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같으면 최소1년은 더하면서 논문쓰긴할것같네요. 제가 있는 학교 분위기로는 지원하시면 아마 학과교수 절반은 해외포닥짧고 보여준거없다고 나가리날것같습니다
2025.03.23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해외포닥기관에서 작성한 논문이 상당히 중요한거 같네요
2025.03.23
엄청나네요. 1 저자는 어떻게 되시나요? (Co-first 말고요)
2025.03.23
누군진 모르지만, 본인을 상당히 드러내시려고 하시네요. 참고로 저도 같은 기관에서 포닥중입니다. 국내임용 생각하시면 펀딩있으실때 들어가는게 가장 베스트가 아닐까싶네요. 저는 와이프가 미국에서 자리잡다보니 미국만 생각해서 여기 실적+네트워킹 쌓는것때문에 길게 보고있지만요..
2025.03.23
그리고 제 주변에서도 글쓴이분처럼 박사과정 최근 3-4년 실적 나쁘지않으면 기관 이름만 찍고 바로 돌아가는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글쓴이분 말씀처럼 처음부터 탑스쿨만 생각하지않으시면 무조건 귀국이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제 친구들도 학진이나 세종(국외트랙)으로 왔던애들중 오자마자 국내교수자리 계속 써서 연장안하고 바로 간경우도 꽤많이 있고요. 하지만 분야마다 조금 상이할수도있겠지만, 그정도 실적을 포닥때 유지하는건 어려울텐데 계획적으로 국내임용 바로 도전하심이..
2025.03.23
웬만한 조교수보다 실적 좋고 세종도 수주한 상태인데 ? 바로 임용 도전하는게 현명. 임용 후 바로 과제 들고 와서 연구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매우 큰 강점.
2025.03.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혹시 국내교수만 노리고 있으신가요? 해당 4편이 모두 주저자라면, 저라면 뽑을 것 같습니다. 오히러 세종을 가지고 오실 수 있을때 지원하셔서 임용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 아시다시피 펀딩이 참 불확실해서, 펀딩이 있는 상태로 국내리턴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2025.03.23
분야를 모르긴 하지만, 분야 막론하고 연구중심대학에 임용되실 실적 아니신가요?ㄷㄷ
2025.03.23
UNIST 나 성한정도면 통곡의 벽이죠. 근데 그 위로도 사실 대학이 몇개 없어서, 첫 임용에 이 대학들 가기가 하늘의 별따기임에 공감합니다.
2025.03.23
어느 수준 이상 논문이 있다면 그게 진짜 실력으로 쓴건지 봅니다. 박사, 포닥까지 논문 잘 쓰다가 막상 임용되고 연구 못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실제 임용 후 진짜 그정도 상위 논문을 혼자 디렉팅 할 수 있는지, 과제 수주 능력은 있는지, 차별화된 연구분야나 방법론이 있는지 이런것들이 중요합니다
2025.03.23
지유디 + 성한 임용되는 사람들 보면 스펙 어마무시하던데; 분야+학벌+정량적실적 다 좋아야 들어가는느낌
뭐랄까 말씀하신 상위권 대학교에 붙을정도의 프레쉬 박사님들은 애시당초 미국의 R1에 붙으실 겁니다. 가족 문제만 없으면 왠만하면 미국에서 교수를 하는편이 좋죠.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상위권 대학의 경우, 프레쉬 포닥이 교수를 하는 비율이 매우매우 낮습니다. 제가 건너서 들은 학과는 인서울 서성한까진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면 대부분 타 대학교에서 건너오신 분들이더군요. 이게 진정으로 학교측이나 학생들에게 좋은 결정인지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긴합니다.
2025.03.24
솔직히 상위권대 자리는 현직들과 경쟁한다고 봐야함. 어쨌든 임용이 될만한 실적 + 자기랩 꾸려서 교신저자로 논문 쏟아내는 사람이면서, 교수로서 정식 과목 맡아 매 학기 강의 경력 꾸준히 쌓이는 사람하고 경쟁한다고 생각해보셈..
2025.03.23
대댓글 8개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2025.03.23
대댓글 1개
2025.03.23
2025.03.23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