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까지 생각하고 있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자 선배님들께 조언을 받고자 글 쓰게 되었습니다.
감사하게도 카이스트 무학과, 연세대 물리학과에 합격한 상황입니다. 저는 이론물리학, 특히 양자장 분야를 연구하고 싶어서 물리학과에 지원했고, 가능하다면 석박사 후 연구원 쪽 진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내는 자대 대학원 진학이 유리하다고 알고 있고, 이론물리는 유학을 가야 한다는 의견을 들어서 유학도 생각 중입니다. 물론 제가 대학에서 잘해야겠지만요...
여쭤보고 싶은 점은 국내 또는 해외 대학원 진학까지 고려했을 때, 어떤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할까요? 학점, 공부 환경, 학부생 위치에서의 연구 경험 등 다양한 점을 고려해야 할텐데, 이미 대학원에 진학하신 입장에서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카이스트가 연구중심 대학이기도 하고 여러 곳에서 높게 쳐준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카이스트에는 이론물리 쪽 교수님이 몇 분 안 계신 걸로 알고 있고, 쟁쟁한 학생들 사이에서 학점을 따는 것도 자신 있진 않습니다.. 연세대는 서울에 있으니 학회, 행사 참석이나 네트워킹?에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는 게 없다 보니 이런 고민들이 적절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공부나 연구 외에 다른 점들은 괜찮습니다. 지방에 있든 서울에 있든, 영어 수업을 하든 안 하든 가서 적응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도 대학원 지망 학부생으로서 할 일이나, 물리학과 진로 등등 아무거나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래에 눈팅하다보면 대학교를 서열화하는 글들이 있어 이런 글을 쓰는 것이 조심스럽지만, 진지한 조언을 듣고 싶어 올립니다. 한 마디라도 좋으니 댓글 남겨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3개
2024.12.14
일단 연세대 가면 뭔가 지리적으로 도움 될거 같다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학회 맨날 있는것도 아니고, 카이스트 학생들 전국으로 잘만 다닙니다. 절대 그런걸로 고민 마시구요. 카이스트가서 잘 기본기 닦으시고 대학원은 그후에 원하는 곳 찾아 카이스트 아닌곳 가셔도 됩니다. 연세대 가시면 100퍼 후회하십니다.
대댓글 2개
2024.12.14
동의합니다 학문에 뜻을 가진 이상 연세와 카이는 비교 대상이 아니에요
2024.12.14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024.12.14
대학원까지 생각하시는거면 비교할 가치가 없죠 당연히 카이스트입니다
대댓글 1개
2024.12.14
넵 감사합니다
2024.12.14
아!!! 젊은거 부럽다....
일단은 좀 놀고 여행도 좀 가시고!!
대학교 입학하면 이런 공백기도 없습니다. 인생에서 두 번 다시 없을 공백기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대댓글 3개
2024.12.14
감사합니다! 공백기 알차게 보내겠습니다
2024.12.14
아아 전 카이스트 ㅊㅊ이요 ㅋㅋㅋ
2024.12.14
네 감사합니다
2024.12.14
물리를 할 생각이 있다년 이걸 두고 고민을 하년 안 되죠.
연대 물리과에 진학해도 앞으로 물리 연구자로 성장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쪽이 유리하냐는 질문에는 이견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2.14
제가 잘 몰랐던 것 같네요ㅠㅠ 댓글 감사합니다
2024.12.14
뭐 서울대vs카이스트도 아니고 이건 닥치고 카이스트인데
대댓글 1개
2024.12.14
네 감사합니다
2024.12.15
여기 사람들은 단순히 대학 서열만 생각하고 카이스트라고 말 할 텐데, 이론물리쪽 아는 사람 아니면 조언 들을 필요 없어요. 이론물리 할거면 일단 이론물리 하는 교수님이 있는 곳으로 가야죠. QFT같은거 하려면 연세대가 더 나을수도 있긴 해요. 다만 여기서 주의해야 하는 점은, 학부과정을 거치면서 그런 순수 이론물리 말고 다른쪽으로 빠지게 될 수도 있다는거에요. 보통 물리학과 신입생들은 다 String이니, standard model이니 그런거 하고싶어 하지만, 학부 졸업할때쯤엔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처음 가졌던 목표랑 다른 길을 걷게 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저도 그렇고, 저랑 같은 생각이던 학부 동기들도 전부 그렇게 되었고요. 그리고 그렇게 된다면 카이스트가 명백히 더 우위긴 하다고 봐요. 난 정말 이론물리 할거고 qft에 대해 이미 어느정도 책도 읽어봤고, 객관적으로 봐도 학부 졸업할때까지 해당 분야 연구에 뛰어들 실력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면 교수님 보고 가세요. 다만 이게 리스크가 상당히 크다는 것과(물리학과에서 학부 졸업 전과 후의 생각이 달라지지 않는 학생은 그리 흔치 않아요), 안전빵이라는걸 조금이라도 생각하신다면 카이스트가 유의미하게 낫고요. 학회 행사참석 네트워킹은 어느쪽이든 충분히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유의미한 차이로 보이진 않네요.
