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까지하면 학사 전공은 안 중요하나요?

2024.09.16

13

5225

생명과학 막학기 재학생입니다.
학부연구생 중 데이터 정리하면서 매트랩, 파이썬 깔짝거리다가 이거 잘 배워두면 나중에 크게 도움될 것 같다 싶어서 컴공이랑 AI 학과의 데이터 처리 수업을 몇개 수강했습니다.
그냥 수업인 줄 알고 갔는데 팀프로젝트 위주의 수업이었고, 버스 탈까봐 걱정했는데 의외로 팀원들이랑 교수님도 이 분야에 재능있다고 이쪽으로 해볼 생각없냐고 하시더라고요

일단 완전히 분야를 돌리긴 부담스러워서 바이오인포매틱스로 돌려서 새로운 랩에서 인턴을 하고 있는데 wet lab보다 훨씬 재밌네요 .. 근데 아직 한국에선 BI로 산업계를 가는것도 그렇다고 학문적으로 나가는것도 쉽지 않아 보이고 저도 BI보다는 informatics 자체가 재밌는 것 같은데

그래서 지금 생각으론
석사:BI -> 박사: 빅데이터 쪽으로 나가고 싶은데
이런 경우 박사 학위를 따고 빅데이터 쪽으로 취업할 때 생명과학 전공이 제 발목을 잡을까요? 아니면 석박기간동안 그쪽으로 충분히 논문을 내고 대학원 강의를 수강하면 어느정도 전문가로 인정을 받을 수 있을까요?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9.16

BI쪽을 잘 몰라서 대답하기 좀 부담스럽긴 하지만, 작성자님보다 더 극단적으로 전공을 바꾼 사례는 꽤 많습니다.
해당 전공이 단순히 취업이 잘된다는 이유로 바꾼 사람들은 십중팔구 망하지만, 작성자님 처럼 겹치는 부분이 있어 공부하다보니 관심가는 분야가 바뀌어 전공을 바꾼 경우는 실패 사례를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결정적으로, 대학교에서 교수하고 계신 분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연구분야를 바꾸신 분들입니다.
왜냐면 그분들 시대에 핫했던 기술 중에 지금 핫한 기술은 없거든요.

2024.09.16

빅데이터 하는곳에서 박사로 받아주냐 마냐가 관건이지 학부 전공은 아무의미 없음

2024.09.16

교수 하고 싶다면, 교과목을 담당해야 하므로 학사 전공도 중요하고요. 그 외의 경우는 전혀 상관 없고요.

대댓글 2개

2024.09.18

담당 교수님 학부는 영문학인데 석사부터 완전 다른 쪽
전공하셨는데요???

2024.09.18

당연히 그런 경우가 없진 않겠죠. 일반적인 경우를 말씀 드린겁니다.

2024.09.16

미국에서 2010년 근처에 아직 데이터사이언스란 전공이 생기기 전에 한창 빅데이터, DS 인더스트리로 나가던 전공이 생명과학 (중 유전학, 단백질 전공자들), 천문학 등 자기 도메인에서 다루는 샘플 수가 큰 전공이었습니다. 즉, 도메인의 기초 지식을 가지고 있으니 플러스일 수도 있는 것이죠.

다만 이건 미국 얘기이고, ‘데싸’가 생기기도 전 얘기이긴 하죠. 근데 아무리 한국이어도 박사 학위를 받고 나면 학부 전공으로 발목을 잡지는 않을 겁니다.

지금 미국에서 genomics나 proteomics 하는 사람들 중에 전정이나 컴공 학부 나온 사람들도 꽤 될 겁니다.

결국 기초가 되는 수학이나 통계를 얼마나 fluent 하게 다루냐의 문제.

2024.09.17

개인적인 의견이라 조심스럽지만,
1. 기초학문 영역의 학사전공>응용 연구의 박사, 교수는
조금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기본 베이스가 튼튼하기 때문에요
2. 반대의 경우에는 학계로 가시는 경우 학생 지도를 위해 베이스를 다시 공부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실험방 운영할때도 기본 condition 잡는데 좀 더 디테일하게 하셔야 하구요

작성자분의 경우 1번에 가까우신데 응용 스킬에 좀 더 집중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생명과학,

대댓글 1개

2024.09.17

두개 학과 교수님, 대학원 선배님께 자문을 구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4.09.17

원하시는대로 하세요.
뭐가 두려우세요.
두려우면 안하면 됩니다.
박사라는게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2024.09.17

교수할거면 학부는 평생감

2024.09.18

음 너무 앞서나간 생각이라 반대파가 많을수 있겠지만 빅데이터는 앞으로 코파일럿으로 충분히가능해요. 질문 잘하면 분석 코드 잘짜줍니다. 젠슨황이 말했던것 처럼 과거로 가면 생명공학 전공으로 바꾸고싶다고 했잖아요. 도메인 지식이 중요해요. 코딩 베이스 전공은 향후 10내로 필수 과정이 되지않을까. 코딩은 당연히 해야하는거지 전공분야가 아닐것 같아요. 참고로 전 물리학 전공이고 40대예요 딥러닝으로 데이터 예측치 뽑아보는 연구해보고 있어요. 텐서플로 전문적으로 공부해서 하는것이 아니라 chatgpt로 데이터 분석하고 GANs으로 학습시키는 소프트웨어 개발중입니다. 소프트웨어 전공이나 수업들은적 없고 chatgpt로 질문하면서 코딩해보고 거꾸로 배우고 있어요. 인공지능 기술은 필수이지 특수기술이라고 보기어려운 시대가 10년내로 오지않을까 싶네요. 본인 전공 확실히 만들어놓고 인공지능 적용해보는거로 하는것 추천

2024.09.18

빅데이터 자체는 기술일 뿐이고, 이를 활용하는 전문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학부때 생명공이었으면 이를 잘 살려서 바이오나 제약으로 해도 좋습니다.

2024.09.24

전공 바꿔서 취업할땐 전공이 발목잡는게 아니라 전공을 바꿨는데 왜 이 전공에 대한 경험이 없냐가 발목잡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