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대통령실에서 보도를 부인한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펙트체크는 필요해보입니다.
https://www.korea.kr/briefing/actuallyView.do?newsId=148946685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36 - 더 문제는 비단 AI뿐만이 아님 ㅋㅋㅋㅋ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8 - 니들이 이재명 찍어놓고 왠 딴소리야?
민주당되면 집값폭등 나라폭망 몰랏냐?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18 - 원래 민주당식 방식이 그렇지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1 - 서울대 카이스트 교수도 ai 연구자 상위 1000명에도 못드는데 뭔소리하노 . 괜히 올려치기 하지마라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6 - 고려대 컴퓨터학과 인공지능응용전공은 ICT명품인재사업단이라고 국가 사업(370억) 따내서 2010년부터 10년간 운영돼서 재원이 넉넉해서 인건비 좋고 해외 인턴이나 창업 지원 좋은 걸로 알고 있어요. 연구분야도 다양하고 하고 싶은 연구할 수 있어서 모르고 들어갔다가 대박이라고 하더라고요. 한 번 잘 알아보세요.
고려대학교 컴공이나 전전 대학원은 어떨까요?
13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학위 이후 학계에 그리 오래 있지는 않았지만, P가 별로인가 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포항공대는 누구나 최고의 역량을 가진 학교로 인정하고, 그 이름값을 하는 학교입니다. 최근 도전적인 투자도 많이 하구요. 서울대 카이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학교를 걱정하지 마시고 앞으로 오랜 기간 해야 할 박사과정의 주제와 목적의식에 집중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내에서 여론이 안좋다는 것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도 다들 서카포, SPK 등등 표현을 당연하게 쓰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훌륭한 학위 과정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4 - 아니 대부분은 폐급 대학원생 남자가 아니라 그냥 폐급 인간에 대한 얘기잖아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3 - 찐 폐급: 자기는 폐급 아닌줄 알고 남 까는애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39 - 본인소개?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13 - 이걸 이렇게 정리해서 적어놓고 까는애도 정상은 아니다 ㅋㅋㅋㅋ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15 - ㅋㅋ애초어 어그로 뻘글에 답글 안달고 싶었지만, IMF 외에 위험도 없었다니 웃고 갑니다. 그 IMF 한번이 얼마나 심각했었는지 찾아보세요 ㅋㅋ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9
신생랩 졸업 후 output에 기반한 신생랩 장단점 정리
2022.10.15

대학원 생활 및 졸업 이후 경험들에 비추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우선, 나는 skp 대학원 중 신생랩 출신이고, 박사졸업 후 정출연에서 일하고 있다. 그리고 내 주변에도 다른 신생랩 출신이 많았다.
김박사넷의 흔한 의견은 신생랩은 장비 셋팅할 것도 많고, risk가 크니 가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근데 정말 이런 측면만 존재할까?
사실 내 주변에서 정말 잘 되서 학계로 진출한 사람들은 신생랩 출신이 많았다.
그럼 이건 왜 그런것일까?
내 생각엔 김박사넷에서는 한쪽 측면만 너무 강조된 측면이 있어서, 다른 측면 이야기도 나누고자 한다.
신생랩에 대한 내 결론은 학계나 출연연을 가고 싶을수록 "연구 중심의 좋은 대학에서의 신생랩"을 가는 것은 유리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기회요소 1) 무엇보다도 좋은 대학일수록 신생랩 교수들이 new한 연구분야를 하기에 학계로 진출하기 유리하다.
반면, 아무리 논문 실적 잘 나와도 그 쪽 사람들이 이미 우리 나라 대학과 정출연을 채우고 있으면, 그 랩 출신은 학계에 진출하기 힘들다.
교수나 정출연 지원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실적은 기본이고 연구 분야가 가장 중요하다.
기회요소 2) 랩 set-up에 시간 많이 들어서 연구를 잘 못하네... 이런 소리가 김박사넷에서 많이 들리지만, 내가 아는 신생랩 1, 2호 박사들은 대부분 학계로 잘 진출했다.
왜냐면 교수가 실적이 필요하기에, 이 박사생들에게 좋은 논문 실적들이 많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그럼 석사 졸업생들이 lab set-up에 영향을 많이 받는거냐... 라고 또 묻는다면, 내 경험 상 별로 그렇지 않았다.
이건 아무래도 우리 랩이 skp여서 그런지 (간판이 중요했는지...), 애초에 회사가 석사 출신에게 높은 실적과 경험을 기대하지 않았다.
그냥 자기가 연구하던 내용들 발표하고 면접하면서, 다들 취직 잘 했다.
위험요소 1) 이번에 안 좋은 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 가장 위험한 부분은 교수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막말로 교수가 굇수였으면, 답이 없다.
교수가 굇수이면, 얼마나 대학원 생활이 힘들어지는 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이를 걸러낼 정보가 없다는 점에서 이건 확실히 위험 요소가 맞다.
위험요소 2) 사실 내 주변에서 이걸로 인생에 정말 타격을 받은 사람은 별로 못 봤지만, lab set-up에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다만, 나는 위에 설명한 이유들 때문에 이것이 정말 그 사람의 career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많이 보진 못했다 (교수가 굇수가 아니라면).
내 주변 신생랩 박사 졸업생들은 교수님이 실적을 챙겨주는 혜택을 lab set-up하면서 시간을 버리는 것보다 크게 본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왜 김박사넷에서는 lab set-up 문제를 강하게 호소하느냐?
내 주변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지만, 사실 그 사람 지도교수가 굇수일 것이라 추측한다.
가뜩이나 굇수인 사람이 (연구도 못하게) lab set-up으로 시간 뺏어먹게 하면 그 스트레스는 매우 크다.
내 주변에도 이런 사람들이 있었기에... 이에 대한 근본 원인은 lab set-up이 아니라, 교수가 굇수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한다.
다시 정리하면, 김박사넷에 너무 한 쪽 측면 이야기만 편중된 것 같아, 이 글을 적었고.
연구 중심의 좋은 대학의 신생랩이라면, 학계나 출연연을 가고 싶은 꿈이 있을 경우 매우 좋은 기회일 수 있다는 의견을 박사 졸업 후 내 주변 output을 기반해서 공유한다.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22 5 44922-
68 19 26123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30 80 20804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2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65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7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79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22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2 - 확실히 여자친구 있으면 연구 효율 떨어지는 듯
22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 반박글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4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8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7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26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 내부 괴롭힘으로 인한 랩 변경
10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7 - 지도교수님 결혼식
11 - 고려대학교 컴공이나 전전 대학원은 어떨까요?
9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5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3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9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4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2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65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7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79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22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2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 반박글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4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8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6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7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 내부 괴롭힘으로 인한 랩 변경
10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7 - 지도교수님 결혼식
11 - 고려대학교 컴공이나 전전 대학원은 어떨까요?
9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5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3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9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4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0
2022.10.15
대댓글 3개
2022.10.15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