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저널만 쓰는 분야 입장에서 nature machine intelligence 여기는 어떤가요? 이쪽도 AI쪽이 대다수인 저널같은데 PAMI가 탑저널이라고 해서 궁금하네요.
대댓글 4개
털털한 알렉산더 벨작성자*
2022.08.12
여기는 2년정도 전인가에 새로 생긴 저널인데 아직 주변에 쓴 사람을 못 봐서 정보가 따로 없음
JCR기준으로는 nature machine intelligence가 PAMI 제치고 1위를 먹긴 했드라..
2022.08.12
JCR 은 IF로 소팅하니까 그럴수있다고 봐요. 그런측면에서 JCR을 저도 막 신뢰하지는 않긴하죠.. 저희분야(로보틱스)도 초창기에는 낼수있었는데, 시간지나니까 AI로만 내더라고요. 그래서 저희도 science robotics아니면 네이처컴/sci adv.로 내고 그 다음에 TRO를 내요.
전통적으로 TRO가 분야 최고였지만.. 시간지나니 결국 NCS 자매지에서 잘만든 저널이 탑이 될수밖에 없더라고요. 근데 저희 TRO랑은 좀 다르게 PAMI 이곳도 transaction인데도 불구하고 IF가 생각보다 많이 높네요.
씩씩한 로버트 보일*
2022.08.12
밑에서 질문한건 비전분야 탑저널이고 비전분야 탑저널은 PAMI가 맞죠.
2022.08.12
주로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올라오고 잘못된 논문들도 억셉 몇번 돼서 논란이 좀 많았었어요. 머신러닝 쪽에서는 그런게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춤추는 플라톤*
2022.08.12
크으 실적 쩌시네... 교수님이신가
2022.08.12
사실 탑학회나 탑저널은 리뷰어들이 같다고 보면 됨. 어느 정도는 동급으로 인정해 주는게 틀리지는 않음. 어차피 같은 리뷰어 풀이 심사하기에
대댓글 2개
씩씩한 로버트 보일*
2022.08.12
submission되는 논문수를 비교할 때 두 리뷰어 풀이 같을 수는 없고 탑저널 리뷰어 풀이 탑학회 리뷰어 풀의 부분집합정도 되겠네요.
춤추는 플라톤*
2022.08.12
리뷰어 수가 차원이 다름. 같다고 볼 수 없지. 물론 리뷰어수가 훨씬 적은 저널쪽이 질적으로 리뷰어 퀄리티가 높을거라 생각됨.
2022.08.12
ㅇㅇ 내 말이 그말 ㅋ 같다고 한 의미가 세상에 리뷰어들이 차고 넘치는 거도 아니고 탑학회나 탑저널이나 모두 그 분야 탑 연구원들이 리뷰어로 활동 한다는 의미 ㅋ
2022.08.12
근데 난이도랑 별개로 CS 분야에서 저널이냐 학회냐를 따졌을땐, 학회 아닌가요?
PAMI가 전반적인 페이퍼 퀄리티 자체가 더 좋을순 있어도, seminal paper들은 어차피 CVPR에서 나올건데요. 사실 이건 탑스쿨 랩들이 어디를 메인으로 쓰는지만 봐도 답이 나오지 않나요?
대댓글 8개
2022.08.12
뭔 답이 나온다는거죠 쌀국수에 고수 넣는 사람들이 적으니까 우리 모두 고수 안 넣은 쌀국수를 먹어야된다는건가요?
2022.08.12
PAMI는 별개임... 저널이냐 학회가 아니고
PAMI는 보통 박사과정의 마지막 정리 논문 느낌이라 CVPR있으면 파미로 마무리 화룡점정한다는 느낌을 개인적으로 받음
슬기로운 존 스튜어트 밀*
2022.08.12
ㅋㅋㅋ PAMI가 특별히 그런게 아니라 원래 CS에서 각 분야의 탑저널은 학회 발표된거 잘 정리해서 내는 의미가 있음.
애초에 Extension 자체가 선택적 입니다. 그리고 contribution이 매우 큰 Extension이면 version2로 CVPR에 새로운 페이퍼로 제출하는것도 흔하구요. PAMI를 쓰는 미국 탑스쿨이 얼마나 되나요? 세계 유명 VISION LAB 대충 돌아도 보통 3년에 한개 낼까말까인데, 학회냐 저널이냐에 대한 대답은 학회가 맞는거 아닐까요?
2022.08.13
// 칠칠맞은 갈릴레오 갈릴레이님
그 논리라면 우리는 애초에 탑저널/탑학회를 타겟할 필요가 없습니다. IF 와 "탑" 이라는게 왜 중요한가 생각해보면, 결국 영향력인데요... 물론 낮은 저널과 학회에서도 Seminal 페이퍼가 나오기도 하지만, 일반적이진 않으니깐요.
씩씩한 로버트 보일*
2022.08.13
간단한건데. CS가 학회가 메인인건 맞죠. 이유는 아시다시피 저널의 긴 리뷰 프로세스가 CS의 기술 발전 속도를 못 쫓아가서. 근데 PAMI가 CVPR 포스터 보다 학문적으로 더 가치있는 것 역시 사실임. CVPR 포스터는 BK에서도 인정을 못 받음.
씩씩한 로버트 보일*
2022.08.13
그리고 award paper들은 당연히 다 오럴이고, seminal paper들도 대부분 오럴임 (100%는 아니지만).
털털한 알렉산더 벨작성자*
2022.08.13
정말 큰 논문들은 대부분 파미 버전이 있음.
예를들어 GRAD CAM이나 Faster R-CNN, Squeeze and Excitation 등
자상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2.08.12
그와는 별개로 학회가 간지나긴 함
대댓글 1개
씩씩한 로버트 보일*
2022.08.12
오럴만 간지 포스터는 그닥
배고픈 쇼펜하우어*
2022.08.13
여긴 비젼하시는 분들이 많으신가보네요. NLP 분야는 TACL이나 CL이면 ACL 계열 탑 컨퍼런스 논문이랑 굳이 급수차이는 안두고, 더 실험/이론적 증거가 풍부한 논문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비젼이나 NLP 말고 다른 분야들은 어떤가요?
2022.08.12
대댓글 4개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대댓글 2개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2
대댓글 8개
2022.08.12
2022.08.12
2022.08.12
2022.08.13
2022.08.13
2022.08.13
2022.08.13
2022.08.13
2022.08.12
대댓글 1개
2022.08.12
202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