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포연고 까지 빼야되면 사실상 대한민국 이공계 망했다 아님?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20 - 정말 너무하네요..
심지어 인턴까지 한 후에 저런식인거면 평소에 학생을 어떻게 생각하는건지
그런 연구실 안가게 된게 다행이라고 생각하시고 다른 연구실 얼른 컨택 하시는게 나을것같습니다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8 - 인문학 계열은 학문의 깊이가 다름..
나야 전공수업 몇 개 듣고 실험이나 좀 하면서 논문 쓰고 얼레벌레 졸업하기는 했지만
인문학이나 아니면 진짜 자연과학으로 박사하는 사람들은 진짜 리스펙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27 - 이건 뭔소리지..ㅋㅋ
학문적 난이도, 깊이, 공부량 모두 인문학은 이공계 상대도 안됨
공과>>자연>>>>>>>인문임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31 - 지나친 겸손은 독이 됩니다
그만한 자격이 있기 때문에 수상한 겁니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43 - 학부생이라고 하셨으니, 글쓴이보다 경험이 많은 입장에서 쓰겠습니다.
일단 알빠노입니다. 상을 잘못 준 거였으면 기관 잘못이고, 잘 준 거였으면 본인이 잘난겁니다.
하지만 상은 과거에 내가 잘 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지 앞으로 잘 할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지 않습니다.
만일 본인이 상 받기에 부족한 실력이라 생각한다면 노력해서 그 정도 레벨로 스텝업 할 수 있게 하세요.
아직 자신이 많이 부족하다, 잘 모르는 것 같다고 얘기하는데 솔직히 현직 교수들도 그렇습니다.
상 받았으면 주변인들과 같이 즐기고, 맛있는 것 먹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면 훌륭한 학자가 될 수 있을 거에요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50 - 그냥 자랑하는 것 같은데. 뭘원하는 건지. 구체적인 사항없이.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5 - 논문이야 정략적 평가로 수치화 되어 있어서 엄청 큰 이견이 없는듯
타분야 저널 수준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나?
근데 진짜 문제는 프레시 박사에게 경력점수를 만점줬다는것. 프박에게 과연 경력이라고 말할만한게 있을까??
경력점수가 의미하는게, 경력이 아예 없는 순진한 초짜가 마음에 들어서 만점을 주고 경력있는 (대가리 큰) 사람은 불편하니 감점을 주는건가?
개인적으로는 정말 압도적인 실적과 평판이 있지않는한 박사학위 취득 1년 미만 프박이 교수로 임용되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함.
대다수가 지도교수의 그늘에서 이룬 결과이기에 순수한 본인 역량으로 보기 힘든게 있음.
한국이 기형적으로 정량적 평가가 쉬운 논문만을 결정적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임.
조교수 포지션이 자유롭게 만들어지고 테뉴어를 쉽게 보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 삼지 않겠지만 뻘짓만 안하면 다 테뉴어 주는 한국에선 문제다
현재 하브에서 불타고 잇는 주제 관해서
10 - 뭔소리야 내용 다 자기주관적인 글들만 읊어놓고
딱그건데
아 로또당첨됐는데 전 아직 너무 거지인거같애요
약간 이런뉘앙스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1 - 직역) 나 학부생인데 상받았다ㅋㅋㅋ
학부생인데 저명한 기관에서 큰 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제 실력이 의심이 갑니다
12 - 방송나와서 국민들에게 관심을 받게끔 하는 사람도 필요로 하죠. 그래야 여론이 받쳐주고 그분야 연구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죠.
그런데 박사학위 받고 3개월도 안되서 논문 피인용수1개 밖에 없는 사람이 교수되는건 말이 안되죠. 비교할껄 비교하세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30 - 우리는 이것을 '본질 흐리기'라고 불러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8 - 다들 실상을 모르는제 학교나 학과에서 실적으로 줄 세우는 줄 아니시나요...?
학과에 도움 될 것 같은 사람을 뽑습니다.
내가 저짝은 잘 몰라도 어중이떠중이보다 100배 나아보이는데요?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2
대학원 고민
2020.12.22

성적은 3.99/4.5 (3학년 1학기 까지)이고 토익은 650점대 입니다. (공부해서 750점대로 올릴려구요)
가고싶은 분야는 빅데이터/인공지능입니다.
3학년 2학기 중에 제가 대학원을 가고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학기중에 조금씩 공부를 했습니다.
그리고 학부생 연구실을 해볼려고 했는데 학교에서 괜찮은 교수님은 해외로 연수를 가신상태이고,
다른 교수님들은 과제나 프로젝트를 안하고 계시더라구요...아니면 제가 하고 싶은 분야랑 너무다릅니다...
지금에서야 학부 연구실을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인턴 경험을 쌓는게 나을까요?
학부 연구실을 하기에는 조금 늦은 것 같은데 경험을 안 해본게 치명적인 문제가 될까요..?ㅠㅠ
사실 2학기때 인공지능 관련해서 인턴을 해볼려고 시도했는데 떨어졌어요...ㅠㅠ
연구실 경험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들어서, 일단 내년 여름방학이나 겨울 방학 때 인턴 경험을 하지 못하면,,
학부 졸업을 하고나서 인턴으로 경험을 2-3번 더 쌓고나서 대학원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현실적으로 봤을 때 제가 세운 계획이 조금 답이 없을 까요?
다른 글들을 봤을 때 학부생때 연구 실적이 없을 경우에 문제라고해서....글을 한번 작성해봅니다...
이미 이 길을 가기엔 너무 늦었나 싶어 걱정이 많네요..ㅠㅠ
대학원은 원래 이런건가요? 김GPT 25 28 6055
연구실 인턴 김GPT 0 8 1232-
7 5 2731
30여 대학원 진학 늦을까요? 김GPT 5 14 2694
졸업 이후 연구생인턴 김GPT 4 2 661
연구실 인턴 프로그램 김GPT 0 1 2241
학부생, 석사지망생입니다 김GPT 0 4 1448
대학원 진학 시기 김GPT 0 2 853-
0 1 913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7 57 74970-
298 46 75876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33 20 57369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20 - 박사하며 느낀 한국 학계의 가장 큰 암덩어리
149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53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79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44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48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64 - 문과 박사과정은 왜 10년씩 잡아두는 거지
46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31 - 논문을 한국에 우선적으로 발표하고 싶은데...
14 - 현재 하브에서 불타고 잇는 주제 관해서
11 - 디펜스 할 때 복장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11 - 한양대 학부 정도면 미국 top 10 석사 가능할까요?
11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35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15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28 - 영어 논문 작성법(AI활용?)
9 - 수준 떨어지면 읽지마라.
59 - 우리 교수님은 연구실보다 유투브에서 더 많이 봄
9 - Ai 석사가 1저자로 탑컨퍼 쓰면
13 - 인천대 신임교수보다
11 - 연구실 사람들과 교수님께 쌓인 한 어떻게 하시나요
9 - 김박사넷 수준
8

2020.12.22
2020.12.22