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이 상위권이 된지 얼마 안됐습니다.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는 이제 막 시작한 수준입니다.
2. 싱가폴과 홍콩은 영어를 쓰고 아시아의 허브 도시들로서의 역사가 깊습니다. (홍콩과기대가 NTU의 홍콩 버전 포지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요샌 분위기가 안좋긴 하지만...) 그렇다 보니 동남아 및 인도, 중국 학생들이 미국을 가지 않을 경우에 선택할만한 옵션이 됩니다. 가깝고 적응이 쉽습니다.
3. 적당한 비교는 서울대보다는 KAIST일텐데 (공과대학 중심이기도 하고, 해외에서 KAIST 말고 한국 대학 잘 모르는 경우가 꽤 됩니다), KAIST보다 NTU가 University of Singapore 시절부터 따지면 역사가 더 깁니다.
우리가 시작이 늦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여러모로 싱가폴과 홍콩이 유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홍콩은 중국 때문에 어떻게 바뀔지는 모릅니다만...)
대댓글 7개
IF : 1
2022.06.12
참고로 제 친한 베트남 친구가 싱가폴 대학과 KAIST를 붙고 싱가폴 대학으로 갔는데, 주변에서 굳이 한국에 갈 필요가 있냐는 얘길 많이 들었다고 하더라고요. 우리나라가 비자를 잘 주는 것도 아니고, 높은 삶의 질로 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도쿄대나 북경대가 한국 대학들보다 더 경쟁력이 있어도 한국 사람들이 미국을 가면 갔지 중국이나 일본을 굳이 안가는거랑 비슷한 이유로 느껴졌습니다.
2022.06.12
외람된 말씀이지만 반대 아닌가요? 과고 상위권은 다 서울대로 진학하고 해외에서도 서울 때문에라도 서울대를 더 많이 알던데..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
2022.06.12
미국에서 유학했는데요, 서울대는 다 알아도 KAIST 모르는 경우는 있어요.
너그러운 막스 베버*
2022.06.13
미국에 카이스트 아는 사람 카이랑 코웍하는 교수 아니면 아무도 없음.. 반면에 서울대는 대부분 압니다.
2022.06.13
미국에 서울대 출신이 워낙 많아서 대부분 한국대학중에 알면 서울대던데요 카이스트는 아예 모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2022.06.13
일반적으로 EE/CS 기준 미국 교수님들은 KAIST 를 서울대보다 더 잘 압니다 (더 낫다는 의미 아님). 어쩔수가 없는게, 교수님들은 모두 탑티어이시지만 KAIST EE/CS 교수/랩 숫자가 서울대보다 많아서 탑 학회에 노출이 많이 되기 때문이예요.
2022.06.13
저 EE/CS top10에서 미국에서 유학했고, 지도 교수께서 한국 지원자들 대학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적이 있었는데요, 역사가 오래되어서 그런지 서울대는 다 알아요. KAIST는 모르는 교수들이 있긴 있어요.
2022.06.12
싱가폴 대학과 국내 대학 모두 임용되었는데, 국내 선택했습니다. 둘다 탑급이고, 고민을 해보니 연구 지원이나 시드 같은게 싱가폴이 훨씬 좋습니다. 유능한 외국인들 수급도 좋고요. 공격적으로 젊고 유능한 교수들을 많이 데려와요. 다만 사회 자체가 젊다보니 직급이 올라갈수록 생기는 체계들이 좀 없더군요. 경쟁도 과도하게 심하고요. 이게 발전의 요인이 되지만 저해하는 부분도 있더라구요.
2022.06.12
다른거 다 떠나서 걔네 기본 언어가 영어잖음... 그거 하나로 홍콩이랑 싱가폴이 대학순위에서 우리나라 대학 뚫는거임
대댓글 1개
너그러운 막스 베버*
2022.06.12
이거 ㄹㅇ 영어권 국가는 영어 쓴다는 이유 단 하나만으로도 전세계에서 유학생 받음
무서운 소크라테스*
2022.06.12
한국, 일본 둘다 외국인한테 굉장히 폐쇄적인게 제일 큰거 같습니다 언어적인 문제도 있고요 문화 차이를 못 받아들이는 것도 있고요. 중국은 인구, 자본으로 밀어붙이는거고
2022.06.13
실제 연구 실적이 난양공대가 좋은 걸로 압니다
대담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2.06.13
지원 빵빵, 역사적 배경, 이미 진출해있는 사람들 다 따져봤을 때 잘 나가는 사람들, 특히 중국애들이 싱가폴이나 홍콩에서 교수 많이 함. 일단 거기서부터 이길 수가 없지.
