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카이스트에 미련이 남아 고민입니다.

2024.12.17

15

3193

네 방금전에 질문 드렸던 고등학생입니다. 처음 쓰는 글 임에도 불구하고 댓글로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제가 카이스트를 진학하고 싶었던 1순위 이유는 카이스트 자대 대학원 진학에 유리해서였고 (이 문제점은 해결되었지만), 2순위 이유는 제도와 시설 그리고 학생 복지관련 시스템이 잘되어 있어서 입니다.

여러 글과 정보를 얻으면서 대학가서도 하기나름이라는 말을 듣고 대학 이름에 크게 얽메이지는 않게 되었으나 아직도 저에게는 2순위 이유가 마음에 걸립니다.

그러한 시스템이나 시설이 4년간의 대학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까요? 아니면 재수를 해서라도 더 높은 대학에 가는것이 그 1년을 감수 할 만큼의 가치가 있을까요?

별도의 질문으로는 커리큘럼 면에서 카이스트가 만족도가 높다는 말이 있는데 유니스트랑 별 차이가 없을까요?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12.17

이거 고정닉이 아닌가요? 혹시 자기 언급하면 밴인걸까요?

2024.12.17

하기 나름입니다. 유니스트도 충분히 좋은학교임은 분명하고요. 물론 대외적인 시선에서는 카이스트와 유니스트의 차이는 크겠죠.
이공계보다도 일반인의 시선에서 더 클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카이스트에서 학석박햇지만 랩에 유니스트 출신한명 말 들어보면 일반인들중 유니스트 자체를 모르는사람들도 워낙 많다고 하는걸 보면요.
근데 어차피 외부인의 시선은 그리 중요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미련이 남아서 굳이 재수를 하실바에야 학교다녀보시고 만족스럽지않으면 반수하면서 천천히 준비하는게 낫지않을까싶습니다.

2024.12.17

우선 좋은 학부 합격 축하드립니다.
대학원 생각 있으시면 시간 매우 아깝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진학하시고, 병행해서 반수하시길 바랍니다. 반수로 못 가면 그냥 운명이거니 하고 미련 없이 다니는 걸 추천합니다.
학위 빨리 따는게 더 나아요.

2024.12.17

재수를 해서 더 높은 대학을 가신다고 한다면, 서카포를 말씀하시는걸까요?
수시로 서카포는 어차피 재수 필요없이 원서 다시 한번 넣고 2학기에 면접 준비 하시면 될 것 같고,
서울대 정시로 높공을 원하신다면, 정말 각오 단단히 하시고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24.12.18

혹시 답정너인가요?
같은 질문에 답변이 충분히 달린 걸로 봤는데 또 올리셨네

카이스트를 못 가서 안 가는 거지 갈 수 있는데 안 가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자꾸 답정너로 보이는 질문 올리는거 보니 평생 후회할 듯 해요 그럴바에야 떨어지더라도 지독하게 재수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로 한다리 걸쳐서 반수하는것보다 올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래야 후회가 덜 해요

2024.12.18

개인적으로 2번 다른시설이나 제도는 어지간해선 학부생에게 의미없습니다 차이가 거의없는데 카이스트의 굉장히 큰 메리트가 하나 있다면 무학과제도에 복수전공 제한이 거의 없다시피한점은 굉장한 메리트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고딩한테 전공을 선택하게 하는게 매우 에바라 생각함. 과학고 다녔는데도 전공선택을 위해 해당분야에 대해 아는게 하나도없는데. 걍 모든 좋은 공대는 무학과 입학하는게 학생을 위해선 맞다 생각함. 교수들때문에 못하겠지만

대댓글 1개

2024.12.18

별개로 유니스트를 몰라서 유니랑 어떤차이인지는 드릴말이 없네요. 같이 무학과라면 나머진 하기나름이라 생각

2024.12.18

미련 있는것 같은데 걍 재수하세요 . 수시 반수면 어렵지도 않잖아요

대댓글 2개

2024.12.18

반수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텐데. 서류탈이 었으면 가능성은 거의 없어요. 면접에서 아깝게 떨어진거면 면접 준비를 좀하고 운이 맞으면 가능할듯.

2024.12.18

그러니깐 프로세스를 얘기하는 겁니다.

2024.12.18

두학교의 강의나 환경은 큰 차이 없을 것이라고 봅니다. 단 학생들의 눈높이 수준이 좀 차이가 있을 겁니다.

참고로. 나는 오래전이지만. 카이스트 학석박하고 현재 서울지역 교수로 있습니다.

2024.12.19

카이랑 유니는 같은 과기원으로 많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차이라면 전통과 규모정도랄까

2024.12.19

카이스트는 현재 재학생만 뽑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024학번의 경우 N수생이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정시 도전의 경우는 가능한걸로...

2024.12.19

이젠 수험생도 기어들어와서 베이비시팅해달라고 징징거리고 있네 ㅋㅋㅋ 미련이 남으면 공부해서 가던지 진로상담교사한테 문의하던지 알아서좀 해라

2024.12.21

차이 없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