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공대 석사가 경제나 회계 박사 가면 이상하게 볼까요?

점잖은 가브리엘 마르케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5.26

4

1035

주식 때문에 관심 가지게된 영역인데 너무 재밌어 보여서요, 자꾸 본 전공에 집중하려고 하는데도 눈이 슬금슬금 가네요

아 제 전공은 컴퓨터공학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3.05.26

공학백그라운드에 CPA 회계사 따는분은 봣는데 (저도 시험볼라고 준비해본적이 있었지만 지도교수 조언으로 전공에 올인..)
학부수준 지식없이 박사과정...은 이상하게 보는게 문제가 아니라 수업이나 퀄 따라갈수 잇을까요? ML AI 접합하는 연구라면 이미 콜라보로 많이 했을거같기는한데 그런걸 굳이 한사람이 두분야를 배워서 할 필요가 없능세상이라...

2023.05.2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충 고딩들이 자기 책 읽는거 좋아하니까 국문과 가겠다는 거랑 비슷
진지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3.05.26

해도 되는데
주식으로 인해 관심 갖게 되었다는 게 좀 …
거기서 한 스텝 더 나아가서 어떤 세부전공이 있고 어떤 연구하는지 제대로 이해하면 당연히 문제 없죠.
이상하게 보는지를 걱정할 게 아니라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지가 문제

2023.05.26

상관 없죠. 학부-석사-박사-직장 모든 단계의 분야가 다 다른 사람도 있는데요.

하지만 계속 그 기록이 따라다닙니다.
취업 할 때도 면접에서 전공 왜 바꿨냐고 물어보겠죠.
그럴 때 단순히 주식 관심 있어서 했다기보다는, 석사 때 업무와 방향이라도 연관을 지을 수 있으면 면접 때도 도움이 될 겁니다.

업무경력도 아니고 학부-석사-박사 학위의 전공이 사실 의미하는게 별로 없습니다.
취업하면 어차피 새로 배운다고들 하잖아요.
가끔 보면 학위 전공이 전부이고 스페셜리스트인양 말하는 사람들 있는데, 그렇게만 생각하면 그 분야 그대로 취업 못하면 나가리에 인생 망한 사람인가요?
학위과정에서 과제를 다루고 보고서/논문 써보면서, 어떤 주제에 대한 문제점을 찾고 해결 방안을 기획해서 해결하고, 그걸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있게 문서화하거나 발표하는 일련의 과정이 중요한거죠.
대학원생때는 내가 무슨 전공이니 뭐니 얘기하지만, 막상 박사분들하고 얘기하면 특정 전공이 아니라 "우린 뭔가를 찾고 해결하는데 특화된 사람들"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물론 기초적인 배경지식 자체를 받아들이는게 오래 걸리긴 하지만, 말 그대로 시간이 좀 걸릴 뿐 이예요.
본인 의지가 있다면 그런 단계도 금방 지나가죠.

그러니 전공 바뀌는 것 자체에 대해선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흥미만으로 입문해서, 그 의지가 꺾이지 않을 자신이 있냐가 문제인 것 같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