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대통령이 바뀌고 나서 뭔가 제대로 돌아가기 시작하는 듯
지난 정부는 모든 측면에서 다 나사 빠져있었는데
한국 피지컬 ai 협회 출범 ㄷㄷㄷ
39 - 이런 능지를 가지고 계시니 취업해서도 노동자의 권리가 뭔지 알턱이 없으니 노란봉투법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6 - 위에 좌측분은 화가 많이 났네ㅋㅋㅋ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23 - 내용은 잘 아시죠? 돈 들어갈 곳이 많아지고 생산이 줄어드면 이익이 줄겠죠. 이익이 줄면 연구소 인력 안뽑는거 맞습니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6 - 노동자의 권리고 뭐고, 좋은 일자리가 다 사라질텐데 능지 처참하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4 - 대한민국 전체가 좆망테크 탄거라고 보면된다
얼른 박사받고 미국으로 튀어라
민주당 뽑은 놈들은 자해경향이 있는듯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7 - 그냥 네임밸류에요 별로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그냥 저점이 좀 더 높은 정도지 결국 랩바랩 + 본인 실력에 따라 다른거죠 뭐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아들~ 엄마가 GPT 가지고 밤늦게까지 놀지 말랬지~ 빨리 발닦고 자렴
세기의 천재???
22 - 제 학부 다닐때 “인생에 가장 성공한게 서울대 합격한 인간“이라는 표현을 듣는 친구들이 있었죠. 그것의 대학원 버전 사람들이 그런 얘기하는 겁니다.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4 - 그런말 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지방대 나와서 높은 학점으로 대학원은 SPK진학했지만 실력은 없어서 그냥저냥 대학원 다니거나 물박사로 졸업했으니 남은건 SPK대학원 다닌다는것 밖에 없으니 정신승리하는것임. 대학원은 어딜가든 자기 하기 나름인것임. 다만 상위 대학원일수록 본인이 잘될 확률이 높은 경향이 있는것임.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25 - 경제 시사 외국뉴스 보고 다시한번 댓글 달아봐
ㅉㅉ
하긴 민주당은 감성으로 뽑는거니까 이해한다
노란봉투법 연구직도 영향이 있을까요
13 - 그렇게 하나하나 세며 정신승리하지만 실적 잘내는 사람들은 결국 SKP 출신들이 압도적임. 못내는 애들도 많지만 그렇다고 나머지 잡대들이 잘하는건 전혀 아님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14
문서기반 AI대화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여러분들의 평가를 받고싶습니다
2025.03.28

이번에 사내에서 문서를 띄우고 이를 기반으로 대화하는 서비스인 "북챗" 이라는 서비스를 오픈했습니다!
문서기반 대화는 많은 서비스에서 가능하지만, 실제로 글을 읽을땐 현재 내가 보고있는 것을 중심으로 대화하는게 편하다 라는 생각에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베타라 불안정하기도 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저는 논문 읽을 때 유용하게 쓰고있어서
다른분들께도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보고 싶습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북챗" 이라는 메뉴로 다운로드 가능하고, 아직 데스크탑(윈도우/맥) 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인증서 문제로 신뢰할 수 없는 파일이라는 문구가 뜰 수도있는데, 빠르게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서비스 링크: https://questi.kr
개인 이메일: jaden@hiqsum.com
-
126 35 15697 -
114 19 55700
한글 논문 설명해주는 ai 김GPT 0 7 1429
포공 AI 인성면접 김GPT 2 7 7649
인공지능 정보공유방 김GPT 0 1 1657-
0 7 1965
추천 시스템 연구가 좀 핫한 듯 김GPT 1 5 1791
고대 ㅇㅅㅎ 교수님(AI) 김GPT 5 4 7283
한양대 인공지능융합 김GPT 1 4 3458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58 23 23108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12 42 26162-
285 26 3379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306 - 패기만 넘치는 요즘 타대생 컨택 메일
336 - 학계의 립서비스 ㅋㅋ
26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31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3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편입니다.
21 - 대학원 인턴+석사 면담을 저번주에 했습니다 근데 논문 리뷰
5 - 세기의 천재???
10 - 지거국 -> 지스트 합격 가능한가요
5 - 학부와 대학원은 많이 다른거 같아요
22 - 교수님이랑 연애한당
20 - 교수 꼬셔서 내연녀됐음
15 - 교수님이랑 연애 봐주세요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9 - 유학 분야 선정 고민이 있습니다..
8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3 - 왜 SPK 미만은 의미 없다고 그러는거에요?
16 - 반복되는 거절, 잘못된 선택과 현타
8 - 대학원 간판의 중요성 고민
10 - 요즘 확실히 학위 출신대학보다 실적 많이 보는듯
9 - 물리학자(특히 우주론 전공자 필독)
8 - AI 전공하시는 분들께 궁금한점 있습니다
8 - 저학년 학부생 교수님 면담 예절
7 - 후배와 사이가 틀어졌습니다
9 - 아직 공부하고 싶은 도메인 분야를 결정하지 못하겠다면 학사 : 컴퓨터과학vs통계학과vs문과/상경
10 - 하브넷에 과제 떨어졌다고 징징거리는거 귀엽네
15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시리즈 첫 번째 강연: UCLA 김영서 교수 무료 세미나
자세히 보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