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9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1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2020.06.24

과학고 애들은 사교육의 산물일 뿐이다
라고 생각하는 애들은 아마 어린 시절을 뇌에서 지워버린 애들일 확률이 높다
내가 지금 과외하면서 느끼는거 하나가, 얘는 하나를 가르치면 둘을 아네? 금방금방 올라오고 가르치기 수월하다 하는 애들은 무조건 잘되고 과고 설카포 테크 탄다
반면 부모가 죽어라 과외시키고 내가 아무리 애써도 공부 절대 안하고 끌어올리기 너무 힘든 애들이 있다. 그런 애들은 학원 보내놔도 걍 그저그런 성적에 그저그런 대학 간다. 그래놓고 나중에 하는 소리가 '야 쟤들은 수백짜리 과외받은 애들이야 이길수가 없어 ㅋㅋ' 하더라
정말 신기하게도 전자의 경우 나한테 은인이라면서 몇년이고 고마워하신다. 나는 그저 잘 따라와서 재밌게 가르쳤던것 뿐인데 ㅋㅋㅋ 반대로 후자의 경우 선생 잘못 만났다며 때려친경우도 봤다. 애가 하도 숙제를 안해오고 수업시간엔 졸고 그래서 나도 힘들어서 손놔버렸고 한번 과외비 환불하고 못하겠다고하긴 했는데
하여튼 하고싶은 얘기는 애초에 학원이 만들어낸 인재는 없다는거다 ㅋㅋ 강남대성 다닌다고 다 서울대 의대 가나? 같은반에서도 서울대의대 인서울하위권공대 나눠지는데.. 그냥 태생이 다른거다
여기 모두 공부 한가닥 했던 친구들인데 부모님이 우리애도 한번? 하는 생각 안해보셨을 같냐 ㅋㅋ 부모님과 환경은 노력했다. 그걸 따라갔냐 못따라갔냐의 차이지
요즘 대학원생 이상한 애들 많다 김GPT 143 47 44307
지균의 현실 김GPT 5 6 5833-
41 11 30995
외모에 대한 생각 김GPT 18 5 7701
공대 주제잡기 김GPT 0 3 1884
공대생의 어쩔 수 없는 현실 김GPT 20 30 14140
우리 대학원생이 과학과 기술의 미래다 김GPT 27 5 6317
대학원 진학으로 얻는것과 잃는것 김GPT 15 13 11104
대학원생 분류 김GPT 33 6 12812-
382 60 44131 -
198 34 23035 -
313 68 8893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06.24
2020.06.25
2020.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