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배터리 연고대 랩실 vs 자대(경희대) 랩실

2025.01.21

10

1104

안녕하세요, 현재 화학과에서 3-2까지 마친 학부연구생입니다. 작년 7월부터 화학과 배터리 랩실에 학부연구생으로 들어와 반년 정도 있었고, 현재 졸업논문을 위한 아이디어 구상 중에 있습니다. 전체 학점은 4.06/4.3 (4.30/4.5), 전공학점은 4.10/4.3 (4.33/4.5) 입니다. 원래 조기졸업을 염두하지 않고 있었으나 어쩌다보니 요건을 맞추게 되어 올해 여름에 졸업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로서는 석사까지 생각은 있지만 박사 생각은 없고, 타대를 써볼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박사 생각이 없기에 설카포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고, 만약 컨택한다면 연고대 배터리 랩실들을 해볼 것 같습니다.
다만 조기졸업으로 인해 후기로 들어가는 것은 어려움이 있을 것 같고, 필요하다면 반년 인턴 후 내년 전기로 들어가는 것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고민인 지점들이 있는데, 우선 조기졸업 메리트를 없앤 채 연고대 석사를 하는 것과 자대를 가서 반년 빨리 졸업하는 것 중 어떤 것이 더 나은 선택일지 잘 판단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연고대 석사를 간다면 네임밸류와 더 나은 랩실 수준을 위해 갈 것 같고, 자대에 남는다면 전액장학금과 적응하기 편하다는 점으로 인해 갈 것 같습니다.
현재 랩실이 마음에 들지 않다거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신생 랩실이다보니까 in situ 같은 고급 장비들은 아직 갖춰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현재 졸업 논문 실험을 진행 중인 것도 아니고 가진 게 학점밖에 없는 타대생을 연고대에서 뽑아줄지에 대해서도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선배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1) 자연계열 배터리랩에서 공학계열 배터리랩 가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까요?
2) 아직 연구 성과가 있는게 아닌, 학점 원툴로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3) 연고대 랩실 vs 자대 랩실 + 반년 빠른 졸업 + 전액장학금 중 어떤 선택지가 더 합리적일까요?
4) 설카포가 아닌 연고대 석사도 네임밸류가 적용이 될까요?

긴 글 읽어주시고 답변해주셔서 미리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5.01.21

개인적인 의견
1) 상관없습니다, 2) 네, 인턴 경험이 있으시기도하고, 학부생중에 연구성과는 대부분 없습니다, 3) 석사만 할거면 그냥 자대 가서 빠르게 연구하고 학위 기간내에 취준하는게 낫다는 생각이긴 합니다, 4) 엄청 유의미하단 생각은 아닙니다. in-situ 같은 분석은 보통 외주를 맡기지 랩실에서 소유하는 경우는 그렇게 많진 않습니다

2025.01.21

네임벨류가 아예 없다는건 아니지만 연구내용을 보다 더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곳으로 가시길 추천합니다 석사로 취직 때 연구내용을 면접으로 볼 때 그게 티가 조금씩 나거든요

2025.01.21

1) 배터리면 공학계열이랑 자연계열이랑 그렇게 큰 차이 없을거예요
2) 학점 원툴로 들어간 사람들 많습니다
3) 전자
4) 네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