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그대로입니다. 저는 학부생이고 앞으로 석박사 과정을 밟으려고 생각중입니다. 박사학위 취득 후 정출연 등 연구소의 전임연구원이나 교수가 돼서 연구를 하면서 벌어먹고 사는게 제 목표인데요, 전공이 문과기도 하고 제 학부가 소위 말하는 인서울 중위권(건동홍 국숭세) 중 한곳이라서 자교 이상의 교수로 임용되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상위권 대학교 문과 교수진들의 학벌을 보면 학부는 대부분 가장 낮은게 자대 학부기도 하고 자교 이상의 학교로 가지 못하는 암묵적인 룰이 있다고도 하더라구요.. 인서울 중위권의 학부를 나온 제가 비슷한 급이나 그 이상의 학교의 교수가 될 수 있을까요? 제가 원래 목표를 뚜렷하게 잡아야 뭐든 하는 성격이기도 하고 진짜 현실적인 답변을 듣고 싶어서 올리는 질문이니 냉정하게 답변해주셔도 좋습니다! 현실이 그렇다면 저는 제가 할 수 있는 걸 하면 되니까요 :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3.05.14
가능하던데요
2023.05.14
가능은 하지만 문과는 이공계보다 훨씬 힘들죠. 실적의 정량이 더 어려우니까 학벌 영향이 더 크지요
대댓글 3개
2023.05.14
그렇군요 박사를 어디서 했는지보다 학부 학벌이 중요할까요?
2023.05.14
이공계조차 사실 학부보다 좋은학교 임용이 쉽지않아요.. 경쟁자들보다 월등한 실적/경력을 보여줘야 할때가 많아요. 모든건 희소성과 관계될겁니다. 국내 좋은대학 학부입학보다 대학원입학이 훨씬 쉽잖아요.. 그만큼 대우를 받는거죠. 반대로 본인분야에서 가장유명한 곳에서 박사학위받으면(미국 탑대학) 그것만으로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기에, 임용에 큰도움이 될겁니다. 이공계도 단순한 spk박사학위자거 몇명이나 되는데.. 대다수는 학교는 커녕 정부연구소도 못가고 회사로 갑니다..
졸린 찰스 배비지*
2023.05.18
공대도 거의 어렵죠. 박사를 훨씬 좋은 곳에서 하던가 실적이 툭출나지 않으면.
2023.05.14
그렇다고 들었는데 솔직히 썩어 빠진거 같음.
어느 학문 분야든 업적보다 학벌이 중요하단 건 결국 해당 업계에서 전문적이고 양심적인 동료 평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걸 인정하는 꼴 밖에 더 되는지?
우리 업계가 이렇게 등신입니다 하고 부끄러워할 줄 알아야지 우리는 서울대 나온 선생만 받아요, 자교 타과 학부 나왔으면 그거 타교로 카운트해요 이게 말인지 방구인지.
대댓글 2개
졸린 찰스 배비지*
2023.05.18
억울하면 서울대 나오셔야. 저도 비 사울대라
2023.05.19
배비지//
저는 저런 분야도 아니고 카이스트 나와서 상관 없는데 그냥 옆에서 보기에 한심해서 댓글단거..
씩씩한 장자크 루소*
2023.05.14
개인적으로는 sky 이외에는 가능하다고 보기는 하지만… 솔직히 비추합니다.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일단 소위 학벌 좋은 분들도 똑같이 열심히 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실적이면 불리할 거고요, 이공계열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인 역량 자체가 뛰어난 분들이 실제로 고학벌이기도 합니다. 다른 한편 실적 평가가 어려울 분야일 수록 추천이나 네트워킹의 영향이 큽니다. 다만 출신 학부에 대한 인식 문제는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모르고 특히 글쓴분이 박사까지 마치고 교수직을 알아 볼 10년쯤 후의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도 사실입니다.
저는 비상경 사회과학 전공했는데, 미국의 탑스쿨 박사들도 국내 교수 자리 없어서 바로 임용 못 되십니다. 앞으로는 폐과 감원 등등 더 심할 것 같고요.
그런데 저는 반대로 묻고 싶네요. 그래서 만약에 학벌 때문에 안 된다고 제가 말씀드리면 목표를 포기할 건가요?
대댓글 1개
2023.05.14
학벌 때문에 힘들다면 교수 지원도 계속 하면서 연구소 알아봐야죠ㅎㅎ 제 말은 안된다면 포기하겠다는 건 아닙니다!
2023.05.14
하버드 박사면 학부상관없이 골라갈듯. 근데 하버드 박사 문과 극소수만 뽑던데
2023.05.14
Yk출신중에 skp 교수님 계시고 ssh출신중에 yk 교수님들 계심. 다 문과
졸린 찰스 배비지*
2023.05.18
서울대는 자대출신 비율을 줄이기위해 타대학출신을 뽑아 줍니다. 그런데 가급적 국내 학부는 좀 꺼리죠. 해외 학부를 선호합니다. 하지만 그런 지원자는 비교적 많지는 않고 보통은 업적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비 서울대 출신들도 기회가 있는 것 같네요. 그래도 뽑는 다면 해외 명문 대 박사를 뽑지 궂이 국내 학위자는 안뽑는 것 같아요. 뭐 자기들은 아니라고 하겠지만 실제 뽑힌 사람들을 보면 그렇죠.
졸린 찰스 배비지*
2023.05.18
목표를 높이 잡는 건 꼭 좋은게 아님. 대학원 유학갔다와서 모교에서 교수하는게 본인에겐 제일 좋아요.
2023.05.19
학부가 낮다고 박사 달기도 전에 미리 포기할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학부가 낮은 것이 이공계에 비해 좀 더 큰 팩터로 작용한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긴 합니다. 학벌 지도교수 등등이 임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인 것은 맞지만... 그 외에도 경쟁력 있는 스펙을 충분히 쌓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3.05.14
2023.05.14
대댓글 3개
2023.05.14
2023.05.14
2023.05.18
2023.05.14
대댓글 2개
2023.05.18
2023.05.19
2023.05.14
대댓글 1개
2023.05.14
2023.05.14
2023.05.14
2023.05.18
2023.05.18
202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