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월 졸업을 앞둔 석사입니다. 취직에 관련된 정보를 찾던 중, 많은 글에서 프로젝트 경험이 석사에게 중요하단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희 연구실의 경우 교수님께서 현재 연세가 많으셔서 과제를 더이상 진행하지 않으셨고, 입학 당시 저 또한 프로젝트(과제)가 오히려 없는 것이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막상 취직 관련 사례들을 알아보니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제안서, PPT 발표 및 진행과 피드백에 대한 경험이 자소서와 면접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심지어는 프로젝트가 연구논문보다 더 중요하단 의견이 있었습니다.
국제급 논문이 있다면 이또한 상쇄될 수 있을 것 같으나, 아쉽게도 저는 학석사연계로 1년 반만에 졸업해야했기에 현재 투고한 SCI(E)급 제 1저자 1개가 가장 높은 수준의 저널이 될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KCI 8개와 SCOPUS 1개가 제 1저자로 투고되어있습니다)
현직자 분들이나 졸업자분들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없이 순수 연구만 진행한 석사에 대해 어떤 입장이신지 들어봐도 될까요? 추가로, 혹시 저와 유사하게 프로젝트/과제 수행 없이 취직준비를 하신 분이 계시다면 관련 문항이 자소서에 존재한 경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김박사넷은 처음이라 글이 어색하다면, 죄송하고 양해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노래하는 피터 힉스*
2023.10.15
프로젝트가 없는데 어떻게 연구가 가능하다는 거지 프로젝트링 연구 둘 다 못 함??
대댓글 2개
2023.10.15
프로젝트는 보통 인건비를 위해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 과제같은 걸 따와서 한 걸 쓰는 것 같더라고요. 저희 연구실은 아예 그런 것 없이 졸업 논문 쓰는 것처럼 스스로 해외 논문을 계속 보면서 하고 싶은 주제를 정하고, 아이디어가 생각나면 수시로 실험 진행해서 결과값이 괜찮다하면 저널 내는 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저널 투고하면 다시 이 과정을 반복해서 논문 작성을 위한 순수 연구과정만 있었던 것 같네요. 커뮤니티를 안보는지라..다른 연구실 상황도 비슷한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다들 프로젝트 진행한 걸로 논문도 쓰고 그런대서..혹시 제가 알고있는 프로젝트의 의미가 다르다면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기업 협업, 정부과제 등등 인건비 취득을 위한 연구실 단체활동이 없었단 의미로 작성했습니다!
2023.10.15
아, 그리고 과제의 경우 앞서 말한대로 교수님께서 곧 퇴직하시기도 하고, 어떤 사고가 있었어서 그 건으로 박사님과 이전 석사하시던 분들께서 고생하신 뒤 안하기로 하셨던 겁니다. 교수님께서도 과제 진행한다고 자기 논문 제대로 못쓰는 게 안타까웠었다고 작년부터 안한다고 하셨던 겁니다. 혹시 이 부분이 의문이셨던 거라면 해소되셨길 바랍니다!
2023.10.15
아니 sci도 있고심지어 아무리 물논문 취급받는 kci라지만 1년반안에 8개나 썼으면 프로젝트 상관없이 할말 되게 많을텐데???
대댓글 1개
2023.10.15
알아보니, 자소서 문항 자체에 프로젝트 경험 묻는 경우가 다소 있더라고요. 사실 석사 대부분이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상황이니 혹시 저처럼 순수하게 연구만 하신 분들은 이 경우, 프로젝트 경험은 없으나 스스로 연구를 진행하여 논문을 작성한 적은 많습니다. 이런식으로 풀어 써도 되는지, 아님 공란으로 아예 쓰는 추세인지 여쭤보고 싶어서 남겼습니다! KCI나 SCOPUS는 아무리 써도 경력으론 안본대서 걱정이었는데, 반응을 보니 자소서에는 작성해도 괜찮은가보네요. 이제 막 관련 정보 찾는 중이라 불안감에 주저리썼습니다 :)
2023.10.1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과제없는데 연구비는 어디서 나옴? 뭔 소리임
대댓글 1개
2023.10.15
저는 그래서 인건비를 받지 않았고, BK21과 조교 장학금만을 받았습니다. 제 연구의 경우, 컴퓨터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구 재료비가 따로 필요가 없었기도 했고 랩실도 오래되었다보니 왠만한 장비, 재료가 이미 다 있었어서 동기 역시 연구를 위한 하드웨어 장비는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졸업 논문을 위한 재료도 동일하게 전 따로 연구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았고, 이번에 새로 부품이 필요했던 다른 분은 학교에서 연구비 카드가 제공되어 그걸 사용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듣지 못해 해당 연구비 카드가 어떻게 나온지는 모른다만, 일단 학교측에서 제공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2023.10.15
사실 그런 연구실이 좋은곳이지
대댓글 1개
2023.10.16
감사합니다! 찾아보니 취직할 때 불리하단 소리가 많았어서 걱정했는데, 의외로 답변을 보니 다들 프로젝트 경험이 없는 것 자체에 부정적 반응이 아니라 다행입니다 :)
2023.10.16
프로젝트에 대해 잘못생각하고 계신거같은데 대학원 프로젝트란 님이 어떤 주제에 대해 실험을 했는가 묶어서 정리해서 내라는 것이지 연구비 과제 소리가 아닙니다...
대댓글 3개
2023.10.16
앗 그렇군요. 대다수분들이 과제 경험을 쓰셨어서 그런 의미인 줄 알았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10.16
원서 받는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지원자들이 엉뚱한거 써옵니다. 그래서 엉뚱한거 써온다고 특별히 마이너스가 아니긴 한데, 아무튼 심사자가 궁금한건 뭘 했고 뭘 할수 있느냐지 과제 리스트 아무 관심 없습니다. 그거 대학원생이 아니라 지도교수 역량인거도 다 알고요.
2023.10.16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도움많이 되었습니다.
2023.10.16
꼭 공식 프로젝을 할 필요는 없어요. 물론 연구 내용이 지나치게 이론 위주면 실무를 보려는 회사는 좀 싫어하겠지만.
그리고 석사 살적으로 KCI 8개 SCI 1개면 잘한 겁니다. SKP아래로는 그정도 하는 석사들 별로 없어요 걱정 안해도 될듯
2023.10.15
대댓글 2개
2023.10.15
2023.10.15
2023.10.15
대댓글 1개
2023.10.15
2023.10.15
대댓글 1개
2023.10.15
2023.10.15
대댓글 1개
2023.10.16
2023.10.16
대댓글 3개
2023.10.16
2023.10.16
2023.10.16
2023.10.16
대댓글 1개
2023.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