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 vs K논란에 대한 의견

2020.09.14

29

7780

음 많이 싸우는 주제라 아무리 조심스럽게 적어도 욕먹을것 같긴한데 각오하고 적어봄.

일단 싸우고 싶어서 쓰는 건 아니고, 댓글로 달기에 너무 길어질것 같아 글로 작성한것임.

먼저 논란의 주제는

"보통랩은 K>S인데 인기랩은 S>>>K다" 라는 주장이다.


이 주장은 관점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을것 같은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왜 이런 주장이 나오는지 알것같고, 어느정도 이해가 된다. 

일단 본인은 K다니고 있는 타대생출신인데, 한가지 정리를 하고 넘어가야 불필요한 논쟁을 피할수 있을것 같다. 길더라도 했던말 또 하지 않게 읽어주면 감사하겠음.


1. 타대생 차별? S는 학부가 먼저, K는 대학원이 먼저 생기고 학부는 이후에 생겼다(모든 과기원 특징). 학부생 수 대비 대학원생 비율이 K가 훨씬 크다는 것을 기억해야한다. 애초에 K에는 타대생이 더 많을 수 밖에 없으며 (이게 S대학원에 자대생이 더 많단 말은 아님) K의 위상을 오직 자대생 출신만이 만들었다고 할 수도 없기 때문에 타대생이 가서 차별받는 일이 적음. (+S의 순혈주의는 너무 유명하다. 학부생들끼리도 출신 고등학교로 차별한다는 소식도..)

2. 연구실의 순위 기준. 연구실의 순위를 비교한다는것이 진짜 의미가 없는데도 왜 자꾸 등장할까? 아무래도 각자 순위를 매기는 기준이 다르다고 생각함. 누구는 실적, 누구는 아웃풋, 누구는 선호도 등 각자 다른기준을 가지고옴. 개인적으로는, 아무래도 '선호도'가 아닐까 싶다. 둘다 갈수 있을때의 선호도가 가장 정확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자 그러면, 본론으로 돌아와서, "보통랩은 K>S인데 인기랩은 S>>>K다" 라는 주장에 대한 생각이다. 일단 입시생들중 S, K대 자대생은 소수다. 전국 대학원 진학자들에는 타대생이 당연히 압도적으로 많으며, 타대생 입장에서는 학교업그레이드시 비인기랩~보통랩에 들어가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 보통랩 경쟁에서는 1. 의 이유뿐 아니라, 실제로 K대의 높은 학점컷 때문에 생기는 진입장벽으로 인해 대학원은 K>S라는 인식이 타대생에게는 박혀있는 인식이다. 최소 대학원에서는 적은 타대생 차별, 진입장벽 이외에도 경제적인 장점, 연구하기 좋은 환경 등 K가 S보다 가진 다양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솔직히 S대 자대생들은 말을 아꼈으면 좋겠다.) 

 (간혹 보통랩도 S>K라고 주장하는 글도 있는데 본인이 S대 자대생이거나 S대를 진학한 타대생이라 그러는건지..)

그러면 인기랩은 어떻게 선호도를 매길까? 사실 SPK레벨에서는 인기랩은 거의 자대생이 대부분 간다고 보면 되겠다. 즉 인기랩의 선호도는 높은 비율로 자대생만이 관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인기랩을 갈 수 있는 자대생에게는 당연히 S나 K나 자대랩으로 가는것이 무조건 이득이며 (국내랩으로 간다는 가정) 여기서는 선호도 비교는 무의미하며 실적, 아웃풋 등을 보는것이 맞을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사실 그렇다면 여기서부터는 비교할수 있는지가 의문이다. 사실 무슨 농구팀마냥 두 연구실을 싸움 붙일수 있는 것도 아니고, 무조건 논문숫자나 학생/교수 숫자로 비교하기에도 힘들고 감히 내가 그 교수님들의 실력을 평가할 수도 없다고 생각한다. 결국, 인기랩 비교는 사실상 무의미하다고 본다. 

하지만 인기랩은 S>>>K라는 주장의 근거를 굳이 추측해 보자면, 본인이 S대 입시설명회에서 들었던 말을 얘기해 보려고 한다. 물론 S에서 S에게 유리한 말을 하는것이 당연하겠지만, 그때 S와 K에서 동시에 교수로 초청받으셨던 분이 조금도 주체하지 않고 S를 선택하셨다고 하셨다. 

즉 학생 기준에는 K가 메리트 있어도, 교수 입장에서는 S가 메리트가 있다는 것에 답이 있다는 내 주제넘은 추측이다. 




