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금 잡구하는 '경쟁력'있다는 포닥들한테 해주고싶은말

2025.03.23

15

9151

지금은 자기가 논문몇개썼고 어디 상위지거국이나 인서울중위교수들보다 실적더 좋다고 경쟁력있다고 생각하겠지만...
UNIST나 성한만되어도 교수채용할때 교수들이 보는거는 생각보다 포닥들이 생각하는 정량실적과 관계가 없음.

미국 탑스쿨박사+탑스쿨포닥+탑저널 있는거 아니면 프레쉬로 저기 뚫는거 사실상 불가능하다. 프레쉬포닥들이 뽑히는 유일한경우는 분야가 한국에 없는 미래지향적인걸 전공했거나 국내교수랑 안겹치게 네이쳐사이언스 본지에 논문 내서 뽑히는거.

즉 상위학교 교수는 90퍼이상 경력직-상위지거국/인서울/kist 에이스들이 이직하는거.

그니까 지금 본인실적이 어디보다 좋아보인다고 자만하지말고 지거국부터는 다쓰고 붙으면 절하면서 가면된다.

그리고 대부분 자기실적이 좋다라고 생각하는 jcr상위 몇편 있고 이런거는 실적 좋은게아님. NCS본지 나 NS메이저 자매지가 있고 분야 탑저널 여러편 or 네컴사어PNAS 여러편에 분야 탑저널 여러편. 이정도 되어야지 실적이 좋다라고 할수있는거임

참고로 나도 성대이하로 갈거라는 상상을 해본적이 없었던 실적인데 시작은 상위지거국 or 인서울중위 로 했음. 3년후에 이직성공했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03.23

개인적으로 질문드리고 싶어서 답글답니다... 세종국내과제 1년 해외파견 지원 활용하여 MIT 포닥 와있습니다 (Matching fund 받음).

1년 마치면 한국 돌아가 교수 임용 도전하려고 하는데 PI가 추가로 1년더 했으면 좋겠다고 풀타임으로 전환하는게 어떻겠냐 하네요. 지금 MIT쪽에서 연구한 결과로 작성중인 논문이 한편있는데 시간이 더 걸릴듯 하구요.

박사과정때 진행한 연구와 관련된 논문실적은
Nat. Mater/Nanotechnol 각각 1편씩
Sci. Adv. 2편
Nat. commun 1편
그외 4편정도 있는데 (최근 3년),

1. 해외포닥 나가서 쓴 논문이 당장 없더라도 1년만 다녀와서 세종과제 있는 상태로 임용도전할지,

2. 세종과제 포기하고 논문 나올때까지 포닥 계속할지,

어떤게 더 임용시장에서 유리한지 고민중이네요. 주위 박사님들/교수님들께 질문드려봐도 당연히 말씀하시는게 다 다르셔서, 여러 분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대댓글 8개

2025.03.23

박사과정때 실적이 우수해서 당장 job market들어올수는 있을거같은데 그래도 해외네트워크에서 논문하나는 쓰고들어오는게 장기적으로 볼때 유리합니다.
아마 박사과정때 저정도로 논문썼을 랩이면 pi가 대가일텐데 생각보다 차별성없이 과제따거나 집단과제할때 힘들거에요.

저같으면 최소1년은 더하면서 논문쓰긴할것같네요. 제가 있는 학교 분위기로는 지원하시면 아마 학과교수 절반은 해외포닥짧고 보여준거없다고 나가리날것같습니다

2025.03.23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해외포닥기관에서 작성한 논문이 상당히 중요한거 같네요

2025.03.23

엄청나네요. 1 저자는 어떻게 되시나요? (Co-first 말고요)

2025.03.23

누군진 모르지만, 본인을 상당히 드러내시려고 하시네요. 참고로 저도 같은 기관에서 포닥중입니다.
국내임용 생각하시면 펀딩있으실때 들어가는게 가장 베스트가 아닐까싶네요.
저는 와이프가 미국에서 자리잡다보니 미국만 생각해서 여기 실적+네트워킹 쌓는것때문에 길게 보고있지만요..

2025.03.23

그리고 제 주변에서도 글쓴이분처럼 박사과정 최근 3-4년 실적 나쁘지않으면 기관 이름만 찍고 바로 돌아가는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글쓴이분 말씀처럼 처음부터 탑스쿨만 생각하지않으시면 무조건 귀국이 유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제 친구들도 학진이나 세종(국외트랙)으로 왔던애들중 오자마자 국내교수자리 계속 써서 연장안하고 바로 간경우도 꽤많이 있고요.
하지만 분야마다 조금 상이할수도있겠지만, 그정도 실적을 포닥때 유지하는건 어려울텐데 계획적으로 국내임용 바로 도전하심이..

2025.03.23

웬만한 조교수보다 실적 좋고 세종도 수주한 상태인데 ? 바로 임용 도전하는게 현명. 임용 후 바로 과제 들고 와서 연구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매우 큰 강점.

2025.03.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혹시 국내교수만 노리고 있으신가요? 해당 4편이 모두 주저자라면, 저라면 뽑을 것 같습니다. 오히러 세종을 가지고 오실 수 있을때 지원하셔서 임용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 아시다시피 펀딩이 참 불확실해서, 펀딩이 있는 상태로 국내리턴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2025.03.23

분야를 모르긴 하지만, 분야 막론하고 연구중심대학에 임용되실 실적 아니신가요?ㄷㄷ

2025.03.23

UNIST 나 성한정도면 통곡의 벽이죠. 근데 그 위로도 사실 대학이 몇개 없어서, 첫 임용에 이 대학들 가기가 하늘의 별따기임에 공감합니다.

2025.03.23

어느 수준 이상 논문이 있다면 그게 진짜 실력으로 쓴건지 봅니다. 박사, 포닥까지 논문 잘 쓰다가 막상 임용되고 연구 못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실제 임용 후 진짜 그정도 상위 논문을 혼자 디렉팅 할 수 있는지, 과제 수주 능력은 있는지, 차별화된 연구분야나 방법론이 있는지 이런것들이 중요합니다

2025.03.23

지유디 + 성한 임용되는 사람들 보면 스펙 어마무시하던데; 분야+학벌+정량적실적 다 좋아야 들어가는느낌

대댓글 1개

2025.03.23

지디는 그나마 덜한데 유니부터는 실적이나 백그라운드가 무시무시하긴하죠.
그래도 지디는 프레쉬포닥들이 들어갈만한데 유니부터는 정말힘듬

2025.03.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뭐랄까 말씀하신 상위권 대학교에 붙을정도의 프레쉬 박사님들은 애시당초 미국의 R1에 붙으실 겁니다. 가족 문제만 없으면 왠만하면 미국에서 교수를 하는편이 좋죠.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상위권 대학의 경우, 프레쉬 포닥이 교수를 하는 비율이 매우매우 낮습니다. 제가 건너서 들은 학과는 인서울 서성한까진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면 대부분 타 대학교에서 건너오신 분들이더군요. 이게 진정으로 학교측이나 학생들에게 좋은 결정인지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긴합니다.

2025.03.24

솔직히 상위권대 자리는 현직들과 경쟁한다고 봐야함. 어쨌든 임용이 될만한 실적 + 자기랩 꾸려서 교신저자로 논문 쏟아내는 사람이면서, 교수로서 정식 과목 맡아 매 학기 강의 경력 꾸준히 쌓이는 사람하고 경쟁한다고 생각해보셈..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