중이지만, 작년 휴학하면서 반도체분야쪽 공부를 해본 후, 반도체쪽으로 진로를 틀어본 학생입니다.
반도체 분야쪽 직무 공부를 하다가, GaN이나 SiC같은 차세대 반도체 디바이스 관련한 연구와, 반도체 장비회사 공정개발 및 pse등으로 불리우는 공정엔지니어분들이 하시는 공정분야에 흥미를 느끼고,

해당분야의 연구와 동시에 관련 직무사항의 요건을 달성하기 위해 석사를 준비해보려는 학생입니다.

그렇지만, 부실하다시피한 저의 경력사항이랄까요?

스스로 ㄹㅇㅇ같은 이공계 관련 직무지식을 얻을 수 있는 곳에서 공부를 하고, 반도체 관련 도서를 보고, 학교도 마침 디스플레이라 유사한 공정실습을 공부해본 경험은 있으나,

이정도로는 도저히 교수님과의 컨택을 할 시, 저의 포부등을 밝히면서 뒷받침할 사항으론 매우 부족하게 느껴집니다.

이런 상태에서, 어떤 부분을 좀 더 보강해서 가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학과 랩들은 현재, 소자쪽이나 공정쪽에 관련한 연구는 거의 없는편이다보니, 그나마 가장 좀 배울 수 있는 연구실에 가야 될텐데 그마저도 전지쪽 관련 연구실이고, 교수님도 제가 반도체쪽으로 가려는것에 어떻게든 회유시키려하는 것 보니, 분야도 비교적 떨어지는 게 아닌가 싶구요.


이런 시점에서, 현재 제가 교수님의 선택에 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으로 뭐가 더 있을까요?
반도체쪽 분야 관련한 연구실을 다니시는 선배분들의 말씀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조용한 미셸 푸코 *

2021.07.31

이런 시점에서, 현재 제가 교수님의 선택에 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사항으로 뭐가 더 있을까요?

학점이요.
"그렇지만, 부실하다시피한 저의 경력사항이랄까요?"
알면서 왜 학점을 그렇게 받아놓습니까. 대학원은 결과지상주의입니다. 머리가 좋아서 대충 일하던 머리가 나빠서 밤새면서 일하던 논문 2편 쓰면 졸업이고 아니면 나가는거에요. 그냥 교수가 가르쳐주는거 받아먹기만 하면 되는 학부 강의조차 결과가 그러면 누가 주도적 연구를 맡기고 시킵니까. 그거 다 돈인데요. 진짜 가고싶으면 재수강을 해서 4.5만점 가깝게 받아놓고 생각하세요. 치열하게 살아놓은 경험이 대학원 진학을 하지 않아도 본인 미래에도 도움이 될겁니다.

날카롭게 말했지만 현실이 그렇습니다.

대댓글 4개

조용한 미셸 푸코 *

2021.07.31

대학원 입시는 "CAT 2급, 컴활 1급, 반도체 공정실습 참여 1회, , 반도체 공정교육 수료, 반도체 관련 NCS강의 수료 2회" 이런거 세배로 쌓아놓고 학점 3.5 받아도 지방 사립대 학점 4.46 수석 못이겨요.
즐거운 피터 힉스작성자*

2021.07.31

학점이 부족한 부분은, 앞으로 3학기를 더하면서 보강해야 하는건 당연한 일일테고,

제가 지금 학부연구생을 앞으로 1년반이상 해나가면서, 일정 논문에 공헌한 증거라도 있다면,

그걸로라도 좀 커버가 될 수 있을까요?
조용한 미셸 푸코 *

2021.07.31

아뇨 그냥 당연한거나 잘하라구요. 왜 자꾸 한탕을 노려요. 4.4이상 받는게 최고에요
조용한 미셸 푸코 *

2021.07.31

대학 가려고 동아리 4개 봉사활동 120시간 유튜브 활동, 서포터즈 활동 등등 했는데 뭐 더하면 좋을까요? 수능은 5등급입니다.

