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CI 논문 2개 석사진학 예정 학부생

2023.12.04

20

5470

안녕하세요 이번에 SKP 대학원 진학 예정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운이 좋게도 실험도 잘되고 교수님도 잘 도와주셔서 SCI 논문이 2개 있는데요(단독저자 1개, 공동 1저자 1개)

해당 논문들이 석사 진학 후에 나중에 박사 유학갈때도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학부에서는 실험을 하는 랩에 있었고, 석사 진학은 시뮬랩으로 진학 예정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3.12.04

sci q1 이면 도움 될 듯 그 이하면 별 의미 없을 거고

대댓글 3개

2023.12.04

Q1 이면 미국 박사 진학시 상위권 노릴 수 있는 정도인가요?

2023.12.04

Q1도 분야 나름이지 어딘 뭐 그 분야 논문이 총 개수가 50개라 Q1이면 25퍼까지니까 14등정도까지가 Q1에 속하지만 어느 분야를 다루는 논문이 350개라 87개정도니까 그냥 그 분야에서 상위 몇퍼센트 수준인지를 봐야할 듯?

2023.12.04

ㅇㅇ 그 분야에서 누구나 들어봤을 만한 저널이면 도움 됨

2023.1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느분야 if몇점인지 jcr 몇% 정도 인지는 알아야죠
상위저널 아니면 별 도움 안됩니다.

대댓글 1개

2023.1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금 당장 석박유학가는거면 도움이 되겠지만요

2023.12.04

석사때도 실적 잘 나오면 꾸준히 결과를 내왔다는 인상정도는 줄 수 있을 듯. 중요한건 석사 때 실적이 중요함

2023.12.04

톱대학이면 톱저널만 눈여겨 보겠지만. 20위권 아니 50위권에서 100위권 정도면 sci면 다 도움이 될듯. 특히 자소서 쓸때 잘 녹여내면

2023.1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생이 sci 페이퍼 2개를 1자지로 썼는데 도움이 안된다고? 웃기고들있네. 석사 들어가고 자기 스스로 실험 설계, 페이퍼 못쓰는 애들이 수두룩 뻭빽인데. 도움안되다는 사람들이 스스로 페이퍼 못쓰는 사람들임

2023.12.04

성과가 정말 좋은 편이라 생각하긴 합니다만 학부가 SKP가 아니면 지도교수님의 허락을 받으셔야 할거에요.
타대생이 미국박사의 발판으로 자기 연구실 석사를 한다면 싫어하실 교수님들이 많아서...

대댓글 1개

2023.12.07

그럴까봐 걱정이기도 합니다.

2023.12.05

여기있는 분들은 석사때 sci 10개씩 걸치고 나가는게 대다수인가보네요. 제가 석사 때 낮은 if의 sci 하나 작업하는데도 개고생했던거 생각하면 학부생이 주저자로 2편이면 엄청 열심히하신겁니다.
제가 skp박사 졸업했는데 거기 학부생 중에서도 sci는 가진 경우 많지 않아요. 단,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흐름을 보여줘야 원하시는 골로 들어가실 수 있는건 맞습니다
초반에 잘하고 갑자기 다운그레이드 되는 모습을 보여주시면 미국 교수들도 의아해하더라구요

2023.12.05

에잉 도움이 안된다는 대체 무슨 이야기죠. publication 그 자체가 실적인데... 정말 이상한 저널이라 한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경험해서 페이퍼를 완성했다는 것 자체가 큰 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박사유학때 저거 말고 뭘 본다고...
귀여운 게오르크 헤겔*

2023.12.06

학부졸업할때 좀 낮은 걸로 SCI논문썼던 학생입니다. 석사과정에서도 꾸준히 논문 썼구요. 지금은 top 30 내에 주립대에서 박사과정하고 있습니다. 도움 많이 되니 계속 실적 쌓으세요. 논문이 좋고 나쁨을 떠나서, 본인을 어떻게 포장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위에 아는듯이 작성한 분들이 꽤 되시는데, 오피셜로 오퍼 top10도 받았습니다. 2저자, 3저자라도 도움이 되고, CV에 넣어도 되며, 본인 PR할 때 2저자, 3저자에 기여한 내용도 발표하면 본인의 레인지가 넓어지니 도움이 많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3.12.07

감사합니다
용감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3.12.06

좋은 실적. 그런데 보통은 학부생 본인 실력이라기 보단 지도 교수 빨이라 생각. 이유는 위에 많은 댓글 들에서 알 수 있듯 풀타임 석사도 졸업 전에 한 편 제대로 못내는 사람 많아서. 이건 실력의 문제라기 보단 그만큼 좋은 데이터를 모으고, 그 데이터가 좋은지 안 좋은지 여러 시행 착오를 겪어가며 교수도 학생도 연구하며 알아가는 시간, 글 쓰고 리뷰 과정을 통과하는 물리적 시간, 등등이 필요하기 때문.
석사 하면서 실력을 증명하면 된다고 봄.
석사를 다른 학교 다른 지도 교수님 밑으로 가서 비슷한 퍼포먼스가 나오면 박사 유학에 상당히 긍정적.
지금 실적은 좋은 건 사실이나 보통은 보는 입장에 따라 80% 지도 교수 빨이란 시선을 피하기 어려움.

대댓글 1개

2023.12.07

더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3.12.06

2023.12.06

학부(H)/석사(Y) 국내에서 마치고, 미국 유학 다녀온 프레쉬 박사입니다. 우선 글쓴이 분, 매우 대견하다는 말씀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물론 분야마다 논문이 나오는 속도는 다르겠지만, 저같은 경우는 석사 졸업할 때까지 SCI 논문 한편 없이도 (운이 좋게) 미국 탑스쿨(U of Michigan)에 풀펀딩으로 들어갔습니다.
학부생으로서 SCI 두편은 매우 훌륭한 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2년 뒤 석사 마치고 박사 어플라이하실 때, 반드시 SOP에 어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석사때도 꾸준히 한 두편 추가로 내신다면 적어도 제가 간 학교 이상으로는 가실 수 있으시라 믿습니다^___^ 대학원 생활 재밌게 하세요!

대댓글 1개

2023.12.07

감사합니다 선생님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