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석사생에게 과제나 프로젝트 안 주는 연구실

2025.10.23

6

1315

현재 석사 1학기 차입니다. 연구실이 생긴지 2년 정도된 신생 랩입니다. 인턴 기간까지 하면 1년차가 넘었는데 이상하게 석사생에게는 과제나 프로젝트를 주지 않습니다. 석박 통합 학생에게만 과제, 프로젝트를 맡기고 저에게는 뭔지 알려주지도 않고 그냥 제 학위 논문 주제만 하나 알려주셨습니다. 다른 연구실에서 인턴을 해본 적이 없어서 그런데 원래 흔한 일인가요?

저도 과제를 맡아보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 너 일 아니니깐 신경 끄라고 하고 심지어 석박통합으로 입학 예정인 아직 학부생들에게도 알려주고 가르쳐주고 같이 실험 중인데 저만 아무것도 모릅니다.. 원래 이런게 맞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10.23

과제가 적으니 장기적으로 오래 볼 석박통합 위주로 가는거 같네요…
사실 다른 랩실도 비슷비슷 합니다. 꿀 떨어지는 좋은 과제는 박사생이나 석박통합에 가기 마련이죠
그냥 자기 연구 주제만 하든지 아니면 잡무라도 도와주면서 참여하든지 해야합니다
사실 이것만 놓고 봤을 땐 석박통합 전환하는게 해결책이긴 한데…걍 더 좋은데 박사하러 가세요

2025.10.23

나같아도 1년 뒤에 떠날사람 보다는 6년 이상 같이 볼 사람을 더 키우긴 할듯

2025.10.23

1. 과제 연속성 : 막학기 졸논쓴다하고, 첫학기 (짧게 봐줘서) 트레이닝 한다하면 실 과제 수행 기간이 1년이라 인수인계 많아져서 번거로움
2. 학위 목적성 : 석사를 독립적 연구자로 보는 경우는 잘 없고, 주로 문제 해결은 박사의 영역이라 통합/박사 과정생에게 그러한 경험 부여
3. 실적 몰아주기: 석사는 해봐야 취직하거나 다른 랩가니까 좋은 경험은 오래 인연 이어갈 통합/박사과정생한테 주는거

통합 전환하거나 딴랩 박사가서 하는게 상책일듯

2025.10.23

사실은 과제를 수행할 능력이 있는 사람만 넣는 게 맞긴 하고 보통 정부 과제가 5년 정도로 길게 참여한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석사는 우선순위가 떨어지죠. 어찌됬건 중간에 나갈 사람들이니까요.

2025.10.23

석박통합을 편애하는건 어쩔 수 없음
그리고 석사과정생한테 맡기느니 직접 한다 마인드의 지도교수나 고년차 박사과정생도 있음

2025.10.23

헌국에선 흔치않지만 해외에선 흔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