대댓글 4개
2024.12.15
근데 지금 홈페이지 들어가보니 카이스트도 qft 관련 이론 교수님들 꽤 계신 것 같네요. 예전엔 카이스트에 해당 분야 교수님 많이 없다고 들었는데..이럼 그냥 카이스트가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2024.12.15
전문적인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말씀대로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정보를 보면 카이스트에는 의외로 qft 관련 교수님들이 많이 계시고, 연대에는 의외로 별로 안 계신 거 같긴 합니다.
그리고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마음이 바뀌신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경제적인 이유나 취업의 어려움, 혹은 재능의 벽? 때문인가요?
2024.12.15
알면 알수록 다른 측면들이 보이게 됩니다.
2024.12.15
그렇군요.. 가서 직접 보고 느껴야할 것 같네요
2024.12.15
그냥 명문대 가면 됩니다. 딴 생각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갑니다. 명문대 가면 된다.
대댓글 1개
2024.12.15
딴 생각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씀이 참 와 닿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2024.12.15
카이스트 물리학과 재학생입니다. 제 생각을 적어 보겠습니다.
1. 카이스트의 발전 과정을 보시면 알 테지만 카이스트의 초대 총장이 물리학의 광학 분야를 전공하셨습니다. 그래서 카이스트 물리학과에 유달리 광학 연구하시는 교수님이 많으신 겁니다. 다만 학과장님 피셜 입자이론 교수님들을 계속 뽑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입자물리 커뮤니티를 키워갈 것으로 계획 중이십니다. 2. 양자장론은 굉장히 넓은 범위에 속합니다. 사실 현대 물리학의 대부분의 분야는 양자장론의 체계 위에 있으며 고체이론을 하든 고체실험을 하든 위상양자장론을 하든 소립자물리를 하든 암흑물질 연구하든 양자중력 연구하든 관계없이 양자장론은 '무조건' 씁니다. 안 쓰이는 곳 찾기가 더 어려워요. 따라서 양자장론 연구하고 싶다는 건 그냥 물리학 전공하고 싶다는 말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모호한 목표입니다. 3. 카이스트에 입학하는 학생들은 다수가 고에너지이론을 생각하고 학과에 진입합니다. 그리고 대부분 실험보단 이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대생들과 이론 랩, 특히 인기 랩을 가고자 하는 경쟁은 좀 있는 편입니다. 그러나 타학교에서 해당 랩으로 가려면 학점이 4를 넘기는 것은 물론이고 연구 실적도 좋아야 하는 반면 자대생은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진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체, 광학, 양자컴, 복잡계 랩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카이 진학하셔서 평균 좀 넘기는 게 연대에서 탑 먹는 것과 비슷한 대우를 받습니다.
사실 제일 좋은건 어느 학교든 국내의 대가분께가서 인정받고 크는게 가장 쉽고 좋은 길이지만.. 학부레벨에서 굳이 고민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4.12.15
역시 기초 단계일수록 넓게 일반적으로 봐야 하는 것 같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2024.12.15
일단 축하합니다. 우연히 글을 발견하게되어 읽게되었습니다. 큰 아들이 카이스트에서 학석사 마치고 현재 박사과정 3년차입니다. 전기전자공학 전공이고 컴퓨터보안 분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는 진정 학부때부터 연구에 특화된 대학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들의 경우 학부부터 석사까지 기숙사 생활하면서 오로지 랩에서 연구하였고 주변 친구들 모두 그러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분위기 입니다. 둘째는 연세대 졸업을 앞두고 있는데 문과이기도 하지만 대체로 연대는 자유로운 학풍이라 카이스트 분위기와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연구를 좋아하고 그 분야로 성장하고자 한다면 힘이들더라도 카이스트를 추천합니다. 한 학부모의 시각에서 몇 자 적어봤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2.15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분위기가 많이 다른 것 같네요
2024.12.15
연세대 졸업하고 카이스트로 대학원 갑니다. 카이스트 연구환경이 정말 좋아요. 실력도 뛰어나구요 축하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4.12.15
감사합니다!
