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킹아 그건 그냥 npg라고 하고 보수적으로는 넷컴도 그냥 넷컴이라 한다. 싸리를 네이처 자매지라고 하는 사람은 거의 처음본다.
2024.01.12
네이쳐 에서 sisters 라고 메뉴 눌러보면 사이언틱픽 리포트는 없음
2024.01.12
Sci rep가 어떻게 네이처 자매지임 Npj 시리즈도 자매지가 아닌데
2024.01.12
ㄴ그렇게 치면 acs omega도 jacs 자매지겠다
2024.01.12
애매하지만, 국내에서는 자매로 표현함 처음 본다는 건 웃기네 ㅋㅋㅋㅋ 구글에 검색만해도 자매지라고 얼마나 홍보가 많이 되는데. 물론 좋은 저널이라 한 건 아님. 자매지 중에 망한 케이스
2024.01.12
홍보지에서 보는건 좀 애매한게 사실 홍보수단으로 학교나 원에서 쓰다보니 네이처 이름 팔아먹는게 크죠.. ㅎㅎ 네이처 자매지다, 공신력이 큰 학술지중 하나다 이런 말은 진심 홍보하는 사람도 부끄러워 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실제 인식으로는 국내외 막론하고 NPG에서 출판하는 저널중 하나로 봅니다. 밖에서 sci. report썼다 안하고 네이처 자매지 논문 썼다고 하면서 다니면 진심 뒤에서 욕먹습니다. 학벌 갈라치기라서 상당히 조심스럽지만 다른비유가 떠오르지가 않아서 예시를 들면, 지방캠 다니면서 본캠다니는것처럼 말하고다니는거랑 비슷하다 봅니다. 네이처컴이 심리적 마지노선이라고 봅니다.
2024.01.12
네이처 컴이 네이처 컴~ 블라블라 도 포함잉가요??
2024.01.12
네이처컴 블라블라 아님 그냥 컴 블라블라임
자세히보삼
2024.01.12
그럼 그건 자매지가 아닌건가요?? 그럼 머라고 하나요?
2024.01.12
Communicatoins Biology 같은걸 말하시는거겠죠. 사실 정말 보수적으로 말하는사람은 넷컴도 안껴주는경우도 있는데, 넷컴은 분야가 넓어서 그렇지 그래도 대다수 분야에서 게재가 쉽지않은 좋은저널중 하나라서 넣어줍니다. 보통은 본지 혹은 Nature Electronics, Nature Matierals, Nature Photonics 등과 같이 네이처 붙고 뒤에 특정분야가 붙는 저널들 (보통 각 분야 탑저널이죠)을 자매지라고 말하긴 합니다.
2024.01.13
사이안티픽 리포트 자매지라고 기사에 쓰는거 기사에서 사기치는 거임.. 기사 쓰는거 대부분 논문 저자들이 기사 초안 준거 그대로 복붙하거든 그거 속는 애들이 여기 있었네 그리고 그거 sci rep가 잘 나갈때나 자매지라고 사기쳤지 자금은 그런사람 거의 없음
2024.01.13
자기논문으로 한번이라도 보도자료 뿌려봤으면 신문기사에 나온 표현따위로 자기 주장을 뒷받침하는 일은 못함 ㅋㅋ 사이언티픽 리포트 만들어진 초창기에 '네이처 자매지'라는 이름붙여서 언론에 많이들 홍보했는데 이제는 부끄러워서 웬만큼 철판 안깔면 그러기도 쉽지 않은 듯
2024.01.13
호킹은 논문 한번 써본적 없는 학부생 수준인걸 스스로 인증하네 1저자 논문좀 내본사람은 싸리 MDPI 등이 무슨 취급 받는지 알텐데..
2024.01.12
네 컴도 엄밀히 말하면 자매지급은 아님. 자매지 떨어지면 가는 곳이어서.. (근데 IF 낮은 자매지보다 IF가 높을 때도 있음. 그래도 다들 자매지를 훨씬 인정해주지..) 그래도 네이처 자매지라고 사기쳐도 싸이언티픽 리포트 만큼은 욕 안먹음. 컴 블라블라는 그저 그렇지만 싸리보다는 높게 쳐주는 분위기? 네컴도 자매지가 아닌데 컴 블라블라는 당연히 아니지.. 뭐라고 부르지? 걍 네컴 자매지? 컴 자매지?
단어의 뜻은 언어를 쓰는 사람들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대와 역사에 따라 실제로 뜻이 달라진 단어도 많듯이..
사전적의미로 자매지를 "한 배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저널"이라고 한다면 Sci Rep 등 수많은 저널들 모두 자매지라고 불러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다만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의미에서는 "Nature"가 이름에 붙어있어야 인정해주자는 분위기이고, 실제로 NPG에서도 메인상품 아니면 네이처 이름을 안붙여주는 식으로 퀄리티 관리를 하고있습니다. 사회적 의미를 모두 알고있기 때문에 Sci Rep 써놓고 네이처자매지라고 소개하는 사람은 상당히 두꺼운 철판이 필요합니다 (학계사람들 앞에서는 절대 못하고 보통 밖에서 대중에게 소개할 때 종종 일어나는 일이죠) 이렇게 본다면 네이처컴까지가 자매지 맞습니다.
네이처컴은 자매지가 아닐 이유가 없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도 자매지라고 불러도 무방합니다. 다만 자매지들 중에서 다른 자매지들에 비해서는 한단계 아래로 취급받는 것이 현실적이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에서 대화할 때는 "야, 대학교수 되려면 네이처 자매지 하나는 있어야지! 아 넷컴 말고!" 뭐 이런식의 표현이 자주 나오죠. 대화할때마다 넷컴은 빼고 라고 말하는게 번거로우니까 그냥 대충 네이처자매지라고 얘기하고 듣는사람들도 알아서 찰떡같이 알아듣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넷컴은 자매지 아닌거라는 의견도 나오는거고요.. 대화하는 사람들 간에 그렇게 합의만 된다면 "자매지"="자매지인데 넷컴은 빼고"의 준말로 쓸수도 있겠죠. 넷컴을 빼고 셀 때 갠적으로는 네이처 메이저자매지 뭐 이런식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잘 쓰이는 표현은 아닙니다.
2024.01.13
Nature communications 까지 공식 자매지, 하지만 동일한 종합지 Nature가 있기때문에 Nature materials, Nature energy 같은 자매지 취급은 못받습니다.
2024.01.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Nat Comm 당연히 자매지죠. 따로 분야 고유 자매지 없는 분야는 종합지만 내야 합니다. Nature/Science 떨어지면 바로 Nat Comm 제출해야 함. 선택의 여지도 없음
대댓글 4개
2024.01.13
컴 블라블라~도 자매지 인가요??
2024.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기관쪽에서는 홍보를 위해 springer nature에서 출판된 논문이면 모두 자매지라고 소개할 수도 있는데, 논문 저자라면 Nat Comm까지만 자매지 썼다고 말하길 추천드려요 . 안 그럼 뒤에서 흉보는 사람들이 있음
2024.01.14
NS 떨어지고 Nature Materials나 다른 좋은 자매지 가서 어셉되는 경우 꽤 있어요. 저도 그렇고요
2024.01.12
대댓글 14개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2
2024.01.13
2024.01.13
2024.01.13
2024.01.12
대댓글 2개
2024.01.13
2024.01.13
2024.01.12
2024.01.13
2024.01.13
2024.01.13
2024.01.13
대댓글 4개
2024.01.13
2024.01.14
2024.01.14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