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한국이 다른 국가보다 학부학력을 더 따지는 이유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6.08

45

23007

* 학벌 중심 사회 구조

-헬조선이 아니랄까봐 과거 조선시대 과거제부터 이어져온, 시험을 통한 신분 상승과 엘리트 계층 진입이 핵심 아젠다임. 조선이 멸망하고 사회가 완전히 바뀌었으나 과거 전통이 현대에는 대학 입시와로 연결되어 평가받는 세상

-대학교 서열문화(소위 스카이) 문화: 특정 대학 출신이 사회적으로 우대받는 현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그 출신들이 위에서 밀어주는 분위기


*교육시스템의 구조적 특징
-대학 입시의 과도한 경쟁: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이 오로지 대학 입시, 특히 명문대 진학에 집중되어 있음. 왜 본인이 특정학교 혹은 특정학과에 진학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없음. 의대진학? 하방이 낮은 전문직이니깐 이 대부분이고 현실임.

-학부 중심의 평가: 다른 국가들은 학부는 그냥 피자의 토핑같은 존재임. 전공을 선택하고 그 기반을 다지고 여러가지 경험을 하면서 학습하는 시절임. 전문적인 교육과 연구는 오히러 대학원에서 더 많고 높게 평가됨. 솔직히 대학별로 교육수준과 커리큘럼이 크게 다르지 않는데 학벌이 사회 전반적으로 ‘인생의 성적표’처럼 여겨짐.


* 한국의 고질적인 대학문화

- 서구권과의 비교: 북미·유럽 등은 전공, 대학원 연구, 인턴·실무 경험, 동아리·봉사 등 다양한 역량이 중요시되고, 졸업 이후 재교육/커리어 전환도 매우 활발함. 미국의 경우 방학때만 되면 연구실에 인턴으로 들어가거나 아니면 코옵으로 기업체에서 실무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많음. 반면, 한국은 일단 학부에서 ‘찍힌 낙인’이 평생 따라붙는 경향이 강하고 대학에서 몸값 상승을 위한 노력과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음. (이건 국가 차원에서 대학에 대한 투자를 매우 높여야한다고 봄. 중고등학교 1인당 교육비의 2-3배까지 늘려야함)


* 블라인드 채용? 의미없다

- 과거 혹은 최근 학벌 위주의 평가를 지양하는 블라인드 정책이 일부 도입되고 있으나, 여전히 ‘학교’가 중요한 스펙으로 작동하는 구조가 쉽게 바뀌지 않고 있음. 그럴 수 밖에 없는게 학교가 좋을 수록 더 좋은 기회가 많은건 사실이니. 학벌이 결국 인생의 성적표이자 안전수표로 기업에서도 동의하는 기조.




좋은 대학 출신은 소위 대학교 서열화 훌리짓을 하지 않죠. 이미 가진 사람들이니깐요
키가 이미 180을 넘는데, 본인 키를 자랑하거나 키작은 남자를 비난하는걸 봤나요?

애매한급의 대학출신들이 훌리짓을 하면서 올려치기를 하는겁니다.
보통 1-2학년에 제일 심하고, 3학년 취업시즌이 되면 보통 원상태로 돌아옵니다.
어린시절에 시간낭비 하지말고 그럴 시간에 본인에 더 투자하는게 가성비 좋습니다.

그리고 학부학벌이 나쁘다고해서 좌절하거나 포기하기엔 이릅니다.
인생은 길지만 그렇다고 1년이라는 시간이 결코 짧은건 아닙니다.
과거보다 학벌에 대한 이미지가 떨어졌으면 떨어졌지 강화되진 않고
사회 각 계층에서 오히러 아웃라이어들이 많아지는 추세입니다.
본인의 차별성과 강점을 반드시 찾고 노력하는 시도를 해야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5개

2025.06.08

전 학벌 좋아서. 학벌주의 너어무 좋아요

대댓글 8개

2025.06.09

학벌밖에 내세울게 없는 사람들이 이런 말 많이함

2025.06.09

ㄴ 학벌도 못 내세우는 사람들이 이런 말 많이함

2025.06.09

혜택 좀 받았나?