정리하면,

1. 비인기~보통랩은 타대생이 다수. 타대생 기준 K>S는 국룰. 

2. 인기랩은 자대생이 대부분. 자대생 기준 자대 대학원으로 가는것이 이득. 비교가 무의미.

(심하게 요약했으니 정리글만 읽고 욕하지는 말아주시길)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Alexander Fleming*

2020.09.14

정리 1번때문에 개똥글됨

2020.09.14

ㄴ ㅜㅜ
Johannes Kepler*

2020.09.14

"보통랩은 K>S인데 인기랩은 S>>>K다" 
의 근거가 너무 부실한 거같음. 글은 길게 썼는데 보통랩이 왜 K>S인지 근거없이 그냥 K의 진입장벽이 높다는 얘기밖에 없고 인기랩이 왜 S>K인지도 그냥 교수의 선호도는 S가 더 좋다뿐인데 이걸 읽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설득될지 의문임.
Alexander Fleming*

2020.09.14

그리고 교수입장에서 카이보다 서울대 임용을 선택하는 이유는 당연히 직장인은 서울권을 선호하기 때문이지
님같으면 자녀교육을 대전에서 시키고싶음? 서울에서 시키고 싶음?
꼴랑 이거가지고 서울대가 카이보다 낫다고 하는 이유는 절대 안됨

2020.09.14

@Alexander Fleming
아 이유는 아니고 사실 비교불가능하다 가 내 개인적인 생각인데,
굳이 이유를 찾자면 저기 있지 않을까..? 해서 적은것이었음.
감히 S교수 > K교수 라는 발언을 할수가 없었음

2020.09.14

@Johannes Kepler
다시보니 말대로 그 근거는 부족한것 같음. 나도 모르게 보통랩은 K>S에 다들 수긍할거라고 생각하고 대충 적은듯

2020.09.14

대학원에 대한 일반대중들과 학부생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는 K가 높다는 말에는 공감이 감
나가서 친구들이나 친척들에게 넌저시 물어봐도
K라는 대답이 많음을 느낌. 카이스트 대학원 그러면
모두 우아 ~대단하다 그기가 최고 아니가 하는 말을
자주 듣게됨
Charles Édouard Guillaume*

2020.09.14

팩트) 최상위권 학생은 S학부에 가서 유학가거나 S대학원에 진학함

2020.09.14

@Charles Édouard Guillaume
그 부분도 얘기해야 되는데 못적었다고 생각듬
학부는 본인도 S>K라고 생각함. 근데 사실 고등학교까지 레벨에서 S냐 K냐가 크게 중요한가가 본인 생각임..
물론 수능공부도 잘한 학생들이 연구도 잘할 확률은 높겠지만, 수능 잘친다고 그게 곧 연구를 잘한다는 증거가 되는건 아니지 않을까..

갠적으로 '최상위권'이라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었음. K학부에서도 유학잘 가는걸
Charles Édouard Guillaume*

2020.09.14

팩트) 타대생은 어차피 어딜 가나 타대생
Charles Édouard Guillaume*

2020.09.14

최상위권 애들은 수능 수석 이런게 아니라 수학과학정보 국가대표 이런거 이야기하는거고
그런애들이 너무나 당연히 연구도 잘함

2020.09.14

+ 아물론 본인 학부 가는 사람들과는 당연히 레벨 차이 있다고 생각함 ㅋㅋ
수능 한두문제로 S갈 학생과 K갈 학생을 급나눈다는게 의미있나 생각해서 한말임

2020.09.14

@Charles Édouard Guillaume
아하 그부분은 인정...
근데 그정도 스펙이면 해외로 많이 가지 않나?
Nikolai Rimsky-Korsakov*

2020.09.14

다른것필요없이, S대는 모르지만, K대는 자대출신이 타대출신보다 많습니다. 왜 소수라고 생각하는지? 석사TO의 절반이상을 매번 자대생이 가져가는데

2020.09.14

ㄴ 아 저는 지원자 기준으로 한말이었습니다

2020.09.14

+ 그렇게 들릴수도 있었겠네요 음 표현을 수정해보겠습니다
Johannes Kepler*

2020.09.14

진학률의 차이도 사실 생각을 해야해요.
서울대 이공계열 학생들은 사실 카이스트, 포항공대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르 다양한 편이죠. 카포 학생들의 진학률은 매우 높지만 서울대의 경우 고시나 각종 전문직 시험에도 많이 응시하는 편이고 의대편입이나 의전원으로 빠지는 학생도 있는 반면 카포의 경우에도 그런 학생들이 없는건 아니지만 진학률이 더 높은 편이죠.
진학을 선택한 학생들 기준으로 SPK 내에선 유학을 가는 케이스를 제외하곤 일부 극소수를 제외하곤 대체로 자대 대학원을 선택한다는 특징이 있죠. K의 경우엔 대학원 규모도 크지만 진학률도 높으니 자대생들이 비율 역시 높은 편이겠구요
John Forbes Nash Jr.*

