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박사넷 보면 너희과는 IF 높은 것들만있고해서 박사졸업할때 IF 20이 이상 평균 4~5편씩내는것같고,
재료과교수되려면 거의 10편이상되어야 하는것같던데 ?
했더니, 개소리하지말라고 김박사넷좀 믿지말라고 하는데 뭐가맞아
나랑 내친구 둘다 s학석(박)사과정이고,
나는 바이와관련 화학과 친구는 재료과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6.02
'김박사넷 보면 너희과는 IF 높은 것들만있고해서 박사졸업할때 IF 20이 이상 평균 4~5편씩내는것같고' 장난함?? 저 정도 실적이면 교수 하지ㅋㅋㅋㅋ여기 애들 말을 왜 믿지 나도 댓글로는 네이쳐 사이언스 써봤다고 많이 말하고 다니는데ㅋㅋㅋ 현실은 10점 짜리 한편도 못쓰고 졸업하는 박사들이 대부분
대댓글 1개
산만한 루이 파스퇴르작성자*
2023.06.02
후 오키오키 이제걸러들어야것다...
2023.06.02
ㅋㅋㅋ 저정도면 임용가능
대댓글 1개
산만한 루이 파스퇴르작성자*
2023.06.02
...세상을 너무 순수하게바라본죄였다.... 쭈굴
2023.06.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hci 다음으로는 ai가 내기 쉬움
2023.06.02
여기 익명성이라고 개지랄 많이함 ㅋㅋㅋ
청승맞은 우장춘*
2023.06.02
재료에서도 분야마다 다르죠
2023.06.03
재료 중에서도 똑같은 재료해도 에너지 하는애들은 2배3배로 많이씀. 전기화학이 편수 인용 찍어내는 치트키인듯.. 랩 차리면 전기화학은 무조건 사이드로 넣을예정..
난 전자소자랑 비주류 전자쪽 하는데.. CM 둘, ACS nano, AM 그외 조그만거 몇개더 해서 졸업함... 랩은 그냥저냥 내비둬도 굴러가는정도에 중대형 사이즈였고 잘하는 애들은 졸업전에 AM 세편 내는애들도 있었네.
근데 뭐 재료에서도 분야가 다 다르잖아. 그만큼 논문 내기 좋은거 하는 애들은 거기서 경쟁하는거니까... 분야가 다르면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함.
IF 20은 저널이 많지는 않은데... 10점으로보면 갈데 진짜많음. 좀 듣보잡 같아보여도 10 넘긴지 몇년된 저널도 있고... 논문 퀄리티는 별로인데 IF만 뻥티기되잇는 저널들도 있음.. 솔직히 영어만 편하고 그림 퀄리티만 좀 신경쓰면 10점대는 편수늘리는 목적으로 작업하면 1년에 6개는 뽑을수있을거 같음. 어차피 드래프트 만들어놓고 저널 여기저기 돌리면 어셉되긴 하니까..
논문편수가 많으면 물론 임용에도 좋겟지만.. 그거만 가지고는 충분하지 않은듯. 여러가지 변수가 작용하고 다른 경쟁자가 어떤지도 영향을 줄테고... 타겟하는 학교가 어느수준인지에 따라서 선호하는 능력이 다르겠지. 연구중심이라면 논문실적을 더 많이 볼테고, 뭣보다 비슷한거 하는 랩이 있으면 어려울수 잇고.. 새로 오픈하는 랩에서 어떤연구를 할지 그에따른 비전이 있는지 그런걸 보여줘야되지 않을까 싶음.. 1년에 2편만써도 박사받고 포닥좀만하면 10편은 충분히 나오는데... 한국은 3년실적만 보는데가 있으니까 매년 없어지고 생기고 제자리걸음...-.- 큰논문 하나 나가면 임용시장 문두드려보려고 생각함
2023.06.02
대댓글 1개
2023.06.02
2023.06.02
대댓글 1개
2023.06.02
2023.06.02
2023.06.02
2023.06.02
2023.06.03
2023.06.03
2023.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