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ky대학원 중 하나에서 ai연구를 하기 위해 석사진학예정중인 학생입니다. 요즘은 국내에서도 실적을 빨리 쌓고 해외나가서 인턴을 하는 경우도 꽤 있던데 제가 석사를 하고 박사는 유학을 나갈지 아니면 박사까지 다이렉트로 여기서 하고 해외 취업을 볼지 고민중입니다.
미국을 나가서 박사를 하게되면 앞으로 최소 8년? 정도는 있어야 졸업이 가능할 것 같긴합니다.. 국내에서 하면 빠르면 5~6년 내에 졸업은 가능할것같은데 정말 빅테크가 목표라면 미박을 나가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미박도 정말 좋은 곳이 아니라면 크게 나갈 이유가 없다는 조언들도 꽤 있어서 헷갈리네요..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12.10
그래서 그 랩에서 빅테크 몇명이나 감?
2024.12.10
우리교수님도 서울대 학사 mit 박사 - 삼성 7년 경력 쌓고 애플 테슬라 빅테크 들어갔는데
2024.12.10
예에????? 무조건 나가세요
2024.12.11
미국은 박사과정중 섬머베케이션 기간에 빅테크에서 인턴을 많이 합니다. 그걸 바탕으로 취업을 하는거고요. 다들 열심히 살아오고, 추가적으로 추천서덕분에 취업을 하는겁니다. 사실 여기에서도 빅테크 취업이 쉽지만은 않고요. 그외에도 한국박사하고 어치피 미국에서 포닥등으로 잇으면서 상황을 보시거나 비자문제를 해결해야됩니다. 반대로 미국박사나오면 opt통해서 초반에 비자문제가 해결되고요. 특히 요즘 H1B나오는것도 쉽지않고요.
대댓글 2개
2024.12.11
꼭 top20정도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메리트가 있는건가요 그러면??! 사실 저는 top50정도만 가도 그냥 미박자체에 의미를 둬서 괜찮은데 이제 높은곳이 아니면 미박이어도 빅테크 기회가 많이 없다는 소리를 들어서 고민중이었습니다!
2024.12.11
top20이 쉽나요.. ㅎㅎ 특히 CS쪽이면 spk에서 GPA높은애들도 절대 쉽지 않은걸요. 미국 정착이 목표면 R1이 아니라 R2로 가더라도 미국에서 졸업하는게 유리할일이 많죠. 한국리턴이 목표라면 spk좋은랩에 나오고 전문연 태크를 밟는것도 꽤좋은 방안이 될수있겠고요. 제가 spk학석박 탑스쿨 포닥중 (3년차)인데 한국임용시장 목표하기에는 실적을 제외하고 볼때 다른 지원자에 비해서 딱히 부족함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미국정착 목표하고있는데, 이건 또 쉽지 않아요. 미국에서 박사학위받는게 여러가지로 유리할겁니다. 네트워킹도 워낙 중요하고요.
2024.12.11
한국에서 학석박하고 미국포닥하다가 운좋게 미국 빅테크 오퍼받은 사람입니다. 미국취업이 목표면 절대적으로 미국에서 박사하는게 유리합니다. 윗분이 말씀하신 섬머인턴+네트워킹 측면에서도 그렇고, 신분 (STEM OPT)의 측면에서도 그렇습니다. 신분은 NIW 영주권 신청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데 시간도 걸리고 많은 제약이 있어요. 저는 운이 많이 좋은 케이스입니다.
2024.12.11
국박-빅테크-교수 테크 탔습니다. 국박-빅테크 보다는 미박-빅테크가 훨씬 수월합니다.
2024.12.11
미국에서 박사하고 빅테크가면 8년이상 걸려도 그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습니다.
2024.12.12
미국 박사하고 빅테크 가는게 훨씬 수월한건 사실인데요, 웬만한곳 CS로 박사로 진입 자체가 엄청 어렵습니다. 웬만큼 좋은 곳 가실수 있으시면 미박 당연히 가는게 맞구요, 아니시면 국내박사후 포닥 시도하시다가 현지에서 시도하는게 맞는 방법 이실거 같습니다.
2024.12.12
국박이든 미박이든 상관없이 해당랩 졸업생들이 실제로 갔는지, 재학생들이 빅테크 인턴을 하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지를 체크해보셔야합니다.
2024.12.10
2024.12.10
2024.12.10
2024.12.11
대댓글 2개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1
2024.12.12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