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호기심과 창의력이 정말 뛰어나면

2025.02.16

21

2144

대학원생활과 잘 맞을 확률이 높나요?
대학원 진학 고민중인데 호기심이 많아서 관심분야 정하는게 너무 힘드네여ㅡ 다 재밌어 보여요.

제가 좀 4차원이라는 말도 자주 듣고, 창의적이다라는 말을 주변에서 좀 듣는 편인데
대학원 생활에서 어떤쪽으러 이점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5.02.16

말로만 하던 친구들은 그냥 텄고요. 제 주위를 둘러본 경험으로는, 그런 창의적인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는 친구들이 결국 높은 곳으로 갔었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2.16

말보다는 행동! 말씀 감사합니다

2025.02.16

학점 높나요?

대댓글 1개

2025.02.16

네 높아요

2025.02.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4차원에서 걸러질걸요?

대댓글 1개

2025.02.16

앜ㅋㅋㅋㅋ 어느정도 정단은 핗요 하겠군요

2025.02.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반적으로 4차원 얘기듣는건 개념없거나 예의없거나하는 경우 아닌가요?ㅋㅋ

2025.02.16

대학원은 해봐야 알음.
학점높든 호기심이많든 창의성이많든 다 필요없고, 결국 나중에 논문잘쓰고살아남는놈이 될놈인거
그리고 글쓴이가 말하는 그런거보다는 의지가 좋은 사람이 잘하는거 같음.
학부높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더 잘하는것도 사실임. 반드시 비례하는것까진 아니지만 학점에 비해선 훨씬 상관관계 있음.

2025.02.16

능력이 받쳐주면 창의적인게 도움이 되는거지 능력도 없이 허황된 이야기만 하는 부류들이 대학원에 꽤 있는데 몇학기만 지나면 다들 조용히 사라집니다.

2025.02.16

거기에 기술이 붙어야함. 즉 상상력을 바탕으로 이성적 증거를 가져다 대야 논문이 됨. 증거를 만들려면 각 분야별 테크닉을 잘해야지 잘하려면 기본 바탕이랑 응용을 잘해야겠지

2025.02.16

4차원이랑은 하나도 관련성 없음.

대댓글 1개

2025.02.16

창의력이 높은게 증명된거라면 이건 엄청난 장점이 될 수 있음. 그런데 이보다 중요한게 업무 수행 능력임. 개인/그룹 단위에서의 과업과 본인 스스로의 역량 향상 이게 모두 이루어지려면 업무 수행 능력이 가장 중요함. 창의력만 높고 일 못하는 친구들 보다 일 잘하고 창의력 없는 소위 말해 시키는거나 하는 친구들을 교수들은 더 선호함.

2025.02.16

conventional 하지 않은 생각들을 할 줄 알면 연구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한국 학생들에게서 보기 어려운 덕목이라 더 그렇습니다.

이런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조언을 하겠습니다.

첫째로 남의 논문을 많이 읽기 바랍니다. 온고이지신이란 옛말이 그른 것이 하나도 없어서 연구란 남의 것을 토대로 그 위에 쌓는 것입니다. 보통 독측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만들어 내는 학생들의 특징 중 하나는 남의 생각에 의해 갇혀 있지 않은 것이긴 한데 이게 박사를 받는 과정에서는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둘째로 위에 다른 분도 조언을 했는데 결국은 실향을 해야 합니다. 구슬이 서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고 결국 창의적으로 아이디어만 만들어 내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결국 실험이든 계산이든 해내고 언어로 정리를 해야 실적으로 남습니다.

결론적으로 많이 읽고 많이 쓰세요.

대댓글 1개

2025.02.18

공감합니다. 특히 구슬도 서말은 꿰야 보배다 - 정말 제 대학원 생활을 꿰뚫는 말씀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아이디어든 소위 '먹히는' 아이디어를 만들려면은 우선적으로 그 분야에서 제시된 아이디어, 그 아이디어들이 만들어갈 방향성 등 파악하고 그 관점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줄 아는 수준으로 배워놓는 게 우선인 듯 합니다. 때문에 공부 또 공부하고 스스로가 가장 크리티컬한 리뷰어가 되어 끊임없이 다듬어나가야하는 것 같습니다.

2025.02.16

경험상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보다, 한 가지에 미친 듯이 몰두하는 사람이 연구 잘하더라구요

2025.02.17

글을 쭉 살펴보니 쓴이는 눈치가 없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일상에서 사람의 창의성을 확인할 기회도 많이 없지만 인간관계 속에서 창의적이다. 4차원이다. 라는 말은 보통 와... 이걸 이렇게 본다고? 라는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본인의 행동양식, 생각에 공감하기 어려울 때 주변에서 쓰는 경우가 많아요

대댓글 1개

2025.02.18

슬픈데 공감되는 내용이네요..

2025.02.17

호기심과 창의력이 뛰어난 사람은 본인이 원하는 방향으로 잘 이끌어가면 이점 있죠
근데 대학원 생활이란 게 그게 잘 안 되게 만드는 환경이기도 해요

2025.02.17

창의적이고 호기심 많으면 당연히 연구를 잘 하지요.
그런데 그건 기본이고 대학원에서는 성실함과 끈기가 더 중요해요.

2025.02.18

오히려 대학원 생활에 가장 안 맞는 성격 같음

2025.02.18

4차원이라는 말은 주로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있거나 현실감각이 떨어진 사람에게 쓰는 표현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