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분야는 응용분야라 데이터 사이언스랑 이것저것 많이 했었음. 그러면서 한동안에 우리 분야에서도 코딩자동화나 Code Generator 같은 기술이 반짝이고 스쳤는데, 우리 후배가 그러더라. ChatGPT 잘 쓰면 코딩도 짜준다고.
한동안 친구들이 이직고민 있으면 데이터 사이언스 (시계열이나 MCMC 불확실성 분석까지도 가능한 수준으로) 배워서 그걸로 이직하라고 추천했는데 요새는 그런 말 입에서 꺼내지도 못하겠음. 근데 실제로 AI 관련 연구하는 사람들이나 AI 프리랜서 개발자들한테는 얼마나 타격이 심할까 .. 싶기도 하고
물론 코딩 못하고 코딩 흐름 읽는 능력 떨어지는 사람이 ChatGPT를 써서 코드를 받는다 한들 그게 얼마나 발전에 도움을 줄까 싶긴 한데, 은연중에 느껴지는 공포감이 있음 ㅋㅋ
나도 한번 레퍼런스 분석 맡겼는데 (친구 프리미엄 라이센스 빌려서) 꽤 고급진 영어표현으로 잘 요약해주는 걸 보고 놀랬음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3.05.21
솔직히 구글보다 조금 더 편해졌다 뿐이지 본질은 구글 검색하는 것과 별반 다를게 없다고 보는게 그런거에 위기감을 느끼시는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지금도 왠만한 전공지식은 구글, 유튜브에만 쳐도 엄청 잘나와 있어요. 실제로 과거에는 그걸 문제 삼기도 했었고요. 하지만 무엇을 찾아봐야 하는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천지 차이이고 또 찾아본 내용이 맞는 내용인지 틀린 내용인지 판단하는 건 결국 사용자입니다. 때문에 개인적으론 위협을 느끼시는 이유가 잘 이해가 되질 않네요.
대댓글 2개
2023.05.22
코드에서 위협을 느끼는 이유는 맞다 틀리다가 코드 결과로 바로 확인 되기 때문입니다.
2023.05.22
듣자하니 openAI가 GitHub 소스 코드들 긁어다가 트레이닝 시킨 것 같던데 (마소가 애초에 github private repo들 포함 모두 소유하고 있는 셈이니) 애초에 그 방대한 training set 을 100% 검증했을리도 없거니와 원하는 디자인이 조금만 복잡해져도 뽑아내는 코드가 교묘하게 틀릴 수가 있는지라 그렇게 오버할 필요가 없는 것 아닌가 싶기도..
2023.05.22
대답하는 인공지능은 나왔죠. 질문하고 피드백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나오면 얘기가 달라질겁니다. 저 또한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에 두려움이 생기네요.
2023.05.22
더 편해진 구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무 생각없이 긁어다 쓰면 낭패를 보게 되니, 결국 사용자 역량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툴이라고 생각되네요.
재빠른 척척박사*
2023.05.22
지피티 그거... 저는 안씁니다... 요약은 잘 해주겠죠 근데 레퍼런스를 창조하는거 보고 그 다음부터 안쓰고 있어요 바드는 그래도 자체 스콜라도 있고 인터넷기반이니 좀 다르지 않을까 싶었는데 바드도 똑같더라고요. 언어 인공지능의 한계인가봐요
호탕한 막스 베버*
2023.05.23
내가 느끼기에 관련분야 구글링 하고 조사하면서 공부한 후에 더 참신힌 아이디어 없을까? 해서 지피티 써보면 별로 찬신한 정보를 주진 않는것 같음. 걍 내가 틀린방향으로 조사한건 아니구나 확인하는 정도?
2023.05.21
대댓글 2개
2023.05.22
2023.05.22
2023.05.22
2023.05.22
2023.05.22
202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