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전반적인 연구 환경으로 나열한다면

2024.09.18

19

2905

SKP YKIST SSH 순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4.09.18

ist가 성향에 따라 많이 갈리는것 같지만 얼추 맞는것 같아요

2024.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k>=ist>sp>>>>yk>>>>>>>ssh 이런 느낌인데 연구환경만 따지면

대댓글 2개

2024.09.18

랩바이랩이지만 일반적이라면 글쓴이가 맞다고 봄

2024.09.18

P는 S보단 K쪽에 동급인듯.
연구환경으로는 yk랑 ssh 차이가 spk-yk 차이에 비해 적은 것같은데 주변동료들 역량까지 고려하면 ssh가 좀 더 쳐지는게 맞는것같음

2024.09.18

대학원이면 그 연구환경도 랩 별 편차가 커서 이런 글이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오히려 싸움만 일으키지요.

2024.09.18

ㅋㅋㅋㅋ 윗 글들은 저기 다 가보고 글 쓰시는 건가요? 진짜 웃기네요 ㅋㅋ

대댓글 8개

2024.09.18

꼭 가봐야만 아는 건 아니죠 정보가 많이 있잖아요

2024.09.18

고작 익명커뮤 + 몇 지인 이야기로 판단하는 것 자체가 웃긴거 아닌가요? ㅋㅋㅋ

2024.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안좋다고 주장하는데 중소 다닐 필요가 있나요?

2024.09.18

저 학교별 연구환경을 대기업vs중소라고 생각하신다면 당신들은 100% 김학사 또는 김고딩이네요 ㅋㅋ

2024.09.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잡대 대학원이라 많이 긁히신듯ㅎㅎ

2024.09.18

네네 그렇게 생각하세요 ㅋㅋ

2024.09.18

그러고보니 보일님은 위에 대단히 명확하게 서열을 써주셨네요 ㅋㅋㅋ 이야! 대단하십니다 ㅋㅋ

2024.09.20

ㅋㅋㅋㅋㅋㅋ아 보일님 대학급나누는거에 진지하신거랑 잡대 드립 진짜ㅋㅋㅋ케켘ㅋㅋㅋㅋ

2024.09.19

랩바랩이 제일 큰데 이런 비교가 의미 있나요~ 정 비교하고싶으면 연구실별 평균 지원이 얼마나 들어가는지, 그랜트는 얼마나 따는지 등 수치적인걸로 하는게 훨씬 건설적이라 생각합니다.

2024.09.19

랩바랩이 큼, 보통 신설이 다 씹어 먹음. 서울대나 포스텍 되게 오래된 곳이 많아서 이런 빨간 벽돌 건물 들어가면 나 태어나기 전 장비들 가지고 실험해야함. 장비사는 이미 도산했고 먼지는 싸여가고, 기존 선배들도 어거지로 꼼수 써가면서 측정하고 몇몇 기능은 이미 작동 안되고 그런 상태임.

IF : 1

2024.09.19

교수 1 인당 연구비 규모 학교/학과 별로 검색할수 있어요. 같은 과 내에서도 10 배 넘에 차이나는 경우가 많아요. 학교간 비교보다는 연구실간 비교가 적절해요.

2024.09.19

연구환경만 따지면 yk 같은 서울 사립대가 지거국도 따라가기 어렵다고 봅니다. 장비 놓을려면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인서울 사립은 그게 빡빡해요. 게다가 대학원 등록금이 비싼만큼 과제비에서 인건비 비중이 높을 수 밖에 없고, 돈 아껴가며 연구해야합니다. 물론 건물은 깔끔하고 인테리어 깨끗하겠지만, 연구에 그게 결정적으로 좋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yk의 최고 장점이라면 능력좋은 학생풀 그 자체이겠죠.

2024.09.24

SSH는 연구실이 아니라 대학원 수준에서 봐야하지 않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