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핵융합, smr쪽 연구원 희망하는 고3입니다. 1. 아주대, 인하대, 경북대라인 가서 spk 연구실을 갈 수 있을까요? 인기랩은 타 학교를 잘 인뽑는다고 들어서요.. 어느 대학교를 나와야 더 높은 대학원에 갈 수 있을까요? 2.학과가 얼마나 중요하고 원하는 대학원과 결이 어느정도로 비슷해야하나요? 자연과학쪽으로 가고 대학라인을 살짝 높이는 전략을 생각하고 있는데 좋을까요? 3. 나중에 연구소나 회사에 취직할때 학부생때의 학과가 석사, 박사때의 활동 만큼 중요한가요? 4. 훌륭한 대학원, 연구원이 될려면 어떤 생활, 행동, 마음가짐을 가지는게 좋고 지금 할 수 있는게 무엇일까요? 예를들어 책읽기, 논문 보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8.19
1. 학교가 높을수록 SKP 대학원 가가기 쉬워집니다. 지거국 경북대급도 불가능한건 아닙니다만, 과에서 학점 잘 받으셔야 합니다. top급으로요. 그리고 한 3학년부터는 학부연구 인턴도 하시구요. 힘드시겠지만, 벌써부터 분야가 확고하시다면, 학부연구 인턴 1~2년 동안 낮은 저널이라도 SCI 1개는 1저자로 쓴다 생각하시고 도전하면 SKP 가느ㅇ합니다.
2. 학과가 제일 중요하죠. 기계관데 화공과 연구실 컨택하면 그 사유가 명확해야합니다. 학부 4학년때 배우는 기초 수업이 base인데, 그걸 안배우고 온다는건.... 크거든요. 핵융합 연구를 하고 싶으면 그에 맞는 과를 꼭 가세요.
3. 당연하죠. 물론 박사까지 받으면 본인 박사 연구 주제가 제일 중요해지구요, 학부과는 희석되죠. 그런데 석사까지면 학부 과가 여전히 중요합니다.. 오히려 석사가 학부를 덮지 못하죠;
4. 훌륭한 연구자가 되려면 지금 필요한 공부/연구를 집중하고 갈고 닦는 것입니다. 고등학교때는 수능을, 대학교 학부때는 전공 수업과 학점을 말이죠. 그리고 학부 때 연구 인턴을 들어가게 되면, 그 분야에 맞는 논문을 읽고 지식을 쌓는 것이구요. 대학원부터는 이러한 논문 읽고 지식 쌓는 것을 꾸준히 하면서 이제 본인의 연구를 시작해보는 단계입니다.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본인의 연구를 찾는 기간이죠. 즉, 언제나 불평 없이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고 꾸준히 하시면 좋은 연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편법을 노리지 말고, 남과 비교하지 말구요. 그렇게만 하면 비교적 낮은 대학교에 입학하더라도 이 스텐스를 유지해서 좋은 대학 교수까지도 가능합니다.
2025.08.1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