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스트 애들은 AI연구에 대해서 진짜 이렇게 생각함??

2024.12.06

32

14507

얀르쿤 힌튼 이런 학자들은

무덤기 부터 최소 30~40년 연구한 애 학자인데


그저 남의 논문으로 딸깍하는 애들이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건 하나도 못하는애들이

이딴소리나 하고있네

국내 학계수준도 알만하다 .

구글 오픈ai나 전부 논문 기밀로하고 연구해나가니까

암것도 못하고 헛소리나 하고있네 ㅋㅋ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4.12.06

어그로 ㄴㄴ

2024.12.06

노잼

2024.12.06

AI 연구하는 교수들 중에도 이런 얘기하는 사람 꽤 있어요.

대댓글 2개

2024.12.07

당연히 개척 못한 분야는 이론이 없지 그건 당연한거 아님? 그럼 이론과 가설을 만들어나갈 생각은 안하고 돈없니 지원없니 왜 이론이없니 걍 능지 수준이 안됨

2024.12.07

좀 오해를 불러 일으키게 썼는데 도메인, 자료 성질에 따라 적절한 알고리즘이 개발되면서 발전한 것이 아니라 그저 하드웨어의 성능이 좋아진 것 같다는 의견이더군요.

2024.12.06

원래 근데 무지성 시행착오로 진보하는 것도 과학의 속성중에 하나에요.

대댓글 3개

2024.12.07

양자역학이나 아인슈타인처럼 누군가는 이론을 정립해 나가거나 기술을 만들어서 세상을 깜짝놀라게합니다.

2024.12.07

한국 ai 학계보면 어떻게 작동하는지 모름 이런말만 되풀이함 ㅋㅋㅋㅋㅋ 뛰어난 사람은 직관과 통찰력으로 새로운 가설을 세우고 거기에 맞는 실험을 해나가면서 하나하나 헤쳐나가는거지. 애석하게도 한국학계는 그럴 능지가 안됨

2024.12.07

2015년 이전에 정립된 이론만 받아들여서 저수준의 연구를 하니까 답이없지 ㅋㅋㅋ 이미 구글 open ai 마소 는 비공개 연구로 따라올수없는 수준의 ai를 만듬 ㅋㅋ

2024.12.07

대댓글 1개

2024.12.0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할말없지?

2024.12.07

왤케화남?

2024.12.07

갑자기 카이를? 카이떨어짐??

대댓글 2개

2024.12.07

AI대학원떨이후 통한의 고도의 까가 되버림 카이를 까면 우리나라AI를 부정하는건데

2024.12.08

그건좀.. 미박 출신들 다 있는데

2024.12.07

그래서 ai작동 어케하는거임

2024.12.07

곧 알게될거다. 모든 분야가 저렇다는 걸

2024.12.07

잘 갖다 쓰는것만 해도 감지덕지여

IF : 1

2024.12.07

아치교를 만들기 시작한지 300년동안 아치교가 왜 버티는지 설명할 역학 이론은 없었다.
비행기 날개에 어떻게 양력이 발생하는지 제대로 설명하는 유체역학은 아직도 완성되지 못했다.
^ 인공지능뿐만 아니라 원래 과학이 주먹구구식으로 되는 거 안되는거 탐색하면서 발전해왔어요. 국내 인공지능 학계의 관심분야가 디른 나라에 비해 응용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주장엔 어떤 근거가 있죠? 전 오히려 반대라고 생각라는데

대댓글 3개

2024.12.08

그런 소리가 아닌데요 . 당연히 ai는 공학의 영역이지 과학의 영역이 아닙니다. 원리보다 기술이 먼저 나오는건 당연하구요. 저렇게 기반없다는 소리하면서 돈돈거리고 장비없다 이러면서 자신의 연구력을 합리화하는걸 말하는거죠. 다른나라는 뭐 하늘에서 계시를 내려서 연구해 나가는거에요? 그래서 한국에서 유의미한 ai 논문이나 기술이 나온게 있어요??

2024.12.08

그 먼저 나오는 기술 조차도 직관력과 통찰력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거에요. 우연의 산물인거 같아요?? 그러니까 연구력이 그 모양이죠 ^^

2024.12.08

미국에서 다 나온 논문가지고 연구할려니 연구력이 좋지 않을수밖에 없죠 . 이런 비판 조차 수긍못하면 한국 ai는 답이 없다고 봅니다

2024.12.08

뭔 개소리인지
공부못하면 그냥 열심히라도 하세요.

2024.12.08

저게 뭔 소린지는 알거같은데

이 모델 잘 됨 << 수학적으로 증명은 못함

대댓글 1개

2024.12.08

나도 뭔소린지는 알고있음. 그래서 뭘 해야할지 가설을 세우는 단계에서 한국은 수준이 한참 낮다는거임.

2024.12.08

저 한 사람의 글만보고 국내학계수준 알만하다 하는게 맞나 싶네요. 그냥 AI 배우는 학생이 배우다 의문품고 쓴 글일 수도 있는데 우월한척하면서 이렇게까지 비방하는게 맞나...

2024.12.08

맞말인데

2024.12.11

1. 전산학에 인공지능만 있는 것도 아님
2. 국내 ai학계이건 산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건 iccv cvpr neuralips에 통과되는 논문 줄줄이 써내는 연구자들 엄청 많음.
3. 본인부터가 인공지능 붐 일어나는 거 기회주의자처럼 올라타서 적당히 논문 몇 편쓰고 적당히 취업하겠다는 얄팍한 유형의 사람이 아닌지?

대댓글 1개

2024.12.11

그리고 연구하고 코드 짜는데 시행착오는 필연 아님? 본인이 의도한 대로 바로 결과를 뽑아내는 사람은 그쪽이 언급한 얀 레쿤도 못할텐데 ㅋㅋ

2024.12.11

인간이 현재까지 알고 있는 수학이 그 만큼 못따라오는거지.

이론 기반 가설, 그리고 다양한 조합 실험을 통해 이뤄나가는것

2024.12.11

2점.

대댓글 1개

2024.12.11

Geometric deep learning + category로 이어지는 것만 봐도 수학적 기반이 없진 않은데 이론적으로 rigorous하지 않은게 불만일순 있을것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