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2025.09.14

9

587

AI대학원은 타 과에 비해 입시가 상당히 빡센걸로 알고있는데,
설카포 아니면 의미없다가 그냥 일반 공대 기준인건지, AI대학원도 해당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9.14

Spk.

2025.09.14

SKP밑도 실적 좋은 랩은 분명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연구를 하느냐에 따라서, SKP밑으로는 환경에서 차이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video diffusion 연구 같은 경우 VRAM이 매우 큰 A100같은 GPU가 매우 많이 쓰이는데,
SKP 이하 대학원의 경우 아예 없거나 물량이 부족해서 연구 자체를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025.09.14

아는 지인 고대 컴과 혼자 GPU A100 A6000 몇대로 연구한다고 해서 놀람 고대가 돈이 많기는 한 가 봄

2025.09.14

랩바랩임. 간판만 보지 말고 실적 좋은 랩을 가세요

2025.09.14

와 해외 박사중인데 댓글들 A100, A6000 물량 이야기 하는거 보니까 진짜 한국 GPU 물류 노답인가?? 우리 랩실 심지어 컴싸도 아닌 랩실에서 원래 RTX 6000 Ada 여러개 돌려쓰다가 이번에 새로 RTX Pro 6000 으로 몇장 더 추가 구매하는데 SKP말고는 못구한다고??

대댓글 2개

2025.09.14

못구한다기 보단 학생수에 비해 수가 월등히 딸려서 큐만들어서 돌려써야댐 ㅋㅋ

2025.09.14

아는 지인 고대 컴과 석사 혼자 자기 실험 A100 A6000으로 실험 돌린다는데 이 정도면 지원 좋은 거 아닌가요? 랩 바이 랩 연구원 바이 연구원이겠지만 카이 석사도 3090 두어대로 돌리는 랩도 있다고 들어서 혹시 해외 박사님이 실험 돌리는 GPU 좀 알 수 있을까요? 그냥 부럽기만 하네요

2025.09.14

나는 4090 한개로 충분하던디

2025.09.14

GPU가 많으면 수월한건 사실이지만, 탑학회에 4090정도로도 논문이 많이 나옵니다. 주어진 환경에서 열심히해서 가치있는 이론/실험 결과를 만들어내면 어디서든 잘 할수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