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바이오 박사 연봉

IF : 1

2023.03.14

11

7654

보통 4500적힌 것도 박사 치고 적다고 생각했는데,
여성 경력단절 복귀지원에 3000대가 있어서 충격받음.
코로나 시국 전에 보던 숫자임..
그 기관 복귀지원이래도 몇년 쉰 사람들보다 몇달 쉰 사람들 주로 뽑는다고 들었는데..
박사 받고, 250도 안되게 받으면, 지금 과정생들 중에 그거보다 더 받는 곳도 있지 않나?
석사 경력복귀지원을 3000으로 올린걸 본 적 있었던걸 기억하는데, 아무리 사정상 쉬었다고 해도 4000이 안되는건 지금 물가에 너무한거 아님?

지원요강? 들어가보니, 나라에서 2300정도 지원하고 최소 연봉 3300계약해야 한다고 쓰여있음ㅋㅋ
진짜 3000대 주는거면 딱 맞춰서 주는거네. 지원 하는 사람이 있을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진지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3.03.14

솔직히 금액적인 부분은 문제가 있는게 확실하다고 생각되지만
반대로 높은 연봉을 줄꺼라면 굳이 단절된 사람이 아니라, 프레쉬박사 등 검증된 사람들을 고용할거라고 생각되긴 함(국가에서 지원을 해주더라도)

즉 저런 연봉이라도 경단녀들이 본격적으로 취업하기전, 1년정도 짧게 있으면서 감 잡기위해 필요한 사람들이 있을순 있다고 생각됨

대댓글 5개

IF : 1

2023.03.14

석사 테크니션이 아니라 박사임. 바이오분야라서 실험은 금방 안 끝나고 일년 안에 성과가 나오기엔 턱없이 무리. 기여에 따라 공동 저자 한두개 나올까? 그럼 필히 일년 이상 있어야 하고, 만일 1년만에 자의로 나와서 옮긴 대도 여전히 실적 부족으로 기껏 해야 계약직 포닥정도 가겠네요. 회사 알선 받던가 할텐데 그건 거의 석사 테크니션 취급일겁니다.
그럼 성과 모일때 까지 2-3년은 있어야 하는데, 그동안 학생보다 못 받으며 다니게 될걸요.
경력복귀 지원이 아니라 저렇게 되면 경력 사장이 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실제로 1년 다니고 나간다고 하면, 어디든 좋아하지도 않죠.

지원을 2300받으면 적어도 2000만 더 얹으면 4300은 됩니다. Pi입장에선 학부생 하나 쓰는것 보다 적은 금액 아닌가요?

2023.03.14

박사급으로 활용하려고 뽑는다기보단 박사급 일 할 능력 없는 사람을 걍 잡무로 채용하는 것인듯? 정책 취지를 잘 모르겟네. 애초에 박사급 능력이 있었으면 알아서 연봉 7000은 넘는곳에 취업을 햇을것이고.
진지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3.03.14

경단 박사가 그냥 1~2년 끊어진 사람을 얘기하겠음? 경단녀는 보통 그것보다 더 긴 기간이 모종의 이유로 단절된 사람이고
회사 입장에서 아무리 박사졸업이라도 필드에서 몇년동안 떨어져있던 사람을 고용하는 것 자체가 모험임

자신있거나 실적이 있는 박사면 애초에 이런건 거들떠도 안보고 본인 원하는 포지션에 가겠지.
본인 얘기한것처럼 2000만 얹어도 4300인데 왜 안그랬을까? 회사가 그정도 금액으로 지원하는 지원자를 원하기 때문이니까.

아무리 박사라고 해도 몇년동안 실험을안하고 필드에 없던 사람을 데려다놓으면 뭘 할거같음? 테크니션보다 잘하기는 할까?