2021.07.31

학점 인플레이션 시대인데 3.5면 그냥 자대가 맞죠

2021.07.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희망교수님께 메일 보내서 연구 인턴 해보는것이 위의 것들보다 최고의 스펙이 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후회하는 프랜시스 베이컨*

2021.07.31

인서울로 편입후 거기서 학점 4점대 받는게 최선일듯

2021.07.31

대학원 입시에서 공통적이면서도 최고로 중요한 요소는 항상 학벌/학점입니다. 보통 학벌은 바꾸기 어려우니 학점에 집중하는 것이구요. 지방 4년제 대학생이시라면 냉정히 말해서 수석졸업 수준의 평점(4.4이상)을 갖고 계셔야 교수님들께서 컨택을 받아주시는 정도입니다. 다른 부가적인 교육과정이나 체험학습.. 이런것들은 별 영향이 없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학점을 극도로 끌어올리셔야 하구요.. 남은 모든학기에서 전과목 a+를 받는정도를 못하신다면, 대학원 입시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하실 수 없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가능하다면 논문을 낮은 수준의 저널에서라도 1저자로 써보시는게 좋습니다만.. 이건 약간 운도 따르니 뭐라 드릴말씀이 없군요. 아무튼 최우선사항은 학점이라는걸 기억하시는게 좋습니다. 어중간하게 4점대 초반.. 이런걸로는 안되구요. 수석졸업급의 학점을 챙기셔야 하고, 실제로 수석졸업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높은대학원이라고해도 지방대 수석졸업이라고 하면 1명 정도는 TO를 할당해주거든요. 그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시면 그냥 자대 대학원 석사를 가신뒤 석사때 논문실적을 많이내서 박사를 타대학원 좋은 곳으로 가시는게 그나마 가능한 최선의 경로 같습니다.

대댓글 2개

2021.07.31

참고로 학점 다음 어필할 수 있는 요소는 논문실적인데.. 이것도 학점이 어정쩡하면 좀 평가절하되는 면이 있습니다. 제 동기 같은 경우 학부때 졸업유예 하고 SCI 1저자로 논문을 냈음에도 학점은 3.5정도 밖에 안되었거든요. 그때문인지 타대학 컨택할 때 잘 안되었다고 합니다. (보통 학점이 낮은데, 논문실적이 좋다면 지도교수님이 거의 써주었을 것으로 평가되는 면이 있는것 같습니다.) 결국 인서울중위권 정도의 대학원을 가더군요. 남은기간동안 전력으로 학점을 올리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방학때 자대대학원 연구인턴경험이라도 해보시는게 최선같네요.
즐거운 피터 힉스작성자*

2021.08.01

자세한 말씀 감사합니다. 사실 지금 이글을 보고 또 정리해보면서, 인서울 중하위권에 반도체 공정이나 소자쪽을 하는 몇몇 대학교를 지금 알아본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눈을 제가 너무 현실을 보지않고 높게 잡은 것 같네요....

2학년 3학년 죄다 4점대 넘게 학점을 받았지만 결국 1학년때 2점대로 받은 학점이 너무 발목을 잡네요...

너무 철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ㅠㅠ
긍정적인 찰스 배비지*

2021.07.31

부경대에서 3.5면 자대가셔야할듯한데..

대댓글 1개

2021.08.0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글에 부경대라는 말이 있음?
물론 자대가야될 거 같다는 건 ㄹㅇ 동의

2021.08.01

대학생 신분으로 논문에 기여를 얼마나 했나 이런건 교수 입장에서 눈에 다 보입니다.
그 정도라도 괜찮다고 생각하고 받아주는 교수도 있고, 아니면 얄짤 없다고 버리는 교수도 있습니다.
결국 할수 있는 건 최대한 하고, 그 다음에 컨텍을 해보세요. 결국 뽑아주는건 교수고, 교수 입장에서 봤을 떄 뽑을 만 하다 하는건 교수가 보는거니깐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