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025.08.14

18

26218

요즘 좀 머리 굵어졌다고
교수님 코멘트 해주시면
이건 저래서 안돼고 저건 저래서 안돼고 궁시렁 대고 있는데
미팅 끝나고 와서
설마 아니겠지 하고 한번 해보면 교수님 말이 맞았거나
처음엔 필요 없다고 생각 했는데
교수님이 시키시니까 흉내만 내볼까 하다가 또 뭐 발견하고
안될줄 알았는데 설마 하고 해보면 되고 그럼 ㅎㅎ.
미팅때 맨날 개떡 같이 설명하는데
그것만 듣고 도대체 어떻게 그렇게 코멘트 해주시는지 모르겠음.
개기지 말아야지 다짐하지만 다음 미팅 때 또 개기겠지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8.14

부럽다
우리 교수는 내가 가르쳐주고, 다음 미팅 때 백지화 되있어서 또 설명해주고 반복임, 피드백도 오! 너무 좋네! 끝. 연구적인 피드백 전혀 없음.
연구하는게 아니라 그냥 혼자 학교에서 자습하는 것 같음

2025.08.14

건설한 토론과 정당한 의문과 비판적인 자세는 연구자에게 좋으나 너무 교수를 무시하진 말아주세요

대댓글 2개

2025.08.15

이거죠

2025.08.16

명심하겠습니다!

2025.08.15

근데 원래 토론은 그렇게 하는거에요. 꼭 개긴다고 표현하는 건 우리나라 안좋은 문화이고, 본인의견을 모두말하고 또 받고 하면서 서로 성장하는것. 그나저나 건설적인 좋은 대화를 받을수 있는 자세가 두분에게 되있는것 같아 보기좋네요. 자기의견이랑 다르면 얼굴바로 어두워지면서 대화가 아예 안되고 심지어 자기의견 맞는거 보여주고 싶어서 학생 연구나 실험 안되기를 바라는 마인드를 가진 교수들도 있어요. 전형적인 소인배 열등감 우물안 개구리로 자란 교수들이요.

대댓글 2개

2025.08.16

"개긴다"라고 표현한건 좀 과격한 표현이긴 하지만, 처음에는 다 불필요하고 안될 것 같은데 뒤돌아 생각해보면 아예 틀린 얘기도 아니고 실제 해보면 맞는 말씀이라서.. 일부러 반대하려고 하는 건 아닌데 얘기하다 보면 자동적으로 반대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타인의 조언을 받아들이는데 뭔가 심리적 저항 같은게 있는 것 같습니다. 이걸 극복하면 더 빠르게 더 좋은 연구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2025.08.17

저는 자신만의 똥고집도 연구하는데 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조건적으로 닫으라는 건 아니라, 자기가 생각하는 바가 맞다고 믿고, 그걸 증명하려고 노력하는 것,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받아들일 때도 내가 납득할 수 있을 때 받아들이는 것 모두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똥고집 ㄱ ㄱ

2025.08.15

너네는 사회생활을 아직 안해봐서 모른다. 세상에 어떤 사람들이 널려있는지...

대댓글 1개

2025.08.16

사회생활 조금 하다 왔습니다.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기 의견을 말해도 화 한번 안내시고 잘 들어주시는 교수님께 감사함을 느낍니다.

2025.08.15

글쓴이는 그래도 성장할듯 나 아는 부산연구사는 지가 무능해서 석사졸업논문 뭣같이 써놓고 부산대교수가 꼰대라서 지를 졸업늦게시켰다하던데 ㅋㅋㅋㄱ 개한심함 .. 논문도 연구도 별로고 박사하는애가 연구보단 명품좋아하고 업무시간에 수업준비하고

대댓글 1개

2025.08.15

요즘 연구사 보면 다 오버스펙이던데...

어케 달았데요? ㄷㄷ

2025.08.15

글쓴분은 좋은 학생 & 연구자네요. 화이팅이요! 지금 한 말 교수님께 그대로 해주세요. 교수님이 좋아하실걸요? 계속 개겨주세요 ㅎㅎ

대댓글 1개

2025.08.16

감사합니다. 한 번 순화해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ㅎㅎ

2025.08.16

비판적 사고를 교수님한테도 하고 스스로에게도 적용해보세요

2025.08.17

개겨야함. 잘하고 있습니다. 배울수록 내가 틀렸음을 자각하고, 그걸 뛰어넘기위해 또 공부하며 성장하는걸 반복해야합니다. 저는 아직까지 '이걸 몰랐다니'하고 놀랄때가 많습니다.

2025.08.18

아마 그게 연구적으로도, 인간적으로도 성장하고 있는 과정일거에요. 하시는 일의 정답 여부도 중요하지만, 연구는 결국 사람이 중요합니다. 교수님과의 소통에서 무조건 반박보다는, 기분 좋게 거절하시는 법도 배워보고, 교수님께서 불쾌하시지 않게 설득되실 수 있게 오히려 교수님께 출구전략을 만들어주는 연습들도 많이 해보세요! 인간 관계는 맞다/틀리다로는 한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화이팅이에요

2025.08.18

교수님은 그분야에서 깊은 통찰력. 경험에서 나오는 조언을 해주시는 값진 분이십니다 개기지마세요
님이 교수님정도 되보려고 하면 그게 얼마나 힘든일인지 알게되실거예요 교수님이 해보라해서 안되는 경우도 있는데. 된다고 하니 진짜 능력있는 교수님이신듯. 그것도 행운이라고 생각하셔요.

2025.08.21

고스톱으로 딴 자리가 아니긴 함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