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hatGPT 생기고 나서 글쓰기의 약점이 완전히 해결된 느낌

2024.09.26

17

7764

3년차 조교수인데, ChatGPT가 나온 덕에 내 글쓰기 문제가 해결되서 기분이 좋다.

논문은 많이 썼지만 내 글쓰기의 문제는 내가 잘 알고 있거든. 바로 문장력이 약하다는 것. 아무래도 원어민이 아니다보니 문장 하나하나의 뉘앙스를 잘 캐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음. 그래서 글의 구조, 문단의 구조를 최대한 세심하게 잡고, 문장은 투박하더라도 쉬운 문장으로 쓰는 방향을 해결책으로 삼았는데.

요새는 ChatGPT가 문장을 기가막히게 써주더라고? 아.. 지금 학생들은 진짜 편하겠다, 싶었거든? 근데 쓰다보니까 느낀건데 이녀석이 문장은 잘 써줘도 여전히 문단이나 글 자체의 구조는 입력된 유저 프롬프트에 많이 의존을 하고 있는 것 같더라구. 그래서 학생들이 써오는 글은 여전히 엉망일 때가 많음. 신기한건, 문장 하나하나를 보면 정말 유려한데 이것들을 한번에 같이 보면 여전히 "글"이라고 보기에는 부족한 단순 문장 집합체 수준. 엉망이더라구.

생각해보면 오히려 나한텐 좋은 상황이 되었음. 아니, 사실 나라고 표현하기보단, 비원어민들한테 유리한 상황이 된 것 같음. 원어민들 유리한게 문장력인데, 그게 상실된 느낌이랄까.. 어차피 글의 구조, 문단 구조 잡는건 language랑은 independent한 것이라서, 요새 보면 오히려 원어민들이 쓴 글이 더 읽기 어려울때가 있는 것 같음..

아무튼, 학생들은 ChatGPT 너무 믿지 말고, 글의 구조 잡는 훈련을 많이 하길 바람. 이건 아직까진 ChatGPT가 못 해주는 영역인거 같으니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4.09.26

ㄹㅇ.. 한글로만 글 그럴싸하게 잘 쓸수만 있으면 번역도 멋드러지게 해주고, 영어 표현 공부도 많이 되고 세상 정말 좋아졌죠.

2024.09.2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Gpt가 바꿔준 문법오류 관사를 자꾸 자기입맛대로 수정하는 교수님은 어떻게해요?

대댓글 1개

2024.09.27

The나 a 같은 관사의 경우 문법적으로 어떤 것을 꼭 사용해야 하는 정답의 경우도 있지만,
The나 a 모두 문법적으로 오류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문법적으로는 둘 다 문제가 없는데 뉘앙스나 의미에 약간 차이는 있을 수 있죠. GPT에 돌려보실 때는 아마 문장 한두개 넣어보셨을텐데 교수님은 글 전체의 의미를 고려하여 선택하셨을 수 있습니다.

2024.09.26

정교수들도 ChatGPT 글쓰기가 낫다고 하니 말 다했죠. 저도 야마랑 구조잡는것만 하고 단어나 오류는 물어봅니다

2024.09.26

처음 학생이 만드는 draft는 chatgpt 거치지 않는게 좋음. 막 유려한데 말이 안되서 고치는 입장에서는 학생의 원래 글 쓴 의도가 안보임. (숨겨짐)
고치기 더 어려워짐.

2024.09.26

진짜 공감하는 부분. 구조는 잘잡는데 좀 화려하게 못쓰는 사람이 gpt를 곁들여서 쓰면 빠른시간안에 뭔가 엄청난게 만들어짐.
청승맞은 플라톤*

2024.09.26

글쓴이 한국어 필력 좋은거 보면, 뉘앙스 차이를 잡아낼수 있다는게 컸을듯

2024.09.27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원래는 문장력 차이 때문에 글을 읽는 게 힘들 때가 있었는데 이제는 문장력도 비슷해지고 글의 구조만 다르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오히려 원어민들이 쓴 글이 더 읽기 힘들 때도 있고요.

2024.09.27

원래 글쓰기에서 중요한건 문장력이 아니라 글의 구조와 흐름이죠. ChatGPT가 문장 잘 만들어주는건 맞는데, 글의 구조나 흐름은 여전히 사람이 잘 잡아줘야합니다. 오히려 비원어민에게는 더 좋은 상황이 만들어졌네요

2024.09.27

글쓰기 훈련이 안된 학생들은 여전히 글 구조를 못잡음
그런데 비원어민 교수님들이 글쓰기 지도하기가 더 힘들어짐
원어민들이 쓴 글은 문장력은 좋지만 논리 전개가 엉망인 경우가 많아서 지도하기 힘들었는데...
이제는 비원어민 교수들이 쓴 글은 문장력은 좋지만 논리 전개가 엉망인 경우가 많아서 지도하기 힘들어짐...

결국 글쓰기 잘하는건 언어 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글쓰기 훈련을 얼마나 받았냐의 문제인듯

IF : 2

2024.09.28

그래도 chatGPT로 추천해주는 글들 중에서, 이상한 문장들을 걸러낼 줄 아는 눈은 필요하더라고요.
학생들 중에서 그냥 무조건 ChatGPT가 추천해주는 글들이 좋다라고 착각하는 애들이 있어가지고,
니네가 보는 눈은 필요하다라고 계속 알려주고 있는 중임

2024.09.28

해결돼서

2024.09.30

delve into, tailored 이딴 단어 쓰는 거 뱉어내면 전부 고쳐야 됨

대댓글 4개

2024.09.30

Tailored는 왜?

2024.09.30

그거 "나 챗GPT 썼다"라고 광고하는 단어임

2024.09.30

tailored는 평소에도 많이 쓰는데

2024.10.01

둘다 울 pi, co-pi가 많이 쓰는 단어임.
둘다 찐 백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