2025.06.10

설대출신인데 우리세대땐 이런거 속으로난 생각해도 밖으로 내뱉고다니지 못햇거든. 요즘은 걍 대놓고 내뱉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난거 같더라고. 갠적으로 좋아보이진 않아. 천박해보이거든

2025.06.13

뭐 일정 정도 인정하고 보상 받아야지만 압박감도 있어보이던데
이 사람은 욕심이 없나보네

2025.06.13

욕심없어서 대학원 옴 ㅋㅋ

2025.06.15

서울대 법대말고 학벌없음

2025.06.15

과거 sky가 1티어 시절, 그사람들이 이런얘기 안했고
그 밑 어중간한데서 꼭 훌리들이 나와서 설쳤었음

요즘 대기업 5위권 안쪽 그룹사기준
채용시 학부만 따지자면, 학벌 1티어는 해외 명문대지
한국대학이 아님

이런 훌리까지 나와 설치는거 보니
한국 대학 학부는, 어디건간에 2티어 이하로 자리매김 한듯

1티어인 해외 명문 출신들은 이런얘기 아무도 안함

2025.06.09

한국정도면 학부학벌 엄청 안보는편인데요 도대체 해외를 뭐라고 생각하시는건지…

대댓글 4개

2025.06.09

미국 안가본 티 내지 마세요 ㅋㅋㅋㅋ

2025.06.10

박사출신들이 줄비한 이공계 학계에서는 미국은 학부 전혀안봅니다. 한국과 다르게 몇개 주립대는 학부보다 대학원입시가 훨씬 힘든곳들도 꽤 많고요.
그게 아닌 학부졸업생들이 대다수인곳들은 당연히 학부를 많이 볼수도있겠죠.
그것과 다르게 한국은 학계에서 조차 학부를 끔찍하게 본다는점이겠고요.

2025.06.10

미국 금융권 정치권 학벌 뒤지게본다 ㅋㅋ 너나 안가본티내지마라ㅋㅋ
이공계는 박사들어가기가 한국보다 어렵잖아 한국은 박사 스카이든 유명한랩아니면 쉽게쉽게 가니까 학부학벌을 볼수밖에

2025.06.12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전부 학벌보는데 다들. 뭔 개소리들을 하는지

2025.06.09

도토리 키재기 요새 누가 학벌보냐..실력보지

2025.06.09

요즘 소위 탑클래스 한국 학교들은 교수 임용할 땐 학벌 안봅니다

대댓글 3개

2025.06.09

서울대 컴공에 한양대 학부 출신 교수님도 있고 다양하게 있음 확실히 ㅇㅇ

2025.06.09

내가 생각하는 분이면 우리 과는 아니고 연전인지일 텐데, 아무튼 실적 엄청 좋아서 오신 듯

2025.06.10

러셀, 국립대는 채용비율있어서그렇지
오히려 사립대가면 자대 아니면 SPK YK가 대부분

2025.06.09

학교에 돈좀 (상대적으로)있는편이면 학벌 잘 안보는듯. 오히려 자대 출신 좀 우대하는듯함.

2025.06.09

아웃라이어가 자기합라화도 있고 유명대 출신이 평생해 먹는 것은 바뀌어야됩니다. 노력해서 사회를 선도할수 있는 분야의 전문인이 우대 받을수 있어야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6.09

유명대는 노력해서 가지 놀면서 가나요.... 능지 처참

2025.06.09

사람이 학교만들지, 학교가 사람만드는거 아니더라

2025.06.10

니가 게맛을 알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5.06.10

대학원 수준이 낮아서 그렇습니다

2025.06.10

학교수준에따라 교육수준차이 ㅈ대는데요

2025.06.10

해외가 학벌주의 여기보다 훨씬 심한데 ㅋㅋㅋ 주위에 나간사람 한명도 없나보네

대댓글 3개

2025.06.10

글쎄요 미국에서는 학부는 박사했으면 전혀 상관 안하는데요… 그나마 finance나 이런곳이 많이보지. 박사 입시까지는 탑대학 대가교수 이름빨이 중요하지만 박사따고나면 아무도 상관안해요….

2025.06.10

한국은 박사따기가 훨씬 쉽잖아 우리연구실만해도 광운대 이런애들도 걍 받아주는데

2025.06.10

박사따기 쉽다에서 쉽다의
인과관계를 단순히 학벌로만 보시잖아요 ㅋㅋㅋㅋㅋ 물론 학부 중요성도 있겠지만 그사람의
구체적인 실력이나 학부를 거치는
과정에서의 성장은 고려를 안하는 비약이 있네요

2025.06.10

제 경험상 미국도 학부를 많이 따집니다. 우리나라에서 같은 학교 나오면 서로 동질감 느끼듯이 미국도 그런거 있습니다. 괜히 Alma Mater라는 말이 있는게 아니지요. 학계를 보면, 학부 안좋지만 좋은 학교에서 박사하는 경우 학부 안좋다고 욕하는 경우는 잘 못보긴 했습니다. 다만, 좋은학부+좋은박사면 더욱 인정해주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2025.06.10

현실 : 해외나가면 National 붙은 대학, 아시아권은 한양때까지만 알고 나머지는 무슨대학인지도 모른다ㅋㅋㅋ

2025.06.11

실력이 없으면 학벌이라도

2025.06.11

미국이나 유럽이 학벌 안 본다는 건 무슨 근거?

