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외대 서울캠에 AI 학과가 생겼습니다. 근데 문제가 많습니다. 외대 AI학과는 사실상 외대 글로벌캠(명지대, 상명대 수준) 공대를 서울에 올리기만 한건데(심지어 커리큘럼도 부실) 생각보다 높은 입시 결과(건동홍 올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학교의 소재지와 위치를 중요시하는 풍토로 인해, 뛰어난 인재들이 이상한 곳으로 가고 있습니다. 수만휘, 오르비, 한석원 갤러리 등 입시 커뮤니티에서 김박사넷의 화력을 한번 보여줘야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5.03.08
?
대댓글 1개
2025.03.08
문과에서의 학교 명성(중경외시 라는 명목으로 묶임)을 이용해서, 학생들을 부실한 학과로 이끌고 있습니다.
2025.03.08
교수의 약력이 수준 미달이라던지, 연구시설이 부실하다던지 하는 데이터를 들고와야하는거 아닌가...? 무슨 고등학생이나 볼법한 수능표를 왜 여기에?
처음에는 미흡하더라도 차근차근 성장해 나가면 되지요. 이 나라의 미래는 과학과 공학의 발전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 중심으로 인식되는 외대가 과학/공학 인재, 특히 미래 핵심 기술인 AI 인재 유치에 힘쓰는 것은 오히려 반갑고 고마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3.15
이런 글에 차분히 댓글 다시는게 참 어른이시네요
2025.03.09
외대서울이라는 학교입지와 급에 혹해서 당장의 외대 간판을 보고 들어간 이공계 학생들이 안타깝긴 하지만, 본인들 선택이니 후회하는것도 본인 몫이겠죠. 뭐 혹시 몰라 외대서울이 그래도 본교의 명예를 실추시키지 않으려 좋은 교수들과 자원들을 지원해주면 어떻게 될지도 모르는거라 섣부른 평가는 지양하는것이 어떤지
2025.03.09
뭔 학부 레벨을 여기서 따지고있어. 연구에나 집중해서 좋은 논문부터 쓰세요. 뭔 시덥잖은걸로
2025.03.09
그럴 시간에 본인 연구나 잘 하세요. 애초에 대학원생은 커녕 아직도 오르비나 수만휘 같은 커뮤나 들락날락하는 학부생이나 고등학생 같지만. 학부 간판이 밥 먹여주는 거 아닙니다 아직 학부도 없는 나이면 수능이나 열심히 공부하시고요
2025.03.09
예?
2025.03.09
아무리 김박사넷이 김학사넷이라고 불려도
이 무슨 어이없는 글을...
2025.03.09
ㅋㅋ
2025.03.09
근데 현업에서 외대출신 개발자도보기힘듦
2025.03.09
의치한약수떨 스카이떨 서성한떨중떨 최저도떨 정시수시학종논술 다 떨
2025.03.09
ai학과 커리큘럼이 솔직히 얘기해서 안부실해보이는 곳이 서카포 말고 있는지요 잘할 사람은 어디서든 알아서 본인이 부족한 거 파악하고 공부할겁니다 다 자기하기에 달린거죠 이제 시작하는 학과인데 부실함을 평가하고 싶으면 첫 졸업생은 나오고 판단해야죠
2025.03.10
보고 왔는데 심각하긴 하네
2025.03.10
여기 임용 공고 나올 때도 좀 웃기긴 했는데 ai파워가 대단하긴하네
2025.03.10
뭔화력을 보여달라는거임? 여기가 무슨 훌리건 모집소인 줄 아시나 커리큘럼이 마음에 안들면 마음에 드는 학교로 갈 준비를 하시던지 직접 건의하셔서 변화를 모색해야지 그냥 '해줘'라고 써놓으면 뭐하자는건지 참
2025.03.10
화력글 올리기 참 쉽네 ㅋㅋㅋ
2025.03.10
이럴때일수록 ai 학과 들어가면 절대 안됨. 절대 미래 보장해주지않음. Ai 학과를 갈것이 아니라 물리, 수학, 컴공 같은 전통학문을 해야함. 근본이 되고 나서 나중에 ai를 전공하던가 해야지. 저런학과 이도저도 아닌 과목 투성이일텐데. 수학 전광과목도 부실할거고 ai 알고리즘이 볼츠만 분포에 입각해서 만들어진것인데 당연히 물리학은 안배울거고 빅데이터 모으려면 기본 코딩 배워야하는데 첫수업부터 인공지능 코딩부터 배우겠지. 아니면 openai 쓰는 법 알려주던가 인터넷 뒤지면 다 나오는것 알려줄텐데. 트랜드를 따라가지말고 오히려 기본과학에 충실해야함.