1년안에 성과가 있던, 2~3년은 있어야하던 그건 본인이 노력해야 될 일이고
반대로 얘기하면 연 4천이상 주고 2-3년있어야 성과 모일꺼면 왜 경단박사를 뽑음?
PI입장에서는 연 2천이면 몇년동안 열심히 일할 박사과정을 뽑을 수 있는데

IF : 1

2023.03.14

1.요강 보면 그냥 몇 달 끊어진 것도 경단으로 몰 수 있음
2. 회사 입장에서 경단녀 부담되지만 회사도 저 지원정책 쓸 수 있음. 내 요지는 저 기관이 심하게 후려치기 하는거라 봄.
3.애시당초 "바이오박사"의 낮은 연봉 평균을 말 하고 싶었던 거임. 다른 분야도 박사 경단이 3000대냐고. 아님.
4. 몇년 경단 하시다 복귀 하시는 분들 대학 포닥 포지션으로 여러 분 뵌 적 있고 몇 달 헤맨대도 박사는 박사인지라 금방 박사 티 냄
5. 여자든 남자든 경단이든 아니든 실험실 옮기고 적응하려면, 1년은 적응, 2년부터 성과라고 포닥 면접보러다닐 때 교수님"들"이 너무 조급해 말라고 이야기 해 주시면서 질적 논문은 2년 이후부터라고 하셨고, 어느정도 수긍하는 편임. 바이오쪽에선 raw data포함 실험결과가 100개가 모여야 하나의 논문이 된다는 말이 있음. 1주에 1개면 100주고, 1주에 2-3개씩이면 30주~50주정도 걸림. 1년은 56주이니 데이터 모아서 퍼블리시 하는 것 까지 1년이면 빠른편임. 1년 안에 나오는 건 보통 바로 라이팅에 투입되는 거겠지. 그건 실험과 상관 없으니까 손 놓은 거로 월급 깎이는거는 부당하다고 생각함.
인포쪽은 데이터 아웃풋 자체가 다르니 더 짧게 논문 생산 가능하니 별개로 보고.
6 PI입장에서 박사 과정 2000주고 뽑는다고? 그럼 1000주고 박사 부리려는건 더 심각한 거 아님? 레프 톨스토이 말처럼 물박사 데려다 잡무 채용하려한다는게 더 말이 될 듯 하네..


2023.03.14

강제로 일하게 시키는것도 아니고 카르텔도 아니고 신경쓸 필요가 없다고 봄. 시장원리에 따라 그돈받고 일할 사람이 있으면 가서 일할것이고, 아니면 구인 못할것임. 애초에 일자리 찾지도 못할 사람을 국가지원으로 일자리 찾아주는거니, 없앨 정책은 아니라고봄. 글쓴이 말대로라면 없애도 별 상관은 없겟네 어차피 구인 할 수 있을리가 없으니
염세적인 마키아벨리

IF : 1

2023.03.14

저정도면 누가 지원해ㅠㅠ 정출연 포닥도 4000~5000씩 주면서 최소 2~3년씩 가능한 마당에...
인건비 적게주면서 안정적인 자리도 아닌듯 한데 너무 후려치네...

IF : 5

2023.03.14

지금이야 야 에바참치네 저걸 누가씀 하지만 막상 경단되면 얘기가 달라질수도 있을거임
저런거 하는 기관 분위기는 정해진 출퇴근시간 지키면서 다닐 수 있는 곳이 많은데 보통 박사가 적당히 돈 받으면서 많이들 다니는 곳은 저게 불가능함
경단녀 경력지원이라고 하지만 여전히 가족이냐 업이냐의 2지선다에서 파생된 혼종이라고 이해하면 간단할거임

2023.03.14

누군가는 쓰겠죠 뭐 본인이 쓸건 아니잖아요
집에서 노는거보단 낫겠지 하는 사람들이 쓸거같은데
울적한 알렉산더 플레밍*

2023.03.14

바이오 박사는 공급이 너무 많아

2023.03.15

헬조선 탈출합시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