2020.09.14

혹시 병신이세요? 같은글 계속 올라오네

2020.09.14

ㄴ 간만에 쓰는건데 ;
Nikolai Rimsky-Korsakov*

2020.09.14

근데 정말 재밌는게 친구들만봐도, 서울대애들은 "아 난 리더가 되야지"가 많고, 카이스트는 "아 난 공돌이야"가 많음.. 친구들도 서울대애들은 변리사, 의편, 취업까지 정말 다양하던데, 카이스트애들은 와서보니 그냥 '아 석사까지는 할까?' 혹은 '전문연개꿀' 이러면서 막연히 자대대학원 가는애들 개많음.
서울대는 종합대라 인맥도 다양해서 그런듯.. 밖에나가서도 서울대는 동문 활성화되있는데, 카이스트는 개인주의들이 강해서인지몰라도 동문끼리 모이는게 상대적으로 너무 적다고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심.
Günter Grass*

2020.09.14

입학 전이나 입학 첫학기 정도까지는 이런 글 쓸 수 있는데 2년차 이상인데도 이런 비교글이 신경쓰이는 사람은... 그냥 연구랑 안맞고 연구 실적이 안나오니까 어떻게든 학교 이름에라도 목숨 거는게 아닐지 ㅎㅎ 연구실 생활 조금만 해봐도 SKP 안에서는 학교 이름보다 논문 1개가 몸값 올리는데 훨씬 중요하다는 걸 알고도 남을 텐데..
John Forbes Nash Jr.*

2020.09.14

지균충이 어떻게 리더가되냐? 주제에 꿈도크네ㅋㅋㅋ

2020.09.15

이런글이 인기가 있는 이유는?
호기심과 심심풀이로? .......

2020.09.15

타대생 기준
공대 대학원 인기랩은 S > K 는 맞는거 같은데 평균랩은 사람마다 과마다?다른거 같아요.
그리고 제주변 사람들 일반적인 인식은 공대 대학원은 서울대 >= 카이스트 였습니다. (학부명성 + 종합대 버프 + 대학원생 아웃풋 절대량 때문에 이런거 같네요). 단, 컴공은 카이스트가 더 좋다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자연대 대학원은 서울대 >> 카이스트 였구요.
그리고 공대 대학원 입학난이도는 서울대가 카이스트에 비해 랩실 별로 스펙트럼이 넓다고 보는게 맞겠네요. 인기랩은 더 어렵고 비인기랩은 더 쉽고ㅎ
그런데 텝스 점수 못넘어서 서울대는 지원 못 하고 카이스트 지원해서 합격하신분들 보면 비인기랩(입학난이도자체)도 서울대가 카이스트 보다 확실히 쉽다고 할 수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2020.09.15

추가로 타대생 기준 k > s 는 국룰이라고 하셨는데...이게 선호도랑 인지도가 아니고 대학원으로 시작 + 평균적인 인건비가 많다거에서 좀 더 생활하기 편하다가 맞는거 같네요.
제 주변 타대생은 선호도랑 인지도가 s>=k 였네요. 카이스트가 입학시 학점컷이 더 높은건 다들 알고 있지만 둘 다 붙으면 서울대 갈 거라는 사람이 많았고 서울대만 지원한 사람들이 많았네요.

2020.09.15

학부때 학맥과 대학원 학맥이 합치지는 효과가 있어니 공대, 자연대쪽은 가는방향이
산업체, 공대,자연대 교수, 정출연, 대기업 연구소 정도로 좁혀진다고 볼때는 학부 + 카이스트대학원 학맥과 인맥도 상당할듯 보이네요.... 물론 학부 + 서울대 학맥과 인맥도 마찬가지고요...
진짜 중요한건 석사, 박사 과정중 열심히 더 노력해서 더 좋은 성과물을 얻는자가 더 잘되겠지만요...
Flavius Josephus*

2020.09.15

변리사 취업 의대가 리더랑 무슨 상관임?
Jules Verne*

2020.09.15

자연대기준 S>K 인지는 모르겠는데 공대기준 S랑 K가 비교대상인가? (타대생기준) K랑 P가 우선일텐데

2020.09.16

이런글 보면 참 한심해ㅋㅋ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