2024.12.15
글쎄요. 옛날 세대라 조심스럽지만 카이스트가 낫지않나요? 이왕 가는거 이공계 중심대학으로 가는게. 해보고 아니다 싶으면 연세대 대학원으로 진학. 근데 대부분 카이스트 대학원으로 진학할텐데. 그리고 이론물리로 정해졌으면 유명한 교수가 있는곳으로 가는게 맞아요. 학부는 전반적인 기초 물리를 배우고 심화과정은 대학원에서 교육받으니깐. 그리고 요즘은 모르겠지만 이론물리 교수들 제자 받는곳 많지않을텐데요. 너 취업안되도 상관없냐 이 분야로 가면 앞으로고달프다 등등 현실조언 오지게 할텐데요. 카이스트 학부졸업하고 미국이나 유럽 대학원 가심이 나을듯. 한국대학원 비추임.
대댓글 2개
2024.12.15
역시 이론물리는 유학을 해야하나 보네요ㅠ 댓글 감사합니다
2024.12.16
해외로 가세요. 참고로 저는 물리학과. 저 후배는 서울 모대학 이론물리방 가서 석사만 하고 대기업취업했죠. 말안해도 뭐. 비전도 안보이고 각자 알아서 논문 쓰던지말던지. 딱히 강압적이지도 않고. 낮에자고 밤에공부하던말던 알아서. 이게 좋은말 같아도 결과가 좋지않아요. 나중에 겪어보면 알아요. 모든 연구실이 그렇지않지만. 이론물리는 글쎄 국내는 분위기가 좋은곳이 있을까요? 있으면 다행이고. 저 본교 이론물리방은 대학원생 안받았죠. 취업이 안되니. 지금은 없어짐.
2024.12.15
연대에서 이론물리 전공하는 박사과정으로 첨언드리자면 일단 연세대에서 입자이론으로 분류되는 연구실은 현상론 및 우주론 연구실 1개와 Formal theory (String 등) 연구실 1개, 핵입자물리 연구실 1개 정도가 있습니다. 다만 이 연구실들중 일부는 인기랩이라 자대생이라고 꼭 들어간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반면 카이스트는 현상론 연구실들이 꽤 많고 Formal theory역시 규모만 보면 더 큽니다. 현상론 기준으로는 확실히 카이스트보단 연세대 학생들이 학회에 더 자주 참석합니다만 그건 지리적 여건보다는 교수님 성향이 큰 것 같네요. 대학원이라면 교수님 보고 진학하라 하겠지만 대학이라면 추후에 흥미있는 분야가 바뀔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일단 카이스트를 가고 생각하는게 좋아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4.12.15
전문적인 정보와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4.12.15
대학원까지 생각하더라도 KAIST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4.12.15
네 감사합니다
2024.12.15
포스텍이 훨씬 더 좋을 듯 하네요. 연대? 후회 100%. 졸업 해보면 알게 돼요.
대댓글 1개
2024.12.15
카이스트 말씀하시는 거죠? 감사합니다
2024.12.16
무조건 카이스트 추천드립니다. 본인이 정말로 이론물리가 하고싶은게 맞는지 검증하는 시간이 몇년에 걸쳐 필요할겁니다. 이때 카이스트의 과선택과 전과가 완전히 자유로운 메리트는 절대 무시할 수 없습니다.
생각보다 이공계에 매력적인 분야가 정말 많은데 솔직히 고딩때 이런 분야들의 10%도 알지 못하죠. 알아보고 고민하고 선택하는데서 카이스트 무학과 제도가 정말 메리트가 큽니다. 복수전공 제한도 없고
2024.12.16
카이에 이론물리 특히 High energy theory 교수들이 지금 이렇게 많아도 되나 싶을정도로 많고 het seminar 매주 열리면서 상당히 액티브함.
2024.12.14
대댓글 2개
2024.12.14
2024.12.14
2024.12.14
대댓글 1개
2024.12.14
2024.12.14
대댓글 3개
2024.12.14
2024.12.14
2024.12.14
2024.12.14
대댓글 1개
2024.12.14
2024.12.14
대댓글 1개
2024.12.14
2024.12.15
대댓글 4개
2024.12.15
2024.12.15
2024.12.15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2개
2024.12.15
2024.12.16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5
대댓글 1개
2024.12.15
2024.12.16
2024.12.16
2024.12.17
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