대댓글 2개
2025.03.10
이게 맞음
2025.03.11
주요대학들 반도체연계학과 만들때도 경악했음. 반도체 회사 다녀본 사람들 알겠지만 반도체는 한개 학과에서 배울수 있는기술이 아님을 잘알지. 물리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화학, 하다못해 수학까지. 온갖 이공학의 오케스트라 기술인데. 반도체 학과에서 한다고? 난처음부터 감지했음. 언젠가 없어지겠구나. 제발 지금학생들아 기초과학좀 해라. 물리, 수학 그래 돈벌기 어렵지 하다못해 공학이래두. 그게 앞으로 고연봉이야. 인공지능 기술 나와도 이런 도메인지식을 갖춘 프롬프터가 없으면 무용지물이란다. 모든 답을 chatgpt가 주긴해. 단 제안서나 웹 프로그래밍 같은 경우는 거의 만점에 가까움. 그런데 디테일한 경험이 필요한 임베이디드 프로그래밍이나 경험적인 이과 실험에 대해서 답을 못줘. 내가 말하는 모델은 o3 말하는거임. 4o도 아니야. 그러니 chatgpt가 답을 못해주는 이공학 분야를 공략해라. 그게 답이야. 코사이언티스트 같은 소리하지말고. 그 툴은 바이오 신약 분야에 아주 조그마한 분야에만 적용가능해. 경험이 필요한 하드웨어 분야 기술은 챗gpt가 침투못한다. 공부하기어렵고 심도있는 분야해라. 의사 같은 소리하지말고. 의사 돈많이벌거야 근데 앞으로 신기술 보유한 이공학 과학자에게 못이긴다. 조만간 그 시대온다.
2025.03.11
그런데요? 어쩌라는건지..
2025.03.11
국내는 출신 학부를 가장 중요시하는 풍토가 지배적이라 대학원 간판을 볼게 아니라 대학원에서 무엇을 연구하였고 논문 준비는 어떻게 했는지가 관건이라고 봅니나 물론 지도교수님도 중요하구요. 본인 학부가 어떻든지간에 연구의 꿈과 목적을 갖고 대학원을 온것이라면, 본연의 취지에 맞게 하루하루 보내는게 더 바람직하다고 사료됩니다
2025.03.11
커리 봤는데 공격당할 정도는 아니던데요? 왠만한 CS, 머신러닝 기본 과목들 개설돼 있고 대학원에서 보던 Language AI 관련 과목들을 학부에서 이수하면 그쪽분야 전문성 키워서 서카포 대학원 진학해서 동일 분야 커리어 쌓기엔 오히려 더 유리할 듯. 그냥 일반적인 ai 과목들 나열해서 가르치는 ai학과보다는 특성화된 커리가 오히려 나아보임. Llm은 계속 성장하면서 부각될테고 외대 특성도 살리면서 나름 전략 잘 짠듯.
2025.03.08
대댓글 1개
2025.03.08
2025.03.08
대댓글 1개
2025.03.08
2025.03.08
2025.03.08
2025.03.09
대댓글 1개
2025.03.15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09
2025.03.10
2025.03.10
2025.03.10
2025.03.10
2025.03.10
대댓글 2개
2025.03.10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1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