2022.06.13
지원빵빵 핑계대는데 ㅋㅋㅋㅋ 한국서 서울대만큼 연구하기 좋은데가 어디있다고 그래요 ㅋㅋㅋ 이유는 두가지에요. 1. 영어권이냐 여부 2. 고인물이냐 여부. 싱가폴은 영어권이고 서울대는 아니고, 대학생과 대학원생 포닥중에 외국인이 얼마나 많은지.
대댓글 1개
IF : 2
2022.06.13
서울대 연구 실력은 저희 분야는 확실히 세계적으로도 좋습니다. 그건 맞는 말이지만 문제는 연구 지원이 아니고 결국 인지도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인지도에 직빵으로 연결되는건 대가 교수가 누가있느냐고.. 그건 무엇보다도 교수 연봉입니다. 서울대가 교수 연봉만 더 늘려도 지금보다도 훨씬 더 좋은 인재들이 올겁니다. 아직도 대학원생들이 잘하면 미국 같은 곳으로 나가는 현상을 없애려면 더 많은 숫자의 대가 교수가 필요합니다. 아니면 시간이 필요하겠죠 현재 계신 교수님들이 대가가 될때까지... 포닥은 잘 뽑기 힘들어보이더군요.
2022.06.13
예산차이가 크다고 들었고 서울대나 카이스트를 외국인이 졸업했을때 별 메리트가 없죠
반면 싱가폴은 외국인이 nus ntu나와도 취업이나 창업 다 괜찮고 홍콩은 여러분들이 잘몰라서 그렇지 싱가폴보다 낫습니다 외국인 취업 아주 잘되고 일자리도 많고 연봉도 싱가폴보다 높고 유학생 차별도 없고 오로지 실력으로 승부보는곳이죠 연봉인상률 세계 1위가 홍콩일겁니다 유학생 입장에서 매력있지만 우리나라는 배척이 너무 심하죠
2022.06.13
예산차이가 크다고 들었고 서울대나 카이스트를 외국인이 졸업했을때 별 메리트가 없죠
반면 싱가폴은 외국인이 nus ntu나와도 취업이나 창업 다 괜찮고 홍콩은 여러분들이 잘몰라서 그렇지 싱가폴보다 낫습니다 외국인 취업 아주 잘되고 일자리도 많고 연봉도 싱가폴보다 높고 유학생 차별도 없고 오로지 실력으로 승부보는곳이죠 연봉인상률 세계 1위가 홍콩일겁니다 홍콩 싱가폴은 유학생 입장에서 매력있지만 우리나라는 배척이 너무 심하죠
대댓글 2개
2022.06.13
그리고 유학생 일자리 규모나 연봉 일자리의 질
이런것들이 세계 3대 4대 금융시장과 apac 헤드쿼터가 대부분 홍콩 싱가폴에 있음 한마디로 외국인들한테는 한국과 비교할 필요도 없을만큼 우위입니다
2022.06.13
그리고 유학생 일자리 규모나 연봉 일자리의 질이나 이런것들이 우위고 세계 3대 4대 금융시장과 apac 헤드쿼터가 대부분 홍콩 싱가폴에 있음 한마디로 외국인들한테는 한국과 비교할 필요도 없을만큼 우위입니다 그래서 대학 선택시 우리나라 사람들 제외하면 대부분 홍콩 싱가폴을 선호합니다 특히 위로 갈수록 연봉차이가 큽니다
2022.06.13
.
2022.06.15
1. 싱가포르는 영어권 국가이자 도시 국가, 영어를 사용하여 국제적인 네트워킹이 잘되고 엘리트 비율이 타국보다 높음
2. 연구 기관에 관한 투자 정책이나 인프라 및 연구 기관조차 서양식과 동양식이 혼합. 싱가포르는 서구식 학풍이지만 입시는 한국만큼 매우 치열한 동양식.
3. 싱가포르는 무역의 요충지. 국제 자본으로 교류하는 비율이 높고, 연구 네트워킹도 활발.
그냥 저 3가지로 NTU, NUS, HKU, HKUST가 국제적인 교류측면에서 평균적으로 서울대보다 낫긴 한듯.
2022.06.12
대댓글 1개
2022.06.12
2022.06.12
대댓글 7개
2022.06.12
2022.06.12
2022.06.12
2022.06.13
2022.06.13
2022.06.13
2022.06.13
2022.06.12
2022.06.12
대댓글 1개
2022.06.12
2022.06.12
2022.06.13
2022.06.13
2022.06.13
대댓글 1개
2022.06.13
2022.06.13
2022.06.13
대댓글 2개
2022.06.13
2022.06.13
2022.06.13
2022.06.15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