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 짜놓고 그림, 수식 다 넣어놓고 설명문만 타이핑하면 되는 거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긴 합니다. 집중해서 작성하는 것보단 빠르진 않겠지만.. ㅋㅋ 그 사람 업무 스타일이죠 뭐
2024.07.05
조기치매 조만간 병원갈지도...
2024.07.05
그 사람 마음이겠죠… 논문 잘 썼을수도 못썼을수도 결과로 보면 판가름 될테고… 뭘 그렇게 남하는 일에 하나하나 보면서 삶을 피곤하게 사는지… 그냥 냅두고 본인 일에 집중하셔요
IF : 2
2024.07.05
저는 잘 됩니다. 약간 백색소음처럼 활용하는 거라서. 영상물이 너무 자극적이거나 정신없는 게 아니라 그냥 드라마 종류라면 큰 문제 없습니다. 언제나 잘 된다고 할 수는 없지만.. 학창 시절에 노래 들으면서 수학문제 풀거나 보고서 쓸 때 노동요 듣거나 하는 거랑 큰 차이 없는 것 같아요. 넷플렉스를 이어폰 빼고 방 전체에 소리공유하면서 보는 거 아니면 남의 일인데 신경 안 쓰시는 게 좋을 듯 하네요.
대댓글 2개
2024.07.06
연구실에서 넷플릭스 보는거 자체가 분위기 저해로 남의 일은 아닌것 같은데요..?
2024.07.07
멀또 분위기저해야 진짜 ㅋㅋㅋㅋ 오바좀그만해 피곤하다피곤해ㅠ
2024.07.05
저는 못해요 ㅋㅋ
2024.07.06
유튜브 소리만 들으면서 논문 작성합니다. 가끔 집중이 틀어지지만 졸리지도 않고 괜찮네요
2024.07.06
사실 비효율적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해서라도 논문을 쓰는게 안 쓰는 것보다 낫기 때문에 그럴 수는 있겠지요. 영상까지 보면서 논문쓰는 거라면 효율은 더 낮겠네요. (지나가던 교수)
2024.07.06
효율성의 문제이지 가능 불가능의 문제는 아닌거 같네요. 사실상 쓸 내용만 머리속에 생각해두었으면 음악들으면서든 영화보면서든 못할건 없죠. 다만 그냥 논문 다 쓰고 영화 따로 보는편이 시간도 절약되고 퀄리티도 더 나을거 같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2024.07.06
스피커로 소리 들리게 하는거 아니면 오지랖인것 같네요
2024.07.06
넷플릭스에 관한 연구는 가능할 겁니다
2024.07.07
글쓴이가 자격지심이 심하시네요 ㅋㅋ
2024.07.11
멀티태스킹 가능하신 신기한 유형 중 하나인가 보네요. 근데 원래 인간이 두마리 토끼 쫓다가 둘다 잘 놓치는 일이 많아요 ㅋ 극도의 멀티 훈련을 하고자 하는게 아니면 얻는것보다 잃는게 많을 수도 있어보이네요
2024.07.05
대댓글 1개
2024.07.05
2024.07.05
2024.07.05
대댓글 2개
2024.07.05
2024.07.05
2024.07.05
대댓글 1개
2024.07.05
2024.07.05
2024.07.05
2024.07.05
2024.07.05
대댓글 2개
2024.07.06
2024.07.07
2024.07.05
2024.07.06
2024.07.06
2024.07.06
2024.07.06
2024.07.06
2024.07.07
2024.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