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박사 후 연구직 목표로 하는 예비대학생입니다..

2021.12.28

13

2650

나중에 화학이나 생명쪽 연구를 하고 싶은데
과 맞춰서 고대 화생공가는게 나을까요 아님 과 낮춰서라도 서울대 가는게 나을까요??

전자 선택시 가:고대 화생공 나:원광한
휴자 선택시 가:고대 화생공 나:설대 식동공
이렇게 쓸거 같습니다 언급한 학과 다 안정권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덤덤한 앨런 튜링*

2021.12.28

서울대

2021.12.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은 갈 수도 안 갈수도 있으니 학졸로 어디가 취업이 유망한지도 알아보고, 석졸이나 박졸로 어느분야가 모집공고 등 수요가 많을꺼라고 예상되는지도 알아보고,,

대댓글 1개

2021.12.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늘자 신문에 고등교육기관 대학, 대학원 졸업생중
군입대와 국내외 진학자를 제외한 취업대상자중 취업률 통계가 65.1%로 2011년 통계조사후 최저치라고 나오든데,,4대보험 기준으로 했다면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포함한 수치라고 보여지고,,, 글쓴이 대졸시기나 대학원졸 시기때 원하는 취업시장 수요를 예상도 해보고 전공을 선택하는 것도 잘하는 것이라고 보여지네요

2021.12.28

연구직도 그 종류가 굉장히 다양해서 뭐라 말하기가 어려움
서울대 프리미엄이 있긴 함
근데 요즘 분위기는 학부보단 대학원가서 얼마나 연구성과를 뽑아내는가를 더 중요하게 보는 것 같음
베스트는 서울대 진학 -> 전과 -> 대학원 진학 -> 연구성과 뽑기 인데,
고려대 그냥 가서 학부때부터 본인 적성 확인하고 대학원 진학해 연구성과 많이 뽑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함
그보다 연구직 하려면 박사까지 하는 10년 장기전 이니까 그거 명심하길 바람

위는 정출연 이상의 연구직 자리를 가기 위한 조언임

2021.12.28

동식공에서 화생공하기 쉽지 않을건데
전과한친구들을 내가 알지는 못해서
근데 연고대 출신들 우리 정출연에 꽤 있긴 함

대댓글 1개

2021.12.28

찾아보니까 서울대 농대에선 유사과로 전과가 어렵거나 안되는 경우가 있다고 나와있네요..

IF : 5

2021.12.28

연구원으로만 진로를 한정하지 말고 넓게 생각해보세요
체한 정약용*

2021.12.28

생명과학 하고 싶으면 의대를 가
의사 되고나서 대학원 가면 되니까

2021.12.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대 졸업했습니다. 당연 서울대에요. 화생공 전과 그렇게 어렵지도 않고 복전도 쉽습니다. 전과가 어려우면 복전하면 동등한 학사 학위로 인정 받습니다. 그리고 대학원 가는건 인턴이나 그 교수님 수업 들으면서 시작하는게 많기 때문에 훨씬 좋아요. 단점은 1. 관심 없는 전공 수업 듣느라 귀찮을 수 있음 2. 능력이 안되면 본 전공은 별로 안 좋기 때문에 이도저도 안될 수 있음. 그리고 첫인상은 질문수준이 너무 낮은 것 같습니다. 친구들 보면 화학이나 생명이라고 통틀어서 말하지 않고 화공이면 화공 바이오면 바이오 이것보다 더 자세하게 관심 분야가 있는 학생들이 많은데.. 대학교 가서 흥미를 찾아보세요.

대댓글 3개

2021.12.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참고로 서울대 상위권 학생들은 취업 따위에는 관심 없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게 취업이니깐요. 꿈이 크다면 높은 수준에 가서 어울리는게 좋아요.

2021.12.28

아직 대학 학부 수업도 안들어본 입장에서 섣부르기 정하기보다는 좀더 넓게 열어놓고 공부하면서 흥미를 찾으려고 합니다ㅎㅎ
그런 의미에서 포괄적으로 쓴것인데 거슬리셨나보네요..

2021.12.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하 거슬린 것까진 아닌데.. 저는 자연대 졸업해서 그런지 화학과 생명이라고 적으면 화학과 생물학과가 생각나는데 너무 열려 있지 않은가 해서 그랬네요. 화생공에선 비슷한 면이 있지만 그래도 과목 테크가 꽤 차이 나니깐 보통 2학년 마칠 때 정도엔 정하거든요. 물론 열어놓는 게 나쁘진 않지만 생각은 하면서 학교 다니는게 좋습니다.
똑똑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1.12.28

서울대가 고려대에 비하여 가지는 학부 프리미엄이 복수전공 등의 수고를 할 정도는 요즘 분위기 상 아닌 것 같네요.
적어도 1, 2년 고생을 하기에 너무 시간이 아깝네요.
대학원 계힉이라면 더욱더 가치가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