2025.06.11

그래서 학부 어디라고요? ㅋㅋㅋㅋㅋㅋㅋㅋ

2025.06.11

이 글에 가장큰 근거는 바로 댓글이네.
학벌에 대한 논의를 할때 조금만 비판적인 검토를 하면 '그래서 넌 학부가 어딘데? 학벌낮은 애들이 긁혔나보네' 등등 그 사람의 제시한 논의자체의 내용과 그에 대한 다양한 시점이 아니고, 논의 제시한 사람의 스펙부터 따지는것이 한국사회의 아주 ㅈ같은 특징임.

나도 해외 에서 학부부터 박사 까지 다 해봤지만 한국 만큼 학벌이 인재를 평가하고, 사람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큰 기준이 되는것을 본적이 없는듯.
심지어 일본도 학벌 대학서열화가 당연히 있고 그건 어느나라이던 명문대는 존재하지만 명문대 나왔다고 한국사회처럼 오만하게 깝쳐대는 나라는 못봤다 ㅎ
특히 학계에서는 출신학교보다도 그사람의 연구의 양과 질을 중시하고, 심지어 명문대출신이 아니더라도 흥미로운 주제의 연구를 하면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모여들고 하나의 작은 커뮤니티 형성 되는것을 무수히 많이 봄.

반면 한국은 일단 학벌.
백날 미국에서 박사따면 뭐하나.
그사람들도 해외애서 박사딴 결정적인 이유는 학문에대한 궁금증 보다는 그냥 해회대학 박사학위 가 있어야지 인정받으니까 라고하는것이 대부분 이더라.
한국대학만큼 교수들이 해외박사출신인 나라도 거의 못봄ㅋㅋ 국내대학 자생력과 인재양성이 진짜 ㅂㅅ같은 나라가 한국임.
영국박사 까지 가서 결국엔 한국실업에대해 연구하는 사람도 있었는데, 연구는 성과가 중요하니 그걸 비판할 권리는 없지만 그냥 해외학위가 필요해서 유학가는게 대부분 이었음.

그래서 한국에서 안살고 해외대학 교수직으로 있는 이유임.

대댓글 1개

2025.06.12

진짜 공감합니다. 확실히 한국의 학벌주의보면 실직적인거보다는 남이랑 비교하기식의 시간낭비만 하고있는거같아요. 다들 정신차리고 학벌 고민할시간에 진짜 중요한 연구나 집중했으면 좋겟네요

2025.06.11

대학원 시절에 나한테 '그 학교 에서 박사학위 받아받자 소용없어요 박사는 무조건 수도권쪽으로 가세요. 지방권 대학은 그냥 학위를 쉽게 줘서 안돼요' 라고 조언 아닌 조언을 하는 한국인 선배들이 있었어.

지금와서 하는이야기 이지만 그때는 내가 그사람들보다 나이도 어리고 그냥 같은 대학원생이니까 별말안하고 내 연구에만 몰입했지. 그래서 그냥 꾸준히 논문투고 하고 주제가 생각나면 학회보고 하고 그런 생활의 연속이었지ㅎ

웃긴거는 학벌만 보고 석박사진학 한 그 한국인들은 박사5년차가 되가는데도 논문실적이 한편도 없다는거였음 ㅋㅋ 5년동안 도대체 뭘하는지도 모르겠고 책은 ㅈㄴ많이 읽어대는데 아웃풋이 전혀 안됨. 그럴거면 독서동아리 가야지 왜 박사왔니.

팩트는 대학원까지 진학하고 연구자 가 되겠다고 마음을 먹었으면 학벌이 아닌 연구내용 그자체로 판단하고 논의해야 장래가 밝다는거임.

2025.06.11

미국에 안 살아보셨나 싶네요. 무조건 학부입니다. 하버드 박사한다고 해서 하버드 전용 바 라운지 못 들어갑니다. Alumni 기부도 전부 본인의 학부 학교로 하는 경우가 대대수.. 그냥 본인 학벌에 만족 못하셨으면 수능 다시보시길

2025.06.11

학벌주의 문제가 있다, 부작용이 있다 - 인정합니다.
한국이 유독 학벌주의가 심하다 - 완벽한 착각입니다.

2025.06.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해외는 학부 안보고 누가 게이레즈트젠인지, 아니면 여성인지 흑인인지 봄. 모든 카스트위에 군림하는건 백인여성이고.

2025.06.15

안좋은 학교가라고 누칼협?
수능 전날 협박당하심?

2025.06.16

중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은 학벌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더 심하다는 것이 팩트가 맞는지 의문임.

2025.06.16

나 군산대 나왔는데 교수하고 있다. 설대 전부 깨부셨다

2025.06.17

학부 학벌 안좋은애들이 꼭 이런글 계속 쓰더라. 서울공대 숨마쿰 졸업하니 학벌 신경 쓸일 자체가 없음. 애초에 연구하는데 쓸데없이 학부때 학벌 자꾸 신경쓰는거 자체가 본인이 후달려서 그런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